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목차
제공전전 9회 조문회는 서호에서 제공을 방문하고 취한 선사는 서호에서 신령한 부적을 훔치다.
제공전전 10회 조빈이 야간에 각천루를 찾고 영웅은 의리에 기대 공자를 구제하다.
제공전전 11회 형제가 서로 인식해 각자 앞의 정을 서술하며 주인과 하인은 난리에 도망가 잠깐 이씨집에 깃들었다
제공전전 제 12회 제공이 잘 한전원을 제도하고 빈한한 선비는 자식을 버리고 성승을 만나다.
제공전전 10회 조빈이 야간에 각천루를 찾고 영웅은 의리에 기대 공자를 구제하다.
제공전전 11회 형제가 서로 인식해 각자 앞의 정을 서술하며 주인과 하인은 난리에 도망가 잠깐 이씨집에 깃들었다
제공전전 제 12회 제공이 잘 한전원을 제도하고 빈한한 선비는 자식을 버리고 성승을 만나다.
본문내용
회두아고아묘리적위태급니파오뢰팔괘천사부도래
回 [hui//tou] :1) 고개를 돌리다 2) 돌아오다 3) 뉘우치다
제공화상이 말했다. “돌아와 내가 내 절안에 있는 위태를 시켜 오뢰팔괘천사부적을 훔쳐오라고 하겠소.”
李國元說:\"師父, 廟中韋馱是泥胎, 能東西?\"
이국원설 사부 니묘중위태시니태 즘마능투동서
泥胎 [niti] :1) 토우 2) 흙 인형
이국원이 말했다. “사부님, 당신 사당안에 위태는 흙인형인데 어찌 물건을 훔친다는 말입니까?”
濟公說:\"能行。我們那韋馱專管些閑事。\"
제공설 능행 아문나위태전관사한사
事 [xianshi] :1) 남의 일 2) 중요하지 않은 일 3) 자기와 상관없는 일
管 [zhungun] :1) 전문적으로 관리하다 2) 오로지 3) 전적으로
제공이 말했다. “할 수 있소, 우리는 저 위태태자가 이런 중요하지 않은 일을 전적으로 관장하오.”
李國元說:\"師父, 樣去請?\"
이국원설 사부 즘양거청
[znyang] :1) 어떠하다 2) 어떠하냐 3) 어떻게
이국원이 설명했다. “사부님, 어찌 가서 청하렵니까?”
和尙說:\"我得就去他商量, 得拿錢雇他去, 白叫他去不成。們喝着酒等我, 我先去, 回頭再喝。\"
와상설 아득취거근타상량 득나전고타거 자규타거불성 니문갈착주등아 아선거 회두재갈
화상이 말했다. “내가 가서 그와 상의하고 그에게 고용비를 줘가지고 그에게 가서 이루지 못할 것입니다. 당신들은 술을 마시고 저를 기다리시면 제가 먼저 가서 곧장 다시 술을 마시겠습니다.”
和尙站起身, 往外就走。
화상참기신 왕외취주
화상은 몸을 일으켜 밖으로 곧 달려갔다.
二人送出回來。
이인송출회래
두 사람은 전송하러 나왔다가 돌아왔다.
李國元說:\"趙兄長, 聽和尙這話是眞的?\"
이국원설 조형장 니청화상저화시진적마
이국원이 말했다. “조 형님, 당신은 화상의 이 말을 진실로 들으셨습니까?”
趙文會說:\"我也不知眞假。前次在周半城家韋馱捉過妖, 這事在兩可之際, 也許是眞的。\"
조문회설 아야부지진가 전차재주반성가강위태착과요 저사재양가지제 야허시진적
可 [lingk] :1)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다 2)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다 3) 둘 다 가능하다
조문회가 말했다. “저는 진짜 가짜를 모릅니다. 앞서 주반성 집에서 위태태자를 메고와서 요괴를 붙잡으니 이번 일은 둘다 가능한 때입니다. 진짜인 듯합니다.”
再說二人擺着酒, 直等到掌燈以後。
재설이인파착주 직등도장등이후
다시 두 사람은 술자리를 차리고 곧장 등불을 켠 뒤까지 기다렸다.
二人甚爲焦急, 恐關城, 將濟公關在城外。
이인심위초급 공파관성 장제공관재성외
두 사람이 매우 초조하고 급하며 성에 빗장이 닫힐까 두려워 제공은 성밖에 있었다.
正在說着話, 就見濟公進來。
정재설착화 취견제공진래
바로 대화하는데 제공이 들어옴을 보았다.
二人說:\"師父回來了。\"
이인설 사부회래료
두 사람이 말했다. “스님 돌아오셨군요.”
濟公說:\"可氣死我了。\"
제공설 가기사아료
可 [kqi] :1) 화나다 2) 속상하다 3) 부아가 치밀다
제공이 말했다. “화나 죽겠습니다.”
趙文會說:\"師父同誰生氣?\"
조문회설 사부동수생기
조문회가 말했다. “스님은 누구에게 화가 나셨습니까?”
濟公說:\"我們廟裏韋馱。眞可恨!平常我一出來, 他就說濟師公要有事, 給我張羅着。我今天回去, 他我奔了他去, 他把一揚不理我。我就答着, 他說, ‘老韋, 我給了個事。’ 他問什事?我就提叫他到秦相府花園閣天樓去, 五雷八卦天師符。問他要多錢?他一嘴就要大價。\"
제공설 근아문묘리위태 진가한 평상아일출래 타취설제사공요유사 급아장라착 아금천회거 타초아분료타거 타파검일양불리아 아취답선착 근타설 노위 아급니조료개사 타문심마사 아취제규타도진승상부화원각천루거 투오뢰팔괘천사부 문타요다전 타일취취요대가
事 [zho//shi] :1) 일을 찾다 2) 트집을 잡다 3) 일부러 문제를 일으키다
(헐뜯을 산; -총10획; shan)
제공이 말했다. “우리 절안의 위태입니다. 진실로 한탄스럽습니다! 평상시 내가 한번 나가면 그는 스승을 도와 공에게 일이 있다고 설명하고 나에게 그물을 펼쳐 줍니다. 내가 오늘 돌아가니 그는 나를 쳐다보고 그가 달아나니 그는 얼굴에 한번 절 이해를 못합니다. 내가 비방하며 그에게 설명하니 ‘저 위태, 나는 당신에게 트집을 잡습니다.’ 그는 어떤 일인지 물었습니다. 저는 그에게 진승상댁 화원각 천루에 가서 5뢰8괘 천사부적을 훔쳐오라고 하였습니다. 그에게 많은 돈을 요구했습니까? 그는 곧 큰 댓가를 요구했습니다.”
李國元、趙文會齊說:\"他要多少錢?\"
이국원 조문회제설 타요다소전
이국원와 조문회가 일제히 말했다. “그는 얼만큼 돈을 요구합니까?”
和尙說:\"他要五吊錢。我給他五百錢。\"
화상설 타요오조전 아급타오백전
화상이 말했다. “그는 5조전을 요구합니다. 저는 그에게 500전을 주었습니다.”
李國元說:\"五吊錢也不多。\"
이국원설 오조전야부다
이국원이 말했다. “오조전이면 많지 않습니다.”
和尙說:“頭裏他倒讓了個價, 說要三吊錢, 少了不去。我說落了價, 我給添了湊滿五百錢, 多了不要。他說少了不去。故我們倆散了。我由廟裏出來走大佛寺, 見大佛寺的韋馱, 遠遠的就問我上去。我說:‘給個事, 去不去?’ 他問:‘什事?’ 我就叫他去符。說沒廟裏老韋馱說?我說說了, 因爲他要錢大多。他要三吊:我給五百錢, 沒雇停當。他說:‘我也不能少要, 少要對不起我們廟的韋馱。我說我要多花了也不對。因此又散了。”
화상설 두리타도양료개가 설요삼조전 소료불거 아설니락료가 아급니첨료주만오백전 다료불요 타설소료불거 고아문양산료 아유묘리출래주대불사 팽견대불사적위태 원원적취문아상나거 아설 급니조개사 니거불거 타문 심마사 아취규타거조부 설니몰근니묘리노위태설마 아설설료 인위타요전대다 타요삼조 아급오백전 몰고정당 타설 아야불능소요 소요대불기아문묘적위태 아설아요다화료야부대 인차우산료
[coumn] :가득 모으다
事[zho//shi] :① 일을 찾다 ② 트집을 잡다 ③ 일부러 문제를 일으키다
화상이 말했다. 먼저 그를 거꾸로 값을 양보하게 하여 3조전으로 요구설명을 하겠고, 적다면 가지 않겠습니다. 제가 그에게 가격을 낮추라고 하며 제가 너에게 5백전을 채워주며 많이 요구하지 말라고 하겠습니다. 그가 적으면 안간다고 하므로 우리들은 흩어졌습니다. 내가 사당안에서 대불사로 달려가니 대불사의 위태와 부
回 [hui//tou] :1) 고개를 돌리다 2) 돌아오다 3) 뉘우치다
제공화상이 말했다. “돌아와 내가 내 절안에 있는 위태를 시켜 오뢰팔괘천사부적을 훔쳐오라고 하겠소.”
李國元說:\"師父, 廟中韋馱是泥胎, 能東西?\"
이국원설 사부 니묘중위태시니태 즘마능투동서
泥胎 [niti] :1) 토우 2) 흙 인형
이국원이 말했다. “사부님, 당신 사당안에 위태는 흙인형인데 어찌 물건을 훔친다는 말입니까?”
濟公說:\"能行。我們那韋馱專管些閑事。\"
제공설 능행 아문나위태전관사한사
事 [xianshi] :1) 남의 일 2) 중요하지 않은 일 3) 자기와 상관없는 일
管 [zhungun] :1) 전문적으로 관리하다 2) 오로지 3) 전적으로
제공이 말했다. “할 수 있소, 우리는 저 위태태자가 이런 중요하지 않은 일을 전적으로 관장하오.”
李國元說:\"師父, 樣去請?\"
이국원설 사부 즘양거청
[znyang] :1) 어떠하다 2) 어떠하냐 3) 어떻게
이국원이 설명했다. “사부님, 어찌 가서 청하렵니까?”
和尙說:\"我得就去他商量, 得拿錢雇他去, 白叫他去不成。們喝着酒等我, 我先去, 回頭再喝。\"
와상설 아득취거근타상량 득나전고타거 자규타거불성 니문갈착주등아 아선거 회두재갈
화상이 말했다. “내가 가서 그와 상의하고 그에게 고용비를 줘가지고 그에게 가서 이루지 못할 것입니다. 당신들은 술을 마시고 저를 기다리시면 제가 먼저 가서 곧장 다시 술을 마시겠습니다.”
和尙站起身, 往外就走。
화상참기신 왕외취주
화상은 몸을 일으켜 밖으로 곧 달려갔다.
二人送出回來。
이인송출회래
두 사람은 전송하러 나왔다가 돌아왔다.
李國元說:\"趙兄長, 聽和尙這話是眞的?\"
이국원설 조형장 니청화상저화시진적마
이국원이 말했다. “조 형님, 당신은 화상의 이 말을 진실로 들으셨습니까?”
趙文會說:\"我也不知眞假。前次在周半城家韋馱捉過妖, 這事在兩可之際, 也許是眞的。\"
조문회설 아야부지진가 전차재주반성가강위태착과요 저사재양가지제 야허시진적
可 [lingk] :1)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다 2) 이래도 좋고 저래도 좋다 3) 둘 다 가능하다
조문회가 말했다. “저는 진짜 가짜를 모릅니다. 앞서 주반성 집에서 위태태자를 메고와서 요괴를 붙잡으니 이번 일은 둘다 가능한 때입니다. 진짜인 듯합니다.”
再說二人擺着酒, 直等到掌燈以後。
재설이인파착주 직등도장등이후
다시 두 사람은 술자리를 차리고 곧장 등불을 켠 뒤까지 기다렸다.
二人甚爲焦急, 恐關城, 將濟公關在城外。
이인심위초급 공파관성 장제공관재성외
두 사람이 매우 초조하고 급하며 성에 빗장이 닫힐까 두려워 제공은 성밖에 있었다.
正在說着話, 就見濟公進來。
정재설착화 취견제공진래
바로 대화하는데 제공이 들어옴을 보았다.
二人說:\"師父回來了。\"
이인설 사부회래료
두 사람이 말했다. “스님 돌아오셨군요.”
濟公說:\"可氣死我了。\"
제공설 가기사아료
可 [kqi] :1) 화나다 2) 속상하다 3) 부아가 치밀다
제공이 말했다. “화나 죽겠습니다.”
趙文會說:\"師父同誰生氣?\"
조문회설 사부동수생기
조문회가 말했다. “스님은 누구에게 화가 나셨습니까?”
濟公說:\"我們廟裏韋馱。眞可恨!平常我一出來, 他就說濟師公要有事, 給我張羅着。我今天回去, 他我奔了他去, 他把一揚不理我。我就答着, 他說, ‘老韋, 我給了個事。’ 他問什事?我就提叫他到秦相府花園閣天樓去, 五雷八卦天師符。問他要多錢?他一嘴就要大價。\"
제공설 근아문묘리위태 진가한 평상아일출래 타취설제사공요유사 급아장라착 아금천회거 타초아분료타거 타파검일양불리아 아취답선착 근타설 노위 아급니조료개사 타문심마사 아취제규타도진승상부화원각천루거 투오뢰팔괘천사부 문타요다전 타일취취요대가
事 [zho//shi] :1) 일을 찾다 2) 트집을 잡다 3) 일부러 문제를 일으키다
(헐뜯을 산; -총10획; shan)
제공이 말했다. “우리 절안의 위태입니다. 진실로 한탄스럽습니다! 평상시 내가 한번 나가면 그는 스승을 도와 공에게 일이 있다고 설명하고 나에게 그물을 펼쳐 줍니다. 내가 오늘 돌아가니 그는 나를 쳐다보고 그가 달아나니 그는 얼굴에 한번 절 이해를 못합니다. 내가 비방하며 그에게 설명하니 ‘저 위태, 나는 당신에게 트집을 잡습니다.’ 그는 어떤 일인지 물었습니다. 저는 그에게 진승상댁 화원각 천루에 가서 5뢰8괘 천사부적을 훔쳐오라고 하였습니다. 그에게 많은 돈을 요구했습니까? 그는 곧 큰 댓가를 요구했습니다.”
李國元、趙文會齊說:\"他要多少錢?\"
이국원 조문회제설 타요다소전
이국원와 조문회가 일제히 말했다. “그는 얼만큼 돈을 요구합니까?”
和尙說:\"他要五吊錢。我給他五百錢。\"
화상설 타요오조전 아급타오백전
화상이 말했다. “그는 5조전을 요구합니다. 저는 그에게 500전을 주었습니다.”
李國元說:\"五吊錢也不多。\"
이국원설 오조전야부다
이국원이 말했다. “오조전이면 많지 않습니다.”
和尙說:“頭裏他倒讓了個價, 說要三吊錢, 少了不去。我說落了價, 我給添了湊滿五百錢, 多了不要。他說少了不去。故我們倆散了。我由廟裏出來走大佛寺, 見大佛寺的韋馱, 遠遠的就問我上去。我說:‘給個事, 去不去?’ 他問:‘什事?’ 我就叫他去符。說沒廟裏老韋馱說?我說說了, 因爲他要錢大多。他要三吊:我給五百錢, 沒雇停當。他說:‘我也不能少要, 少要對不起我們廟的韋馱。我說我要多花了也不對。因此又散了。”
화상설 두리타도양료개가 설요삼조전 소료불거 아설니락료가 아급니첨료주만오백전 다료불요 타설소료불거 고아문양산료 아유묘리출래주대불사 팽견대불사적위태 원원적취문아상나거 아설 급니조개사 니거불거 타문 심마사 아취규타거조부 설니몰근니묘리노위태설마 아설설료 인위타요전대다 타요삼조 아급오백전 몰고정당 타설 아야불능소요 소요대불기아문묘적위태 아설아요다화료야부대 인차우산료
[coumn] :가득 모으다
事[zho//shi] :① 일을 찾다 ② 트집을 잡다 ③ 일부러 문제를 일으키다
화상이 말했다. 먼저 그를 거꾸로 값을 양보하게 하여 3조전으로 요구설명을 하겠고, 적다면 가지 않겠습니다. 제가 그에게 가격을 낮추라고 하며 제가 너에게 5백전을 채워주며 많이 요구하지 말라고 하겠습니다. 그가 적으면 안간다고 하므로 우리들은 흩어졌습니다. 내가 사당안에서 대불사로 달려가니 대불사의 위태와 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