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긍정적 청소년발달과 적응유연성
2. 청소년발달의 목적
참고문헌
2. 청소년발달의 목적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간을 보낸다.
18. 청소년 프로그램 - 청소년은 학교나 지역사회에서 매주 3시간 이상 스포츠나 클럽 또는 단체활동을 하면서 시간을 보낸다.
19. 종교 활동 - 청소년은 매주 1시간 이상 종교기관에서 활동한다.
20. 가정에서의 시간 - 청소년은 매주 2시간 이하로 친구들과 “특별한 아무것도 하지 않은 상태로” 집에서 시간을 보낸다.
- 내적 자원(internal assets) -
<학습 관여; commitment to learning>
21. 성취동기 - 청소년은 학교에서 학습을 잘 하기 위해 동기유발되어 있다.
22. 학교 참여 - 청소년은 적극적으로 학습에 몰입한다.
23. 과제 - 청소년은 적어도 1시간씩 학교 숙제를 하는 것으로 보고한다.
24. 학교와의 결속 - 청소년은 그들의 학교를 보호한다.
25. 즐거움을 위한 독서 - 청소년은 매주 3시간 이상 즐거움을 위해 독서한다.
<긍정적 가치>
26. 돌봄 - 청소년은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데 높은 가치를 둔다.
27. 평등과 사회 정의 - 청소년은 평등성을 촉진하고 기아와 빈곤을 감소시키는데 높은 가치를 둔다.
28. 성실성 - 청소년은 그들의 신념을 위해 희생하고 행동을 취한다.
29. 정직성 - 청소년은 “비록 쉽지 않더라도 진리를 말한다”.
30. 책임성 - 청소년은 개인적 책무성을 수용하고 따른다.
31. 억제 - 청소년은 성적으로 적극적이거나 알코올이나 다른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다고 믿고 있다.
<사회적 유능성; social competencies>
32. 계획과 의사결정 - 청소년은 미래를 어떻게 계획하고 선택해야 하는지를 알고 있다.
33. 대인관계 유능성 - 청소년은 공감과 민감성 및 우정 형성 기술을 갖고 있다.
34. 문화적 유능성 - 청소년은 다른 문화/민족/인종적 배경의 사람들에 대해 지식을 갖고 있으며 편안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35. 저항 기술 - 청소년은 부정적인 또래압력과 위험상황에 저항할 수 있을 것이다.
36. 원만한 갈등해결 - 청소년은 갈등을 비폭력적으로 해결하고자 노력한다.
<긍정적 정체감; positive identity>
37. 개인 역량 - 청소년은 “나에게 일어나는 일”을 통제할 수 있다고 느낀다.
38. 자기 존중감 - 청소년은 높은 자기 존중감을 가진 것으로 보고한다.
39. 목적의식 - 청소년은 “나의 삶은 목적이 있다”고 보고한다.
40.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 - 청소년은 그들 개신의 장래에 대해 낙관적이다.
출처: Hamilton, S. F., & Hamilton, M, A. (2004). The youth development handbook. Sage Publications. p. 18.
참고문헌
정규석, 김영미 외 저, 청소년복지의 이해, 학지사 2013
이현림, 홍상옥 외 저, 청소년 비행과 상담, 교육과학사 2014
모경환, 이미리 외 저, 청소년문제와 보호, 교육과학사 2014
김도일, 김은하 외 저, 청소년 상담학 개론, 학지사 2014
법무부 저, 청소년의 법과 생활, 법무부 2013
18. 청소년 프로그램 - 청소년은 학교나 지역사회에서 매주 3시간 이상 스포츠나 클럽 또는 단체활동을 하면서 시간을 보낸다.
19. 종교 활동 - 청소년은 매주 1시간 이상 종교기관에서 활동한다.
20. 가정에서의 시간 - 청소년은 매주 2시간 이하로 친구들과 “특별한 아무것도 하지 않은 상태로” 집에서 시간을 보낸다.
- 내적 자원(internal assets) -
<학습 관여; commitment to learning>
21. 성취동기 - 청소년은 학교에서 학습을 잘 하기 위해 동기유발되어 있다.
22. 학교 참여 - 청소년은 적극적으로 학습에 몰입한다.
23. 과제 - 청소년은 적어도 1시간씩 학교 숙제를 하는 것으로 보고한다.
24. 학교와의 결속 - 청소년은 그들의 학교를 보호한다.
25. 즐거움을 위한 독서 - 청소년은 매주 3시간 이상 즐거움을 위해 독서한다.
<긍정적 가치>
26. 돌봄 - 청소년은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데 높은 가치를 둔다.
27. 평등과 사회 정의 - 청소년은 평등성을 촉진하고 기아와 빈곤을 감소시키는데 높은 가치를 둔다.
28. 성실성 - 청소년은 그들의 신념을 위해 희생하고 행동을 취한다.
29. 정직성 - 청소년은 “비록 쉽지 않더라도 진리를 말한다”.
30. 책임성 - 청소년은 개인적 책무성을 수용하고 따른다.
31. 억제 - 청소년은 성적으로 적극적이거나 알코올이나 다른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다고 믿고 있다.
<사회적 유능성; social competencies>
32. 계획과 의사결정 - 청소년은 미래를 어떻게 계획하고 선택해야 하는지를 알고 있다.
33. 대인관계 유능성 - 청소년은 공감과 민감성 및 우정 형성 기술을 갖고 있다.
34. 문화적 유능성 - 청소년은 다른 문화/민족/인종적 배경의 사람들에 대해 지식을 갖고 있으며 편안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35. 저항 기술 - 청소년은 부정적인 또래압력과 위험상황에 저항할 수 있을 것이다.
36. 원만한 갈등해결 - 청소년은 갈등을 비폭력적으로 해결하고자 노력한다.
<긍정적 정체감; positive identity>
37. 개인 역량 - 청소년은 “나에게 일어나는 일”을 통제할 수 있다고 느낀다.
38. 자기 존중감 - 청소년은 높은 자기 존중감을 가진 것으로 보고한다.
39. 목적의식 - 청소년은 “나의 삶은 목적이 있다”고 보고한다.
40.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견해 - 청소년은 그들 개신의 장래에 대해 낙관적이다.
출처: Hamilton, S. F., & Hamilton, M, A. (2004). The youth development handbook. Sage Publications. p. 18.
참고문헌
정규석, 김영미 외 저, 청소년복지의 이해, 학지사 2013
이현림, 홍상옥 외 저, 청소년 비행과 상담, 교육과학사 2014
모경환, 이미리 외 저, 청소년문제와 보호, 교육과학사 2014
김도일, 김은하 외 저, 청소년 상담학 개론, 학지사 2014
법무부 저, 청소년의 법과 생활, 법무부 2013
추천자료
[사회복지]청소년복지 [분석/조사]
청소년복지정책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청소년복지정책
[사회복지] 청소년복지의 전망과 과제
청소년복지의 개념과 필요성 및 목표
청소년복지 서비스 전달체계
청소년복지의 발달과 변화과정
청소년복지의 이해 기관방문 - 좋은 사람 청소년 운동본부 일산지부(종류 : 청소년 문화센터)
청소년복지전달체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청소년복지의 임파워먼트 접근방법의 정의, 특성, 접근방법의 실천원칙에 대해 서술하시오.
청소년복지의 내용(보호, 참여, 자립, 연대)을 중심으로 해당 정책을 분석
청소년복지의 필요성과 목표에 대해 제시하고 과제와 개선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