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술의역사
1.술의 어원
1) 지방 각설이 타령에서부터 시작
어느 지방 각설이 타령에 이런 구절이 있다.
“...밥은 바빠서 못 먹겠고, 죽(粥)은 죽어도 못 먹겠고, 술만 수울술 넘어간다,,,”
술이란 호칭이 이 타령에서처럼 목구멍으로 술술 잘 넘어간다 하여 생긴 이름 일까?
한편, 술을 마시는 모양-술술 잘 넘어간다고 할 때의 -을 형용하는 의성음이 \'술\'의 어원이라는 통속어원 학설도 있다.
2) 역사적 기록
천소영에 의하면, 술의 본래 말은 ‘수블/수불’이었다고 기록 된다. 조선 시대의 문헌에는 ‘수울’ 혹은 ‘수을’로 기록되어 있어, 이 수블은 ‘수블 > 수울 > 수을 > 술’ 로 변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수블의 의미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으나, 술을 빚는 과정에서 발효가 이루어져 열을 가하지 않더라도 부글부글 물이 끓어오르며 거품이 괴어오르는 화학변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발효현상은 옛사람의 눈에는 참으로 신비스럽게 보였을 것이다. 물에서 난데없이 불이 붙는 다는 뜻으로 ‘수불’이라 하지 않았을까 싶다.
2. 술의 기원
우리나라 술의 역사는 정확하게 추정하기가 어렵고, 어떤 방법으로 술이 처음제조 되었는지 그 기원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의 문화가 중국의 문화권에서 파생 전래되어 왔음을 상기하고, 술의 유래도 중국에서 연유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특히, 고구려의 역사가 중국과위 투쟁사로 이루어지므로, 그 가운데에서 술에 대한 이야기와 양조법이 전재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최초로 우리나라 역사에 술에 관한 이야기가 기록된 것은 <고삼국사기>로서, 고구려를 세운 주몽의 건국 담 중에 술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이것은 설화에 속하는 것이지만 우리나라의 술의 내력도 매우 오래 되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① 원숭이 일화
인류보다 원숭이나 동물들이 먼저 술을 마시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태곳적에 과일나무 밑에 바위틈이나 웅덩이에 무르익은 과일이 떨어져 쌓이고, 문더러져 과즙이 괴이면, 자연에 존재하는 효모에 의하여 발효가 일어나 저절로 술이 빚어지게 되었다. 영리한 원숭이들은 우연이 마신 술 맛에 반하게 되었고, 그 맛을 잊지 못하여 직접 술을 만들어 마시기도 하였다는데, 그 방법은 과일을 이용하여 바위틈에 담아 술을 만들었고, 특히 놀라운 것은 도토리를 씹어서 술을 담그는 것을 발견하였다고 전하여 진다.
② 신은 물을 만들고 인간은 술을 만들었다
문자가 탄생하기 훨씬 이전부터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 은대의 유적에서 술 빚는 항아리가 발견된 사실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③ 건국담
술 이야기가 최초로 등장하는 문헌은 <제왕운기>라 할 수 있다. 동명성왕 건국 담에 얽힌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고삼국사>에서 인용되었다. 하백의 세 딸 유화, 선화, 위화가 더위를 피해 청하(지금의 압록강)의 웅심연(연못)에서 놀고 있었다. 이때 천제의 아들 해모수가 세 처녀를 보고 그 아름다움에 도취되어 신하를 시켜 가까이 하려고 하였으나 그들은 응하지 않았다. 그 뒤 해모수가 신하의 말을 듣고 새로 웅장한 궁실을 지어 그들을 초청하였는데, 초대에 응한 세 처녀가 술대접 을 받고 만취한 후 돌아가려 하였다. 그러자 해모수는 앞을 가로막고 하소연하였으나 세 처녀는 달아났다. 그들의 뒤를
1.술의 어원
1) 지방 각설이 타령에서부터 시작
어느 지방 각설이 타령에 이런 구절이 있다.
“...밥은 바빠서 못 먹겠고, 죽(粥)은 죽어도 못 먹겠고, 술만 수울술 넘어간다,,,”
술이란 호칭이 이 타령에서처럼 목구멍으로 술술 잘 넘어간다 하여 생긴 이름 일까?
한편, 술을 마시는 모양-술술 잘 넘어간다고 할 때의 -을 형용하는 의성음이 \'술\'의 어원이라는 통속어원 학설도 있다.
2) 역사적 기록
천소영에 의하면, 술의 본래 말은 ‘수블/수불’이었다고 기록 된다. 조선 시대의 문헌에는 ‘수울’ 혹은 ‘수을’로 기록되어 있어, 이 수블은 ‘수블 > 수울 > 수을 > 술’ 로 변해 왔음을 알 수 있다. 수블의 의미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으나, 술을 빚는 과정에서 발효가 이루어져 열을 가하지 않더라도 부글부글 물이 끓어오르며 거품이 괴어오르는 화학변화가 일어난다. 이러한 발효현상은 옛사람의 눈에는 참으로 신비스럽게 보였을 것이다. 물에서 난데없이 불이 붙는 다는 뜻으로 ‘수불’이라 하지 않았을까 싶다.
2. 술의 기원
우리나라 술의 역사는 정확하게 추정하기가 어렵고, 어떤 방법으로 술이 처음제조 되었는지 그 기원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우리나라의 문화가 중국의 문화권에서 파생 전래되어 왔음을 상기하고, 술의 유래도 중국에서 연유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특히, 고구려의 역사가 중국과위 투쟁사로 이루어지므로, 그 가운데에서 술에 대한 이야기와 양조법이 전재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최초로 우리나라 역사에 술에 관한 이야기가 기록된 것은 <고삼국사기>로서, 고구려를 세운 주몽의 건국 담 중에 술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이것은 설화에 속하는 것이지만 우리나라의 술의 내력도 매우 오래 되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① 원숭이 일화
인류보다 원숭이나 동물들이 먼저 술을 마시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태곳적에 과일나무 밑에 바위틈이나 웅덩이에 무르익은 과일이 떨어져 쌓이고, 문더러져 과즙이 괴이면, 자연에 존재하는 효모에 의하여 발효가 일어나 저절로 술이 빚어지게 되었다. 영리한 원숭이들은 우연이 마신 술 맛에 반하게 되었고, 그 맛을 잊지 못하여 직접 술을 만들어 마시기도 하였다는데, 그 방법은 과일을 이용하여 바위틈에 담아 술을 만들었고, 특히 놀라운 것은 도토리를 씹어서 술을 담그는 것을 발견하였다고 전하여 진다.
② 신은 물을 만들고 인간은 술을 만들었다
문자가 탄생하기 훨씬 이전부터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중국 은대의 유적에서 술 빚는 항아리가 발견된 사실로도 충분히 알 수 있다.
③ 건국담
술 이야기가 최초로 등장하는 문헌은 <제왕운기>라 할 수 있다. 동명성왕 건국 담에 얽힌 다음과 같은 이야기가 <고삼국사>에서 인용되었다. 하백의 세 딸 유화, 선화, 위화가 더위를 피해 청하(지금의 압록강)의 웅심연(연못)에서 놀고 있었다. 이때 천제의 아들 해모수가 세 처녀를 보고 그 아름다움에 도취되어 신하를 시켜 가까이 하려고 하였으나 그들은 응하지 않았다. 그 뒤 해모수가 신하의 말을 듣고 새로 웅장한 궁실을 지어 그들을 초청하였는데, 초대에 응한 세 처녀가 술대접 을 받고 만취한 후 돌아가려 하였다. 그러자 해모수는 앞을 가로막고 하소연하였으나 세 처녀는 달아났다. 그들의 뒤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