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으로는 빠른 속도로 정상운영되고 있음
(2) 대한통운, HKT, 한진해운, 세방기업,동부건설, KIT에서 운영하는 광양항 컨테이너 터미널은 Maersk-Sealand, CMA, APL, Yangming 등 23개의 세계적 선사가 중국, 북미 및 유럽항로를 비롯한 전세계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망을 구축하고 있음
- 선사별 운영현황
구분
취항선사
서비스지역
대한통운
Maersk-Sealand,CMA,남성해운, NORASIA, NSCSA ,China Shipping
미주, 유럽, 호주, 동남아, 중동
HKT
현대상선, 남성해운, 한성선박, APL, MOL
미주, 동남아, 중동
한진해운
한진해운, 동남아해운, 흥아해운, 시노코, SNT, PIL
미주, 동남아, 중국, 세계일주
세방기업
흥아해운, 범양상선, 고려해운, 시노코,
Maersk, APL, YANGMING, CNC, TSL
동남아, 일본, 중국
동부건설
(주)한진, 동영해운 WanHai, EMC
중국, 동남아, 일본
KIT
현대상선, 한진해운 시노코
중국, 중동, 일본, 동남아
- 물류시스템 운영현황
ㄱ. 광양항에서 운영되고 있는 물류시스템은 선사, 하역회사, 그리고 부두운영시스템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정보를 공유 또는 이용하면서 운영되고 있는데 시스템간의 연결부분은 대부분 EDI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
ㄴ. 선사의 물류정보시스템
선사는 해상운송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일반적으로 전세계의 지사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저장, 검색할 수 있고 선적정보와 하역정보를 보유함.
선적 또는 하역시에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자문서로 부두운영시스템에 전송하고 작업계획을
수립하여 작업완료후 부두운영시스템으로부터 받아 선적완료 정보를 입력하여 다음 기항지에서 하역 정보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함.
ㄷ. 운송·하역회사의 물류정보시스템
운송회사의 물류시스템은 내륙운송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며 전국을 단일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실시 간으로 정보를 저장, 검색할 수 있고 내륙컨테이너 기지의 정보나 운송정보를 관리하는 물류시스템.
하역회사의 운송정보는 컨테이너를 부두 반입시 반입정보를 부두운영시스템에 EDI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컨테이너는 부두통제소의 장치계획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 장치하도록 함.
ㄹ. 부두운영시스템
부두운영시스템은 선사나 하역회사로부터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반입, 반출을 관리하며 본선
작업계획, 선내적재계획, 장비 및 인력배치 등을 체계적이고 가장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고안된 시스템임.
■ 관세정보
- PTMS 정의
PTMS(Port Traffic Management Service)란 항만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선박통항의 안전과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항만과 출입항로를 항해하거나 이동하는 선박의 움직임을 RADAR, CCTV, VHF 등의 첨단 과학장비로 관찰하여 선장의 권한을 침해하거 나 의무를 면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안전 운항을 위한 조언 또는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항만운영 효율성 향상과 물류비 절감을 가져오게 되는 서비스 업무를 말한다.
- 문자표기
Gwangyang Port Traffic Management Service Center(광양항만교통정보센터)
- 호칭명칭
Gwangyang Port Service(항무광양), Yeosu Port Service(항무여수)
- 업무용주파수 및 운용시간
1.여수항 : VHF CH 10, 06(H24) 2.광양항 : VHF CH 12, 06(H24)
※ 비상주파수 VHF CH16(H24)
- 선박 항행 안전방송 실시
해상 기상 악화(농무) 및 특보 발효시, 해양사고 발생시, 항행표지 소등 및 VTS장비 고장시
기타 항해 안전 저해요소 발생시, 선박교통 밀집지역 등 항행정보
- PTMS 대상선박 이용시설
ㄱ. 총톤수 300톤 이상의 선박 (내항어선과 여객선 제외)
ㄴ. 해상교통안전법시행규칙 제2조에 정한 위험물 적재선박
ㄷ. 예인선열의 길이가 200m 이상의 예인선
- PTMS 통신망
호출명령
사용채널(주파수)
용 도
건물 및 주변지역
일반전화
F A X
항무광양
VHF CH 06
정보제공 채널
061) 660-9079
061) 685-0354
061) 685-4399
VHF CH 12
주교신 채널
VHF CH 16
조난, 긴급, 비상, 안전통신용
VHF CH 70
조난, 통신용
K I T
VHF CH 06
정보제공 채널
061) 660-9076
061) 662-3923
061) 664-5436
VHF CH 10
주교신 채널
VHF CH 16
조난, 긴급, 비상, 안전통신용
VHF CH 70
조난, 통신용
※ 여수 파이로트 VHF CH 08 (061-662-3383)
- 항만교통정보 서비스 구역
- 여수.광양항 항계 내와 다음 각 지점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지점으로 레이다의
탐지가 가능한 수역,
N34°50′06″E127°46′30″, N34°50′50″ E127°48′12″, N34°43′30″E127°51′30″, N34°41′15″E128°00′,N34°35′E128°00′N34°35′E127°53′12″,N34°45′35″E127°45′25″
- PTMS 통신절차
가) 입.출항 예보서 제출 (12-24시간전) : 선사,대리점(PORT-MIS용)
나) 보고종류(VHF CH 12, 10 번 이용)
다) 입항전보고 : 백서통과 1시간전, 거마각 통과시
라) 통과보고 : 백서, 대단 통과시(입,출항시 통보)
마) 입항보고 : 정박지 또는 계류지 도착시
바) 이동보고 : 정박지 양묘 또는 계류지 이안시
사) 출항보고 : 출항시
* 보고내용 : 선박제원, 입출항 예정 및 선박이동시간, 항행위치, 속력
- 항행위치 보고지점
입상시
출항방면
입항전 보고
진입보고
입항보고
1차보고
2차보고
부산방면
백서등대 진입
1시간전 지점
대도 또는
백서 등대 부근지점
13번등부표 부근
목포방면
거마각등대 진입
1시간전지점
돌산 대단부근지점
13번등부표 부근
부산방면
남해대교부근
광양항 5번 정박지 부근
(2) 대한통운, HKT, 한진해운, 세방기업,동부건설, KIT에서 운영하는 광양항 컨테이너 터미널은 Maersk-Sealand, CMA, APL, Yangming 등 23개의 세계적 선사가 중국, 북미 및 유럽항로를 비롯한 전세계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망을 구축하고 있음
- 선사별 운영현황
구분
취항선사
서비스지역
대한통운
Maersk-Sealand,CMA,남성해운, NORASIA, NSCSA ,China Shipping
미주, 유럽, 호주, 동남아, 중동
HKT
현대상선, 남성해운, 한성선박, APL, MOL
미주, 동남아, 중동
한진해운
한진해운, 동남아해운, 흥아해운, 시노코, SNT, PIL
미주, 동남아, 중국, 세계일주
세방기업
흥아해운, 범양상선, 고려해운, 시노코,
Maersk, APL, YANGMING, CNC, TSL
동남아, 일본, 중국
동부건설
(주)한진, 동영해운 WanHai, EMC
중국, 동남아, 일본
KIT
현대상선, 한진해운 시노코
중국, 중동, 일본, 동남아
- 물류시스템 운영현황
ㄱ. 광양항에서 운영되고 있는 물류시스템은 선사, 하역회사, 그리고 부두운영시스템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상호 정보를 공유 또는 이용하면서 운영되고 있는데 시스템간의 연결부분은 대부분 EDI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
ㄴ. 선사의 물류정보시스템
선사는 해상운송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일반적으로 전세계의 지사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저장, 검색할 수 있고 선적정보와 하역정보를 보유함.
선적 또는 하역시에 관련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자문서로 부두운영시스템에 전송하고 작업계획을
수립하여 작업완료후 부두운영시스템으로부터 받아 선적완료 정보를 입력하여 다음 기항지에서 하역 정보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함.
ㄷ. 운송·하역회사의 물류정보시스템
운송회사의 물류시스템은 내륙운송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며 전국을 단일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실시 간으로 정보를 저장, 검색할 수 있고 내륙컨테이너 기지의 정보나 운송정보를 관리하는 물류시스템.
하역회사의 운송정보는 컨테이너를 부두 반입시 반입정보를 부두운영시스템에 EDI방식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 컨테이너는 부두통제소의 장치계획에 따라 지정된 위치에 장치하도록 함.
ㄹ. 부두운영시스템
부두운영시스템은 선사나 하역회사로부터 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반입, 반출을 관리하며 본선
작업계획, 선내적재계획, 장비 및 인력배치 등을 체계적이고 가장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고안된 시스템임.
■ 관세정보
- PTMS 정의
PTMS(Port Traffic Management Service)란 항만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선박통항의 안전과 효율성을 증진시키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항만과 출입항로를 항해하거나 이동하는 선박의 움직임을 RADAR, CCTV, VHF 등의 첨단 과학장비로 관찰하여 선장의 권한을 침해하거 나 의무를 면제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안전 운항을 위한 조언 또는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항만운영 효율성 향상과 물류비 절감을 가져오게 되는 서비스 업무를 말한다.
- 문자표기
Gwangyang Port Traffic Management Service Center(광양항만교통정보센터)
- 호칭명칭
Gwangyang Port Service(항무광양), Yeosu Port Service(항무여수)
- 업무용주파수 및 운용시간
1.여수항 : VHF CH 10, 06(H24) 2.광양항 : VHF CH 12, 06(H24)
※ 비상주파수 VHF CH16(H24)
- 선박 항행 안전방송 실시
해상 기상 악화(농무) 및 특보 발효시, 해양사고 발생시, 항행표지 소등 및 VTS장비 고장시
기타 항해 안전 저해요소 발생시, 선박교통 밀집지역 등 항행정보
- PTMS 대상선박 이용시설
ㄱ. 총톤수 300톤 이상의 선박 (내항어선과 여객선 제외)
ㄴ. 해상교통안전법시행규칙 제2조에 정한 위험물 적재선박
ㄷ. 예인선열의 길이가 200m 이상의 예인선
- PTMS 통신망
호출명령
사용채널(주파수)
용 도
건물 및 주변지역
일반전화
F A X
항무광양
VHF CH 06
정보제공 채널
061) 660-9079
061) 685-0354
061) 685-4399
VHF CH 12
주교신 채널
VHF CH 16
조난, 긴급, 비상, 안전통신용
VHF CH 70
조난, 통신용
K I T
VHF CH 06
정보제공 채널
061) 660-9076
061) 662-3923
061) 664-5436
VHF CH 10
주교신 채널
VHF CH 16
조난, 긴급, 비상, 안전통신용
VHF CH 70
조난, 통신용
※ 여수 파이로트 VHF CH 08 (061-662-3383)
- 항만교통정보 서비스 구역
- 여수.광양항 항계 내와 다음 각 지점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지점으로 레이다의
탐지가 가능한 수역,
N34°50′06″E127°46′30″, N34°50′50″ E127°48′12″, N34°43′30″E127°51′30″, N34°41′15″E128°00′,N34°35′E128°00′N34°35′E127°53′12″,N34°45′35″E127°45′25″
- PTMS 통신절차
가) 입.출항 예보서 제출 (12-24시간전) : 선사,대리점(PORT-MIS용)
나) 보고종류(VHF CH 12, 10 번 이용)
다) 입항전보고 : 백서통과 1시간전, 거마각 통과시
라) 통과보고 : 백서, 대단 통과시(입,출항시 통보)
마) 입항보고 : 정박지 또는 계류지 도착시
바) 이동보고 : 정박지 양묘 또는 계류지 이안시
사) 출항보고 : 출항시
* 보고내용 : 선박제원, 입출항 예정 및 선박이동시간, 항행위치, 속력
- 항행위치 보고지점
입상시
출항방면
입항전 보고
진입보고
입항보고
1차보고
2차보고
부산방면
백서등대 진입
1시간전 지점
대도 또는
백서 등대 부근지점
13번등부표 부근
목포방면
거마각등대 진입
1시간전지점
돌산 대단부근지점
13번등부표 부근
부산방면
남해대교부근
광양항 5번 정박지 부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