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외국어교육에서의 문화
1.1 문화 개념의 층
2. 학습목표로서의 ‘문화 능력’
3. 외국어교육에서 ‘문화’의 실태
3.1 교육과정에서
3.2 교과서에서
3.3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4. ‘문화’ 중심의 외국어교육 구상
4.1 소재로서의 문화
4.2 의사소통으로서의 문화
참고자료
1.1 문화 개념의 층
2. 학습목표로서의 ‘문화 능력’
3. 외국어교육에서 ‘문화’의 실태
3.1 교육과정에서
3.2 교과서에서
3.3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4. ‘문화’ 중심의 외국어교육 구상
4.1 소재로서의 문화
4.2 의사소통으로서의 문화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 실제 외국어 수업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행위소의 네 부분에 해당되는 제반 요소들을 세밀하게 분류하여 그것이 문화특유적으로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는가를 밝혀내어야 한다. 그리고 행위소의 각 부분들은 문화소를 실현함에 있어서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각 요소들의 독특한 의존관계도 해명되어야 한다. 이 의존관계는 우선 다음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나머지 세 행위소를 ‘통제하는’ 위치에 있는 초언어적 행위소와 다른 행위소들과의 의존관계. 사회규범과 인사예절과의 관계 [예, 한국에서의 존대법/ 독일의 악수 예절 등]
둘째, ‘실행하는’ 위치에 있는 세 행위소들 간의 의존관계. 특히 비언어적 표현법은 독립적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언어 표현을 동반하기도 한다. 그리고 부차언어적 요소는 언제나 언어적 요소에 개입한다.
이러한 행위소의 의존관계는 다층적이고 복잡하게 얽혀 있고 또 문화가 다르면 의존관계도 변하기 때문에 ‘언어 문화’ 중심의 외국어 수업이 행해지기 위해서는 사전에 가능한 한 많은 ‘문화소-행위소’ 모델을 정립해 둘 필요가 있다. 특정 문화가 지닌 모든 문화소의 실현 가능성을 분류하는 작업은 그 문화가 지니고 있는 제반 의사소통 가능성을 체계화한다는 의미를 지니다. 그리고 이것은 언어 규칙을 넘어 문화 규칙을 설정하는 것이라고 보면, ‘문화소-행위소’ 모델은 외국어 수업에서 ‘언어 문법 Sprachgrammatik’과 더불어 ‘문화 문법 Kulturgrammatik’을 정립하는 기초가 된다고 하겠다.
참고 문헌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 12 외국어, 2001.
교육부: 외국어과 교육과정(Ⅱ), 1997.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1998.
Apeltauer, Ernst : Lernziel: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 In: Blickwinkel, hrsg.v. A. Wierlacher u.a, iudicium.
Bausinger, Hermann: Zur Problematik des Kulturbegriffs. In: Jahrbuch DaF 1, 7-16, 1975.
Buttjes, Dieter : Landeskunde-Didaktik und landeskundliches Curriculum. In: Handbuch Fremdsprachenunterricht, hrsg.v. Karl-Richard Bausch u.a., 3.Aufl. Francke, 1995, 142-149.
EBer, Ruth: Etwas ist mir geheim geblieben am deutschen Referat, iudicium, 1997.
Gadamer, Hans-Georg: Wahrheit und Methode, 3. erw. Aufl., 1972.
Gohring, Heinz: Deutsch als Fremdsprache und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 In: Fremdsprache Deutsch Bd 1, hrsg.v. A. Wierlacher, W. Fink, 1980.
Hernig, Marcus: China und die interkulturelle Germanistik, iudicium, 2000.
Hessisches Kultusministerium: Rahmenplan - Neue Sprachen
http://www.kultusministerium.hessen.de
Hess-Luttich, Ernst W.B.: Sprache und Kultur. In: Sprache und Kultur in der interkulturellen Marketingkommunikation. hrsg.v. Theo Bungarten, Attikon, 1994, 69-94.
Hinnenkamp, V.: Wieviel und was ist ‘kulturell’ in der interkulturellen Kommunikation? In: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 hrsg.v. Bernd Spinner, 1990.
Kalverkamper, Hartwig: Kultureme erkennen, lehren und lernen. In: FLuL 24. Jg. 1995.
Mischima, Kenichi: Zur Situation der Deutschlandstudien in Japan. In: Deuschlandstudien. international - 1. Dokumentation des Wolfenbutteler DAAD-Symposiums 1988, hrsg.v. Hans-Joachim Althof, iudicium, 1990, 127-140.
Mog, Paul: Kulturkategorien des Alltags - entwickelt am deutsch-amerikanischen Vergleich. In: Blickwinkel hrsg.v. A. Wierlacher u.a., iudicium.
Okssar, Els: Kulturemtheorie, Ein Beitrag zur Sprachverwendungsforschung, Hamburg 1988.
Storch, Gunther: Deutsche als Fremdsprache-Eine Didaktik, W. Fink, 1999.
Thum, Bernd: Einleitung. In: Gegenwart als kulturelles Erbe, hrsg.v. B. Thum, iudicium, 1985, XV-LXVII.
Vermeer, Hans J.: Sprache und Kulturanthropologie. In: Jahrbuch Deutsch als Fremdsprache Band 4, 1978.
Wierlacher, Alois: Internationalitat und Interkulturalitat. In: Wie international ist die Literaturwissenschaft? hrsg.v. Lutz Dannenberg u.a. Metzler, 1996, 550-590.
첫째, 나머지 세 행위소를 ‘통제하는’ 위치에 있는 초언어적 행위소와 다른 행위소들과의 의존관계. 사회규범과 인사예절과의 관계 [예, 한국에서의 존대법/ 독일의 악수 예절 등]
둘째, ‘실행하는’ 위치에 있는 세 행위소들 간의 의존관계. 특히 비언어적 표현법은 독립적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언어 표현을 동반하기도 한다. 그리고 부차언어적 요소는 언제나 언어적 요소에 개입한다.
이러한 행위소의 의존관계는 다층적이고 복잡하게 얽혀 있고 또 문화가 다르면 의존관계도 변하기 때문에 ‘언어 문화’ 중심의 외국어 수업이 행해지기 위해서는 사전에 가능한 한 많은 ‘문화소-행위소’ 모델을 정립해 둘 필요가 있다. 특정 문화가 지닌 모든 문화소의 실현 가능성을 분류하는 작업은 그 문화가 지니고 있는 제반 의사소통 가능성을 체계화한다는 의미를 지니다. 그리고 이것은 언어 규칙을 넘어 문화 규칙을 설정하는 것이라고 보면, ‘문화소-행위소’ 모델은 외국어 수업에서 ‘언어 문법 Sprachgrammatik’과 더불어 ‘문화 문법 Kulturgrammatik’을 정립하는 기초가 된다고 하겠다.
참고 문헌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 12 외국어, 2001.
교육부: 외국어과 교육과정(Ⅱ), 1997.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1998.
Apeltauer, Ernst : Lernziel: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 In: Blickwinkel, hrsg.v. A. Wierlacher u.a, iudicium.
Bausinger, Hermann: Zur Problematik des Kulturbegriffs. In: Jahrbuch DaF 1, 7-16, 1975.
Buttjes, Dieter : Landeskunde-Didaktik und landeskundliches Curriculum. In: Handbuch Fremdsprachenunterricht, hrsg.v. Karl-Richard Bausch u.a., 3.Aufl. Francke, 1995, 142-149.
EBer, Ruth: Etwas ist mir geheim geblieben am deutschen Referat, iudicium, 1997.
Gadamer, Hans-Georg: Wahrheit und Methode, 3. erw. Aufl., 1972.
Gohring, Heinz: Deutsch als Fremdsprache und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 In: Fremdsprache Deutsch Bd 1, hrsg.v. A. Wierlacher, W. Fink, 1980.
Hernig, Marcus: China und die interkulturelle Germanistik, iudicium, 2000.
Hessisches Kultusministerium: Rahmenplan - Neue Sprachen
http://www.kultusministerium.hessen.de
Hess-Luttich, Ernst W.B.: Sprache und Kultur. In: Sprache und Kultur in der interkulturellen Marketingkommunikation. hrsg.v. Theo Bungarten, Attikon, 1994, 69-94.
Hinnenkamp, V.: Wieviel und was ist ‘kulturell’ in der interkulturellen Kommunikation? In: Interkulturelle Kommunikation, hrsg.v. Bernd Spinner, 1990.
Kalverkamper, Hartwig: Kultureme erkennen, lehren und lernen. In: FLuL 24. Jg. 1995.
Mischima, Kenichi: Zur Situation der Deutschlandstudien in Japan. In: Deuschlandstudien. international - 1. Dokumentation des Wolfenbutteler DAAD-Symposiums 1988, hrsg.v. Hans-Joachim Althof, iudicium, 1990, 127-140.
Mog, Paul: Kulturkategorien des Alltags - entwickelt am deutsch-amerikanischen Vergleich. In: Blickwinkel hrsg.v. A. Wierlacher u.a., iudicium.
Okssar, Els: Kulturemtheorie, Ein Beitrag zur Sprachverwendungsforschung, Hamburg 1988.
Storch, Gunther: Deutsche als Fremdsprache-Eine Didaktik, W. Fink, 1999.
Thum, Bernd: Einleitung. In: Gegenwart als kulturelles Erbe, hrsg.v. B. Thum, iudicium, 1985, XV-LXVII.
Vermeer, Hans J.: Sprache und Kulturanthropologie. In: Jahrbuch Deutsch als Fremdsprache Band 4, 1978.
Wierlacher, Alois: Internationalitat und Interkulturalitat. In: Wie international ist die Literaturwissenschaft? hrsg.v. Lutz Dannenberg u.a. Metzler, 1996, 550-590.
추천자료
의사소통가족치료
조직 내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요인 및 효과적인 의사소통
사티어의 가족의사소통 이론
의사소통원칙과 과정의 중요성에 대해서 서술
[정치경제, 인플레이션압력, 시장개방압력, 의료개방압력, 의사소통압력, 성취압력, 인구압력...
[기술훈련, 자기주장기술훈련, 자기표현기술훈련, 의사소통기술훈련]기술훈련과 자기주장기술...
의사소통가족치료(주요개념, 치료목표, 치료기법, 사티어의 의사소통) 보고서
의사소통기술에서 아이 메시지(I-message)기법과 유 메시지(YOU-message)기법의 차이점을 쓰...
결혼이주여성의 의사소통 문제와 원인 및 지원방안
의사소통기술을 설명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사회복지사가 할 수 있는 준비사항 6가지...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가족간의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위한 방법에 대해 제출하시오 (가족 의...
[의사소통의 장애 중 한 가지 선택하여 이론 사례 치료방법 치료결과 부모역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