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의 역사, 배드민턴의 용품, 배드민턴의 경기방법, 배드민턴의 기술, 배드민턴의 용어, 배드민턴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배드민턴의 역사, 배드민턴의 용품, 배드민턴의 경기방법, 배드민턴의 기술, 배드민턴의 용어, 배드민턴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배드민턴이란?
Ⅱ.배드민턴의 역사·
Ⅲ.배드민턴의 한국의 역사·
Ⅳ.배드민턴의 용품
Ⅴ.배드민턴의 시설
Ⅵ.배드민턴의 경기방법
Ⅶ. 배드민턴의 기술
Ⅷ. 배드민턴의 용어
Ⅸ. 배드민턴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본문내용

앨리(side alley)´가 정식 표현. 단식경기의 사이드 바운더리 라인과 복식 경기의 사이드 바운더리 라인(side line)사이의 좁고 긴 구역, 너비는 46 cm이며, 길이는 코트의 전 길이와 같다.
▶ 앨리 샷(alley shot) 셔틀콕을 사이드 앨리에 쳐 넣는 일, 또는 쳐 넣은 샷을 가리킨다. 복식 경기에서 이곳에 셔틀콕을 보내면 받아치기가 어렵고 유효한 샷이 된다.
▶ 앵글 오브 리턴(angle of return) 코트의 왼쪽과 오른쪽에 셔틀콕을 받아넘길 수 있는 방향선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
▶ 어태킹 클리어(attacking clear) 수비자 측 코트 후방으로 셔틀콕이 낮은 포물선을 그리며 넘어가도록 셔틀콕을 치는 공격성 타법으로 ´offensive clear´라고도 한다.
▶ 어택 포지션(attack position) 마치 무기로 공격하는 것과 같이 라켓의 머리 부분을 손보다 위로 하고 전방을 향하여 선 자세.
▶ 어택킹 샷(attacking shot) 스매시, 하프 스매시, 드라이브 등과 같이 셔틀콕이 아래로 향하게 치는 샷을 지칭한다.
▶ 채널 어택(channel attack) 전위 공격자가 후위 선수의 바로 앞에 위치하여 전후 공격대형을 취한다. 공격은 오직 한 명의 수비수에게만 집중한다.
▶ 체인지 엔드(change end) 1게임마다 코트를 교체하는 것을 체인지 엔드라고 한다. 또 게임 카운트가 1대 1로 되어서 3 게임째를 행하는 경우에는 제 3게임의 도중에 또 한 번 엔드를 교체한다. 그 시기는 15점 게임에서는 8점, 11점 게임에서는 6점을 어느 쪽인가가 선취했을 때에 행한다.
▶ 체크 스매시(check smash) 경기자가 스매시 자세를 취한 후 라켓 머리의 속도를 갑자기 줄여서 셔틀콕을 코트 전방에 부드럽게 떨어뜨리는 것. 이것은 수비수를 속여서 셔틀콕이 늦게 도달하도록 할 때 사용된다.
▶ 쵸핑(chopping) 손의 속도와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행하는 운동.
▶ 크로스 코트(cross court) 셔틀콕이 한 쪽 코트에서 반대 코트로 넘어갈 때 중앙선을 가로질러 대각선으로 셔틀콕이 움직이는 궤도를 묘사하는 것.
▶ 크로스 코트 샷(cross court) ´크로스 코트´라고도 한다. 셔틀콕이 코트를 가로 질러서 대각선 방향을 보내는 샷, 스매시, 클리어, 드롭샷, 커트, 드리븐 샷이나 헤어핀 샷 등 모든 스트로크에 적용되는 용어이다.
▶ 클리어(clear) 상대 코트의 백 바운더리 라인 가까이 보내는 샷으로 셔틀콕의 비행 궤적에 따라서 공격적 혹은 수비적 클리어가 될 수 있다.
▶ 터치 더 보디(touch the body) 셔틀콕이 경기자의 몸이나 복장에 닿는 것으로 반칙이다.
▶ 터치 더 네트(touch the net) 경기 중에 라켓이나 신체의 일부 혹은 의복의 일부가 네트에 닿는 것으로 반칙이다.
▶ 텀블러(tumbler) 코트 전방에서 셔틀콕을 비스듬히 치는 타법으로, 이것은 스피너와는 달리 셔틀콕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한다. 언더핸드로 하는 드롭 샷이나 네트 가까이에서 헤어핀으로 반구할 때 구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토머스 컵(Thomas Cup) 국제배드민턴 연맹이 후원하여 매 2년마다 개최되는 최고 권위의 남자 국가 대항전으로서 1948년에 제 1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초대 국제 배드민턴 연맹 회장이었던 토머스 경이 컵을 기증한 데에서 대회 명칭이 유래되었다. 대회 종목은 6단식 경기, 3 복식경기로 구성된다.
▶ 파워 스매시(power smash) 셔틀콕을 최대의 힘으로 치는 것으로 타격할 때 라켓면이 셔틀콕과 수직을 이룬다.
▶ 파이널 게임(final game) 한 경기에서 승패를 가름하는 마지막 게임. 즉, 게임 득실이 1 : 1일 경우에 행하는 게임으로, 제 3게임이라고 한다.
▶ 파트너(partner) 복식 경기에서 같은 팀을 이루는 어떤 선수의 짝을 가리킨다.
▶ 패스트 드롭(fast drop) 스매시와 유사하게 머리 위에서 치는 타법으로서 셔틀콕을 코트 전방에 빠르게 떨어뜨리고자 할 때 사용하는 타법이다.
▶ 패시브 디펜스(passive defence) 수비수가 수비만을 목적으로 하는 수비. 즉, 그들은 셔틀콕을 계속해서 코트 후방으로 받아넘겨 상대방에게 공격의 기회를 허용한다.
▶ 패싱 샷(passing shot) 상대의 머리 위로 넘어가는 타구와 구별하여, 상대의 옆으로 빠르게 지나가는 타구를 말한다.
▶ 하이 디펜스(high defence) 수비수의 라켓 머리가 손보다 높은 위치에서 셔틀콕을 치는 수비 형태.
▶ 하이 디프 서브(high deep serve) 셔틀콕을 상대방 코트의 백 바운더리 라인 가까이 높고 멀리 쳐 보내는 서브로 단식에서 많이 사용한다.
▶ 하이 디프 클리어(high deep clear) 셔틀콕을 높고 멀리 가도록 백 코트까지 떨어지게 쳐 보내는 방법.
▶ 하이 롱 서브(high long serve) 높고 긴 서브로 high deep serve와 같은 용어이다.
▶ 하이 백핸드 스트로크(high backhand stroke) 어깨보다 높은 위치에서 치는 백핸드 스트로크.
▶ 하이 클리어(high clear) 셔틀콕을 상대 코트의 후방에 수직으로 떨어뜨리기 위해 아주 높고 멀리 보낼 때 사용하는 타법.
Ⅸ. 결론. 배드민턴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웰빙의 시대를 살아 가는 우리에게 운동은 레저활동이기전에 건강의 등불과 같다. 운동은 건강의 필요조건이기도 하지만 사회성을 길러 주는 훌륭한 산교육의 장이기도 하다. 우리는 운동을 통해 예와 질서를 배우고 협동과 양보의 소중함을 체험한다. 팀웍의 의미를 경험으로 터득하는 것이다. 한 인간이 80세까지 산다고 할 때 평생 웃는 시간을 합쳐 보면 8시간을 넘기가 어렵다고 한다. 더욱이 노년에 접어 들면서 웃는 시간이 더욱 적어 진다고 한다.
일소일노라는 말이 있듯 웃는 것이 건강에 좋은 것이야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웃고 싶어도 웃을 일이 있어야 웃지 않느냐는 하소연도 그럴 듯하다.
웃음은 엔돌핀을 생성하므로서 심리적 안정은 물론 육체적 이완작용 유발하여 인체의 기능을 활성화하는데 최고의 보약이라고 한다. 말인 즉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09.11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68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