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햄버거의유래
2. 소고기와 광우병
3. 광우병이란 무엇인가?
4. 패스트푸드의 문제점
5. 안티패스트푸드
- 여러 사람들이 패러디 한 작품
6. 맥도날드화란?
- 맥도날드화의 핵심 4가지,
- 맥도날드화의 이점과 비판
2. 소고기와 광우병
3. 광우병이란 무엇인가?
4. 패스트푸드의 문제점
5. 안티패스트푸드
- 여러 사람들이 패러디 한 작품
6. 맥도날드화란?
- 맥도날드화의 핵심 4가지,
- 맥도날드화의 이점과 비판
본문내용
ttp://blog.naver.com/rbgk61?Redirect=Log&logNo=100050346607참조
http://blog.naver.com/esangjae?Redirect=Log&logNo=50421308
현대적인 쇠고기 생산과정에서 1000파운드짜리 소는 도축장에서 해체되고 나면 대략 620파운드의 몸통만 남게 된다. 몸통에서는 대략 540파운드의 소매 쇠고기 상품이 생산된다.
쇠고기의 부위들로는 여러 가지 스테이크 및 음식으로 만들어 진다.
쇠고기는 지방이 적은 근육, 지방이 많은 연결 조직, 뼈, 가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밖에 혈관, 림프관, 선, 신경조직이 있다.
지방이 적은 근육의 75%는 수분이며, 나머지20%는 고기 단백질, 3%는 지방, 1%는 미네랄 물질과 글리코겐 및 다른 유기 물질들이다. 소의 뼈는 30~40%의 수분 15~20%의 지방, 15~20%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미네랄로 구성되어 있다.
도축된 소의 오직 54%만 인간과 애완동물이 소비하는 쇠고기 제품으로 만들어진다. 나머지 40%이상에 해당하는 지방, 뼈, 내장, 가죽은 다른 식품, 가정용품, 의약품, 산업 제품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된다. 연결 조직의 콜라겐은 아교와 소시지 껍질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콜라겐으로 만든 접착제는 벽지, 아교, 붕대, 매니큐어용 손톱줄, 석고 보드에도 사용된다.
젤라틴은 아이스크림, 캔디, 요구르트, 마요네즈 같은 식품뿐만 아니라 ,사진 필름과, 레코드를 만드는데도 사용된다. 소고기 지방과 지방산은 구두약, 크레용, 마루용왁스, 동물성 마가린, 화장품, 탈취제, 세척제, 비누, 향수, 살충제, 절연재, 프레온을 만드는데 사용되고 뿐만 아니라 여러 치료에 사용되고 가죽제품들에도 사용된다.
도처에 존재하는 햄버거는 현대적인 육류의 마지막 해체를 보여준다. 소는 구별이 되지 않는 물질로 해체되고 고도로 기계화된 과정을 통해 새로운 형태로 탈바꿈된다. 소를 사육하고 비육하고 도살하고 포장하는 과정은 매우 합리적이고 실용적이며 편리하다. 또한 이런 전체 과정은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 하는 방향으로 기계화되어 있다. 책[육식의종말]中 38.현대 육식 문화 비평 329~339page사이
3. 광우병이란 무엇인가?
광우병은 초식동물인 소에게 소를 먹이기 시작하면서 발생한 “미친소”병입니다. 1980년대 영국에서 발견되기 시작한 이 병에 걸리면 뇌에 스펀지처럼 구멍이 숭숭 뚫리고 이 때문에 신경과 근육이 마비되면서 결국은 100% 죽게 되는 병입니다. 인간광우병은 1995년 영국에서 처음 확인된 병으로 광우병에 걸린소를 먹은 인간에게 미친소와 같은 증세가 발병하는 병입니다. 소의 광우병이나 인간의 광우병이나 모두 현재까지 치료방법이 없어 오직 철저한 예방만이 광우병을 막을 수 있습니다.
광우병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람이 광우병에 걸린 소를 먹어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까지 치료방법이 없기 때문에 첫째. 소가 광우병에 걸리지 않도록 소를 포함한 모든 동물들에게 동물성 사료를 주지 않고, 둘째. 검역을 철저히 하여 광우병에 걸린소를 찾아내고, 셋째. 광우병이 발생한 국가에서는 소를 수입하여 먹거나 화장품, 의약품의 연료로 쓰지 않는 것이 유일한 예방법입니다.
현재까지 인간광우병에 걸린 것으로 확인된 사람은 전세계에서 200명 정도로 이중죽음을 앞둔 10명을 빼고는 모두 사망 했습니다. 게다가 광우병은 진단이 쉽지 않고 진단하다가 광우병에 옮을 수도 있기 때문에 많은 의사들이 진단하기를 꺼려 이 숫자는 축소된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래서 치매환자 중 5~13%가 광우병이나 크로이츠펠드야콥병일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http://blog.naver.com/rbgk61?Redirect=Log&logNo=100050346607참조
4. 패스트푸드의 문제점
1.영향 불균형을 가져온다.
6살에서 사춘기 이전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신체검사와 영양검사를 했는데, 수년전에 비해 키는 3-5cm 커지고, 몸무게도 3-5kg 늘었지만 오리려 체력은 약해졌다고 한다. 한마디로 요즘 아이들은 덩치만 큰\'속빈강정\'이다. 그 원인은 결식, 다이어트 및 아이들의 지나친 패스트 푸드 때문이다. 패스트 푸드의 주 원료는 동물성 단백질, 지방, 정제된 설탕, 소금, 화학 조미료이다. 아이들의 성장과 대사에 필요한 비타민과 미네랄을 섭취할 수 있는 녹황색 채소는 없다. 게다가 거의 모든 원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니 그 위해성은 가늠하기 힘들다.
2. 미네랄을 녹여 뼈를 약하게 만든다.
패스트 푸드에 사용되는 정제된 소금과 설탕은 뼈속의 인성분을 녹이고, 칼슘을 같이 빼내어 뼈를 약하게 한다. 삭은 치아도 바로 이 패스트 푸드와 함께 먹는 콜라,사이다등의 청량음료가 주 원인이다.
3. 어린이 비만을 부른다
삼겹살의 지방 비율이 25%인데 반하여, 햄버거는 405나 되고 피자 보통 사이즈는 35%나 된다. 어린이 비만은 어른 비만보다 심각하다.어른은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지지만 어린이는 지방세포의 수 자체가 늘어난다. 지방세포수가 늘어나면 살을 빼기도 어렵고 언제든지 다시 비만이 될 확률이 높다. 도 비만 어린이의 30-40%는 지방간, 고지혈증을 가지고 있고, 동맥경화증도 있다. 최근 맥도날드 회사가 비만환자들의 소송을 당하자, 튀기는 기름을 바꾼다고 발표한 예는 스스로 비만을 야기하는 것으로 인정하는 셈이다. 어느 보고서에서는 천식, 아토피와의 연관성을 제기 하기도 하였다.
4. 식품 첨가물 위해성
패스트푸드 음식은 대체로 값싼 재료를 이용한다. 착색료로 쓰이는 \'아질선염\'도 햄버거에 들어가는 햄이나 소시지류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치즈와 버터 또한 시중에 판매되는 것보다 더 많은 보존제와 첨가물이 들어간 제품을 쓰고 있다. 감자나 닭을 튀기는 기름도 몇 번이나 재사용하고 있어 산화되어 우리 몸에 위험조건을 충분히 가지고 있는 셈이다. 화학 조미료는 감칠 맛을 내는 \'글루타민산\'이 주 성분이다. 글루타민산은 신경전달 물질로 과량의 글루타민산이 신경조직에 흡수될 경우 신경 세포막을 과흥분상태로 만든다. 또한 신장에서의 칼슘 흡수를 막고 벼속에 저장
http://blog.naver.com/esangjae?Redirect=Log&logNo=50421308
현대적인 쇠고기 생산과정에서 1000파운드짜리 소는 도축장에서 해체되고 나면 대략 620파운드의 몸통만 남게 된다. 몸통에서는 대략 540파운드의 소매 쇠고기 상품이 생산된다.
쇠고기의 부위들로는 여러 가지 스테이크 및 음식으로 만들어 진다.
쇠고기는 지방이 적은 근육, 지방이 많은 연결 조직, 뼈, 가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밖에 혈관, 림프관, 선, 신경조직이 있다.
지방이 적은 근육의 75%는 수분이며, 나머지20%는 고기 단백질, 3%는 지방, 1%는 미네랄 물질과 글리코겐 및 다른 유기 물질들이다. 소의 뼈는 30~40%의 수분 15~20%의 지방, 15~20%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미네랄로 구성되어 있다.
도축된 소의 오직 54%만 인간과 애완동물이 소비하는 쇠고기 제품으로 만들어진다. 나머지 40%이상에 해당하는 지방, 뼈, 내장, 가죽은 다른 식품, 가정용품, 의약품, 산업 제품을 만드는 재료로 사용된다. 연결 조직의 콜라겐은 아교와 소시지 껍질을 만드는 데 사용되며, 콜라겐으로 만든 접착제는 벽지, 아교, 붕대, 매니큐어용 손톱줄, 석고 보드에도 사용된다.
젤라틴은 아이스크림, 캔디, 요구르트, 마요네즈 같은 식품뿐만 아니라 ,사진 필름과, 레코드를 만드는데도 사용된다. 소고기 지방과 지방산은 구두약, 크레용, 마루용왁스, 동물성 마가린, 화장품, 탈취제, 세척제, 비누, 향수, 살충제, 절연재, 프레온을 만드는데 사용되고 뿐만 아니라 여러 치료에 사용되고 가죽제품들에도 사용된다.
도처에 존재하는 햄버거는 현대적인 육류의 마지막 해체를 보여준다. 소는 구별이 되지 않는 물질로 해체되고 고도로 기계화된 과정을 통해 새로운 형태로 탈바꿈된다. 소를 사육하고 비육하고 도살하고 포장하는 과정은 매우 합리적이고 실용적이며 편리하다. 또한 이런 전체 과정은 인간의 개입을 최소화 하는 방향으로 기계화되어 있다. 책[육식의종말]中 38.현대 육식 문화 비평 329~339page사이
3. 광우병이란 무엇인가?
광우병은 초식동물인 소에게 소를 먹이기 시작하면서 발생한 “미친소”병입니다. 1980년대 영국에서 발견되기 시작한 이 병에 걸리면 뇌에 스펀지처럼 구멍이 숭숭 뚫리고 이 때문에 신경과 근육이 마비되면서 결국은 100% 죽게 되는 병입니다. 인간광우병은 1995년 영국에서 처음 확인된 병으로 광우병에 걸린소를 먹은 인간에게 미친소와 같은 증세가 발병하는 병입니다. 소의 광우병이나 인간의 광우병이나 모두 현재까지 치료방법이 없어 오직 철저한 예방만이 광우병을 막을 수 있습니다.
광우병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람이 광우병에 걸린 소를 먹어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까지 치료방법이 없기 때문에 첫째. 소가 광우병에 걸리지 않도록 소를 포함한 모든 동물들에게 동물성 사료를 주지 않고, 둘째. 검역을 철저히 하여 광우병에 걸린소를 찾아내고, 셋째. 광우병이 발생한 국가에서는 소를 수입하여 먹거나 화장품, 의약품의 연료로 쓰지 않는 것이 유일한 예방법입니다.
현재까지 인간광우병에 걸린 것으로 확인된 사람은 전세계에서 200명 정도로 이중죽음을 앞둔 10명을 빼고는 모두 사망 했습니다. 게다가 광우병은 진단이 쉽지 않고 진단하다가 광우병에 옮을 수도 있기 때문에 많은 의사들이 진단하기를 꺼려 이 숫자는 축소된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그래서 치매환자 중 5~13%가 광우병이나 크로이츠펠드야콥병일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http://blog.naver.com/rbgk61?Redirect=Log&logNo=100050346607참조
4. 패스트푸드의 문제점
1.영향 불균형을 가져온다.
6살에서 사춘기 이전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 신체검사와 영양검사를 했는데, 수년전에 비해 키는 3-5cm 커지고, 몸무게도 3-5kg 늘었지만 오리려 체력은 약해졌다고 한다. 한마디로 요즘 아이들은 덩치만 큰\'속빈강정\'이다. 그 원인은 결식, 다이어트 및 아이들의 지나친 패스트 푸드 때문이다. 패스트 푸드의 주 원료는 동물성 단백질, 지방, 정제된 설탕, 소금, 화학 조미료이다. 아이들의 성장과 대사에 필요한 비타민과 미네랄을 섭취할 수 있는 녹황색 채소는 없다. 게다가 거의 모든 원료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니 그 위해성은 가늠하기 힘들다.
2. 미네랄을 녹여 뼈를 약하게 만든다.
패스트 푸드에 사용되는 정제된 소금과 설탕은 뼈속의 인성분을 녹이고, 칼슘을 같이 빼내어 뼈를 약하게 한다. 삭은 치아도 바로 이 패스트 푸드와 함께 먹는 콜라,사이다등의 청량음료가 주 원인이다.
3. 어린이 비만을 부른다
삼겹살의 지방 비율이 25%인데 반하여, 햄버거는 405나 되고 피자 보통 사이즈는 35%나 된다. 어린이 비만은 어른 비만보다 심각하다.어른은 지방세포의 크기가 커지지만 어린이는 지방세포의 수 자체가 늘어난다. 지방세포수가 늘어나면 살을 빼기도 어렵고 언제든지 다시 비만이 될 확률이 높다. 도 비만 어린이의 30-40%는 지방간, 고지혈증을 가지고 있고, 동맥경화증도 있다. 최근 맥도날드 회사가 비만환자들의 소송을 당하자, 튀기는 기름을 바꾼다고 발표한 예는 스스로 비만을 야기하는 것으로 인정하는 셈이다. 어느 보고서에서는 천식, 아토피와의 연관성을 제기 하기도 하였다.
4. 식품 첨가물 위해성
패스트푸드 음식은 대체로 값싼 재료를 이용한다. 착색료로 쓰이는 \'아질선염\'도 햄버거에 들어가는 햄이나 소시지류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치즈와 버터 또한 시중에 판매되는 것보다 더 많은 보존제와 첨가물이 들어간 제품을 쓰고 있다. 감자나 닭을 튀기는 기름도 몇 번이나 재사용하고 있어 산화되어 우리 몸에 위험조건을 충분히 가지고 있는 셈이다. 화학 조미료는 감칠 맛을 내는 \'글루타민산\'이 주 성분이다. 글루타민산은 신경전달 물질로 과량의 글루타민산이 신경조직에 흡수될 경우 신경 세포막을 과흥분상태로 만든다. 또한 신장에서의 칼슘 흡수를 막고 벼속에 저장
추천자료
롯데리아 마케팅 전략 (외식산업 외식 마케팅전략 패스트푸드
(마케팅과 경영) 한식의 패스트푸드화 진출 전략
패스트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웰빙][웰빙산업][웰빙음식][웰빙식품][웰빙바람][웰빙붐]웰빙의 등장배경, 웰빙의 의미, 웰...
현대사회와 사회심리 <<일반음식점과 패스트푸드 음식점의 차이>>
패스트푸드의 제국을 읽고
[A+] 청소년 영양관리 비만관리법 청소년기 식습관 실태와 문제점 영양왜곡현상 청소년 1일영...
[다국적기업론] i’m lovin’ it?맥도날드,맥도날드해외시장진출전략,맥도날드해외진출성공사...
맥도날드마케팅전략,맥도날드분석,맥도날드마케팅분석,패스트푸드분석
미국 컴퓨터 기업(HP, 휴렛팩커드), 미국 기업(제록스), 미국 자동차 기업(포드), 미국 반도...
특정 영양소 및 식품(염분, 단 음식, 우유, 지방, 패스트푸드 등)의 과잉섭취에 대해 그 원인...
[경영학]패스트푸드 In-N-Out(인앤아웃버거) 경영전략
국내 도넛 시장,브랜드 이미지, 제품 포지셔닝,경쟁사 도넛전문점,베이커리,카페,패스트푸드,...
[독서 감상문] 패스트푸드의제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