목차
1. 증상 및 식이 원칙, 증상별 식이 요법 실제
2. 허용 식품 및 조리법
3. 금지 식품 및 조리법
4. 1일 영양기준
5. 1일 식품 구성 및 끼니별 배분(식품교환단위)
6. 식단작성
7. 식품구입량(순식품량 × 출고계수)
8. 만드는 방법
2. 허용 식품 및 조리법
3. 금지 식품 및 조리법
4. 1일 영양기준
5. 1일 식품 구성 및 끼니별 배분(식품교환단위)
6. 식단작성
7. 식품구입량(순식품량 × 출고계수)
8. 만드는 방법
본문내용
있으며, 특이한 증상이 없고 피로감, 식욕부진, 오심, 구토 및 간이 비대하는 증상 등이 나타난다.
▶식사요법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한다.
충분한 비타민과 무기질의 공급을 위하여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섭취한다.
비만한 사람은 당질과 지방을 제한한다. 금주가 절대적이고 고 단백, 고 비타민식을 비만 정도에 따라 조절한다. 쌀밥 및 기타 음식에서 많이 섭취하는 당질은 체내에서 지방으로 변하기 쉬우므로 설탕을 비롯한 당질 섭취를 제한하고 저지방식 및 섬유질과 콩, 두부, 우유, 육류, 어류 등 고단백 식품을 많이 섭취한다. 음식물이 적어서 생기는 공복감은 푸른 야채나 달지 않은 과일 등으로 보충한다.
*간경변증
지나친 음주와 각종 약물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며 대개는 만성간염이 진행되어 간경변으로 진전되며 피로감을 느끼고 식욕감퇴와 더불어 헛배가 부르며 좀 더 진행되면 배가 부어 오르면서 체중이 느는 대신 소변 량이 줄어들며, 황달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알콜의 과잉 섭취에 의해 수반되어 알콜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영향, 영양 장애, B형 간염
바이러스(HBV)의 감염 및 면역기전의 이상 등 여러 인자가 관여함으로써 발생한다. 또한 알콜성 간염 환자가 금주를 했는데도 간경 변으로 발전할 수도 있고 알콜성 간염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알콜 자체가 섬유 화를 일으켜 간 경변이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영양 문제와는 관계없이 대량 음주만으로도 간 경변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식사요법
단백질은 적정량(1~1.5g/정상체중)을 섭취한다. 그러나 간성 혼수의 우려가 있는 환자는 단백질 섭취를 제한(0.5~0.7g/정상체중)해야 한다.
열량을 충분히 섭취하며 이중 당질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한다.
복수와 부종이 있는 경우에는 염분을 제한한다.
충분한 비타민과 무기질의 공급을 위하여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섭취한다
2. 허용 식품 및 조리법
탄수화물
쌀밥, 국수, 빵, 감자, 고구마
단백질
닭고기, 소. 돼지고기의 등심, 달걀, 두부, 된장, 청국장, 비지, 우유, 유제품
비타민
송아지고기, 소간,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굴, 콩,
짙은 녹색의 채소, 감자, 양배추, 토마토, 오렌지, 딸기, 포도, 참외 치즈, 버터,
3. 금지 식품 및 조리법
지방이 많은 식품
소꼬리, 돼지고기의 내장, 돼지 비게, 청어, 장어, 정어리, 쵸코렛, 도우넛, 호도, 잣, 참깨
인스턴트식품
햄, 소시지, 베이컨, 생선묵
소금이 많은 식품
조개, 새우, 게, 해삼, 김치, 깍두기, 장아찌 젓갈, 토마토 쥬스, 통조림
조미료
소금, 된장, 간장, 고추장, 케찹, 마요네즈, 마아가린 술, 담배
4. 1일 영양기준
열량 2445kcal, 당질 366g, 단백질116g, 지방 57g
식품군
교환단위
당(g)
단백질(g)
지방(g)
열량(Kcal)
곡 류
13
299
26
1300
어륙류
저
5
40
10
250
중
3
24
15
225
고
채소류
7
21
14
140
지 방
4
20
180
우 유
2
22
12
12
250
과 일
2
24
100
계
366
116
57
2445
5. 1일 식품 구성 및 끼니별 배분(식품교환단위)
교환단위수
아침
간식
점심
간식
저녁
열량(Kcal)
곡 류
13
4
4
1
4
1300
어륙류
저
5
1
1
3
250
중
3
1.5
1
0.5
225
고
채 소
7
2
3
2
140
지 방
4
2
1
1
180
우 유
1
1
250
과 일
1
100
열량계
692.5
175
630
225
672.5
2445
%
28.3
7.2
25.8
9.2
27.5
100
6. 식단작성
구분
식단
재
료
분량 (g)
교환단위수
열량 (kcal)
당질 (g)
▶식사요법
양질의 단백질을 충분히 섭취한다.
충분한 비타민과 무기질의 공급을 위하여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섭취한다.
비만한 사람은 당질과 지방을 제한한다. 금주가 절대적이고 고 단백, 고 비타민식을 비만 정도에 따라 조절한다. 쌀밥 및 기타 음식에서 많이 섭취하는 당질은 체내에서 지방으로 변하기 쉬우므로 설탕을 비롯한 당질 섭취를 제한하고 저지방식 및 섬유질과 콩, 두부, 우유, 육류, 어류 등 고단백 식품을 많이 섭취한다. 음식물이 적어서 생기는 공복감은 푸른 야채나 달지 않은 과일 등으로 보충한다.
*간경변증
지나친 음주와 각종 약물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며 대개는 만성간염이 진행되어 간경변으로 진전되며 피로감을 느끼고 식욕감퇴와 더불어 헛배가 부르며 좀 더 진행되면 배가 부어 오르면서 체중이 느는 대신 소변 량이 줄어들며, 황달이 생길 수 있습니다.
알콜의 과잉 섭취에 의해 수반되어 알콜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영향, 영양 장애, B형 간염
바이러스(HBV)의 감염 및 면역기전의 이상 등 여러 인자가 관여함으로써 발생한다. 또한 알콜성 간염 환자가 금주를 했는데도 간경 변으로 발전할 수도 있고 알콜성 간염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알콜 자체가 섬유 화를 일으켜 간 경변이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영양 문제와는 관계없이 대량 음주만으로도 간 경변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
▶식사요법
단백질은 적정량(1~1.5g/정상체중)을 섭취한다. 그러나 간성 혼수의 우려가 있는 환자는 단백질 섭취를 제한(0.5~0.7g/정상체중)해야 한다.
열량을 충분히 섭취하며 이중 당질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한다.
복수와 부종이 있는 경우에는 염분을 제한한다.
충분한 비타민과 무기질의 공급을 위하여 신선한 과일과 채소를 섭취한다
2. 허용 식품 및 조리법
탄수화물
쌀밥, 국수, 빵, 감자, 고구마
단백질
닭고기, 소. 돼지고기의 등심, 달걀, 두부, 된장, 청국장, 비지, 우유, 유제품
비타민
송아지고기, 소간,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굴, 콩,
짙은 녹색의 채소, 감자, 양배추, 토마토, 오렌지, 딸기, 포도, 참외 치즈, 버터,
3. 금지 식품 및 조리법
지방이 많은 식품
소꼬리, 돼지고기의 내장, 돼지 비게, 청어, 장어, 정어리, 쵸코렛, 도우넛, 호도, 잣, 참깨
인스턴트식품
햄, 소시지, 베이컨, 생선묵
소금이 많은 식품
조개, 새우, 게, 해삼, 김치, 깍두기, 장아찌 젓갈, 토마토 쥬스, 통조림
조미료
소금, 된장, 간장, 고추장, 케찹, 마요네즈, 마아가린 술, 담배
4. 1일 영양기준
열량 2445kcal, 당질 366g, 단백질116g, 지방 57g
식품군
교환단위
당(g)
단백질(g)
지방(g)
열량(Kcal)
곡 류
13
299
26
1300
어륙류
저
5
40
10
250
중
3
24
15
225
고
채소류
7
21
14
140
지 방
4
20
180
우 유
2
22
12
12
250
과 일
2
24
100
계
366
116
57
2445
5. 1일 식품 구성 및 끼니별 배분(식품교환단위)
교환단위수
아침
간식
점심
간식
저녁
열량(Kcal)
곡 류
13
4
4
1
4
1300
어륙류
저
5
1
1
3
250
중
3
1.5
1
0.5
225
고
채 소
7
2
3
2
140
지 방
4
2
1
1
180
우 유
1
1
250
과 일
1
100
열량계
692.5
175
630
225
672.5
2445
%
28.3
7.2
25.8
9.2
27.5
100
6. 식단작성
구분
식단
재
료
분량 (g)
교환단위수
열량 (kcal)
당질 (g)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