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목차
8주차 주박사 이야기
9주차 칵테일의 기초 이해
10주차 칵테일 도구와 글라스
11주차 소주와 맥주
12주차 포도주와 과실주
13주차 양주와 폭탄주
14주차 대학생의 술 문화
9주차 칵테일의 기초 이해
10주차 칵테일 도구와 글라스
11주차 소주와 맥주
12주차 포도주와 과실주
13주차 양주와 폭탄주
14주차 대학생의 술 문화
본문내용
+오렌지 주스+레몬 주스
+El presidente cocktail no.1 : 럼+파인 쥬스+그레나덴+라임 주스
+El presedente cocktail no,2 : 럼+드라이 베르무트+비터스
10 칵테일 도구와 글라스
칵테일의 용구(bar tool) / bar measuring / glassware / 글라스 닦는 법 / 글라스 잡는 법 / 칵테일의 부재료 / 칵테일의 기법
칵테일 베이스(base)의 종류
-칵테일에 주로 사용되는 베이스
+주 베이스 : 위스키, 브랜디, 데킬라 이외에
+3대 베이스 : 진, 보드카, 럼 등
+이들은 위스키처럼 곡물을 발효, 증류시켜 빚은 증류주의 일종
-술 이외의 사용되는 재료를 부재료라고 하며, 주스(juice)류, 시럽(syrup)류, 청량 음료, 스파이스(spice)류, 감미료, 과실류, 얼음 등
칵테일의 부재료
-글래스를 커스튬, 술을 바디라 한다면, 부 재료는 파운데이션.
-칵테일의 맛과 체재를 정비하는 재료. 부 재료에도 신경을 써야만 맛있는 칵테일.
칵테일의 부재료 _탄산음료
-탄산음료(carbonated drink)
+탄산가스가 든 발포성의 투명 음료로서 롱 드링크스에 많이 사용.
+맛과 향기가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누어 지는데, 모두 냉각시켜 사용하는 것이 포인트.
-탄산수(sparkling water) 향기와 맛이 들어있지 않은 순수한 탄산수. 페리에처럼 미리 탄산을 함유시킨 것과, 양질의 물에 인공적으로 탄산을 혼합시킨 것.
-사이더(cider)
탄산수에 단맛과 신맛, 과일 맛을 더한 것. 사이더란 원래 사과술을 말하는데, 프랑스어로 사이더를 뜻하는 시더(cider)도 사과술. (우리나라의 ‘사이다’는 탄산수(soda pop)임)
칵테일의 부재료 _탄산음료2
-콜라(cola)
탄산수에 콜라나무씨와 갖가지 과일의 에센스로 풍미와 단맛을 더한 탄산 음료.
-토닉워터(tonic water)
약간 쌉쌀하고 상쾌한 맛을 지닌 무색 투명한 탄산 음료. 화이트 스피리츠류에 잘 어울림.
-진저에일(ginger ale)
탄산수에 생강의 풍미와 단맛을 가한 것. 에일이란 원래 맥주의 일종인 음료를 말하지만, 진저 에일에는 알코올 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음.
-진저 맥주(ginger beer)
알코올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생강 맛의 맥주와 같은 탄산음료. 비슷한 음료로 미국에서 태어난 루트 맥주가 있는데, 드라이버들이 맥주 대신 마심.
칵테일의 부재료 _과일음료
-과일음료(juice)
+과즙을 사용하고, 알코올 성분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음료.
+일반적으로 쥬스란 천연 100%인 것을 지칭하며, 50%이상 100%미만인 것은 과즙 음료.
+칵테일에는 만들 때마다 과일을 짜서 쓰는 신선한 쥬스가 가장 적당하지만, 당분이 첨가되어 있지 않은 과즙 100%의 쥬스로 대신할 수 있음.
칵테일의 부재료 _유제품
-유제품(dairy products)
감칠맛을 내게 하거나 맛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우유와 크림. 영어로 데이리 프로덕트라 하듯이 신선미가 제일 중요. 며칠동안 냉장고에 보관한 것은 사용하지 않음.
+우유
유지방분이 많은 것이라야 감칠맛, 로우팻 우유나 첨가물이 든 우유는 칵테일용으로는 부적합
+크림
우유에서 유지방분 이외의 성분을 제거한 생크림을 말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유지방분 18% 이상인 것을 지칭. 18-15%인 것을 라이트 크림. 45% 전후인 것을 헤비 크림. 칵테일에 사용하는 것은 라이트 크림으로도 충분.
칵테일의 부재료 _설탕
-설탕(sugar)
모양과 형질에 따라 여러 타입의 설탕이 있으나, 칵테일에서는 각설탕, 그래뉼 당을 장식용으로, 파우더 슈거, 슈거 시럽을 단맛을 내기 위한 것으로 많이 사용. 녹기 쉽고, 다른 재료와 혼합하기 쉬운 슈거 시럽이 가장 널리 사용. 많은 시럽 가운데서도 석류의 풍미와 색깔을 가진 빨간 색의 그레나딘 시럽(grenadine syrup)이 흔히 사용.
+슈거시럽 만드는 법
재료[완성된 후 약 250ml] : 그래뉴 당[또는 상백당 300g], 물 200cc
설탕과 물의 비율은 3:2
솥에 설탕과 물을 넣고 끓이는 방법도 있으나, 이렇게 하면 찌꺼기가 생기므로 제거가 불가피.
칵테일의 부재료 _소금
-소금(salt)
데킬라를 스트레이트로 마실 때 곁들이거나 스노 스타일로 장식할 때 사용.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입자가 부드러운 요리용 정제염이 좋음.
칵테일의 부재료 _허브와 스파이스
-허브와 스파이스(herb & spice)
독특한 향기가 있어, 칵테일에 풍미를 더하거나 술의 냄새를 억제할 때 사용. 약용 효과도 있어, 식욕 증진이나 소화제 역할을 하는 것도 있음. 향기가 생명이므로 향내가 날아가버리거나 습기가 스며들지 않게 보관하는 것이 요령
+민트(mint)
박하로 알려진 식물로, 청량감 있는 멘톨 향기가 특징. 달콤한 향기가 있는 스피아민트, 향기가 약한 쿨민트, 향기가 강한 페퍼민트 등 이 구하기 쉬움. 칵테일에는 새 잎이 3,4장 달린 끝부분을 사용하는데, 페퍼민트는 적게 사용하는 것이 좋음.
칵테일의 부재료 _허브와 스파이스2
+시나몬(cinnamon)
방향성 향기와 신맛을 가지고 있으며, 알코올의 강한 냄새를 부드럽게 해 줌. 칵테일에 많이 쓰이는 것은 파우더 타입. 스틱 타입은 매들러의 역할.
+너츠맥(natmeg)
우리말로는 육두구. 달콤한 자극성 향내가 나며 계란이나 크림의 비린내를 제거. 둥근 것을 홀타입. 잘게 부순 것을 그랜드 타입, 자루로 된 파우더 타입의 3종류. 칵테일에는 파우더 타입이나 홀 타입을 사용.
칵테일의 부재료 _허브와 스파이스3
+페퍼(pepper)
후추로서 쓴맛과 자극적인 향기. 쓴맛이 강한 검은 후추와 향기가 강한 흰 후추가 있는데, 칵테일에서는 향기를 중시하기 때문에 흰 후추를 사용.
+타바스코(tabasco)
짜릿하면서도 상당히 쓴맛을 가지고 있는데, 토마토 쥬스를 사용하는 칵테일에 씀.
+클로브(clove)
전향나무. 덥게 하면 달콤한 향내가 나는데, 핫 드링크에 사용되며 알코올의 강한 냄새를 억제.
칵테일의 부재료 _얼음의 종류
-칵테일용 얼음
얼음 속에 공기가 들어가 있지 않은 얼음.
냄새가
+El presidente cocktail no.1 : 럼+파인 쥬스+그레나덴+라임 주스
+El presedente cocktail no,2 : 럼+드라이 베르무트+비터스
10 칵테일 도구와 글라스
칵테일의 용구(bar tool) / bar measuring / glassware / 글라스 닦는 법 / 글라스 잡는 법 / 칵테일의 부재료 / 칵테일의 기법
칵테일 베이스(base)의 종류
-칵테일에 주로 사용되는 베이스
+주 베이스 : 위스키, 브랜디, 데킬라 이외에
+3대 베이스 : 진, 보드카, 럼 등
+이들은 위스키처럼 곡물을 발효, 증류시켜 빚은 증류주의 일종
-술 이외의 사용되는 재료를 부재료라고 하며, 주스(juice)류, 시럽(syrup)류, 청량 음료, 스파이스(spice)류, 감미료, 과실류, 얼음 등
칵테일의 부재료
-글래스를 커스튬, 술을 바디라 한다면, 부 재료는 파운데이션.
-칵테일의 맛과 체재를 정비하는 재료. 부 재료에도 신경을 써야만 맛있는 칵테일.
칵테일의 부재료 _탄산음료
-탄산음료(carbonated drink)
+탄산가스가 든 발포성의 투명 음료로서 롱 드링크스에 많이 사용.
+맛과 향기가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나누어 지는데, 모두 냉각시켜 사용하는 것이 포인트.
-탄산수(sparkling water) 향기와 맛이 들어있지 않은 순수한 탄산수. 페리에처럼 미리 탄산을 함유시킨 것과, 양질의 물에 인공적으로 탄산을 혼합시킨 것.
-사이더(cider)
탄산수에 단맛과 신맛, 과일 맛을 더한 것. 사이더란 원래 사과술을 말하는데, 프랑스어로 사이더를 뜻하는 시더(cider)도 사과술. (우리나라의 ‘사이다’는 탄산수(soda pop)임)
칵테일의 부재료 _탄산음료2
-콜라(cola)
탄산수에 콜라나무씨와 갖가지 과일의 에센스로 풍미와 단맛을 더한 탄산 음료.
-토닉워터(tonic water)
약간 쌉쌀하고 상쾌한 맛을 지닌 무색 투명한 탄산 음료. 화이트 스피리츠류에 잘 어울림.
-진저에일(ginger ale)
탄산수에 생강의 풍미와 단맛을 가한 것. 에일이란 원래 맥주의 일종인 음료를 말하지만, 진저 에일에는 알코올 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음.
-진저 맥주(ginger beer)
알코올 성분을 포함하지 않은 생강 맛의 맥주와 같은 탄산음료. 비슷한 음료로 미국에서 태어난 루트 맥주가 있는데, 드라이버들이 맥주 대신 마심.
칵테일의 부재료 _과일음료
-과일음료(juice)
+과즙을 사용하고, 알코올 성분은 함유되어 있지 않은 음료.
+일반적으로 쥬스란 천연 100%인 것을 지칭하며, 50%이상 100%미만인 것은 과즙 음료.
+칵테일에는 만들 때마다 과일을 짜서 쓰는 신선한 쥬스가 가장 적당하지만, 당분이 첨가되어 있지 않은 과즙 100%의 쥬스로 대신할 수 있음.
칵테일의 부재료 _유제품
-유제품(dairy products)
감칠맛을 내게 하거나 맛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우유와 크림. 영어로 데이리 프로덕트라 하듯이 신선미가 제일 중요. 며칠동안 냉장고에 보관한 것은 사용하지 않음.
+우유
유지방분이 많은 것이라야 감칠맛, 로우팻 우유나 첨가물이 든 우유는 칵테일용으로는 부적합
+크림
우유에서 유지방분 이외의 성분을 제거한 생크림을 말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유지방분 18% 이상인 것을 지칭. 18-15%인 것을 라이트 크림. 45% 전후인 것을 헤비 크림. 칵테일에 사용하는 것은 라이트 크림으로도 충분.
칵테일의 부재료 _설탕
-설탕(sugar)
모양과 형질에 따라 여러 타입의 설탕이 있으나, 칵테일에서는 각설탕, 그래뉼 당을 장식용으로, 파우더 슈거, 슈거 시럽을 단맛을 내기 위한 것으로 많이 사용. 녹기 쉽고, 다른 재료와 혼합하기 쉬운 슈거 시럽이 가장 널리 사용. 많은 시럽 가운데서도 석류의 풍미와 색깔을 가진 빨간 색의 그레나딘 시럽(grenadine syrup)이 흔히 사용.
+슈거시럽 만드는 법
재료[완성된 후 약 250ml] : 그래뉴 당[또는 상백당 300g], 물 200cc
설탕과 물의 비율은 3:2
솥에 설탕과 물을 넣고 끓이는 방법도 있으나, 이렇게 하면 찌꺼기가 생기므로 제거가 불가피.
칵테일의 부재료 _소금
-소금(salt)
데킬라를 스트레이트로 마실 때 곁들이거나 스노 스타일로 장식할 때 사용.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입자가 부드러운 요리용 정제염이 좋음.
칵테일의 부재료 _허브와 스파이스
-허브와 스파이스(herb & spice)
독특한 향기가 있어, 칵테일에 풍미를 더하거나 술의 냄새를 억제할 때 사용. 약용 효과도 있어, 식욕 증진이나 소화제 역할을 하는 것도 있음. 향기가 생명이므로 향내가 날아가버리거나 습기가 스며들지 않게 보관하는 것이 요령
+민트(mint)
박하로 알려진 식물로, 청량감 있는 멘톨 향기가 특징. 달콤한 향기가 있는 스피아민트, 향기가 약한 쿨민트, 향기가 강한 페퍼민트 등 이 구하기 쉬움. 칵테일에는 새 잎이 3,4장 달린 끝부분을 사용하는데, 페퍼민트는 적게 사용하는 것이 좋음.
칵테일의 부재료 _허브와 스파이스2
+시나몬(cinnamon)
방향성 향기와 신맛을 가지고 있으며, 알코올의 강한 냄새를 부드럽게 해 줌. 칵테일에 많이 쓰이는 것은 파우더 타입. 스틱 타입은 매들러의 역할.
+너츠맥(natmeg)
우리말로는 육두구. 달콤한 자극성 향내가 나며 계란이나 크림의 비린내를 제거. 둥근 것을 홀타입. 잘게 부순 것을 그랜드 타입, 자루로 된 파우더 타입의 3종류. 칵테일에는 파우더 타입이나 홀 타입을 사용.
칵테일의 부재료 _허브와 스파이스3
+페퍼(pepper)
후추로서 쓴맛과 자극적인 향기. 쓴맛이 강한 검은 후추와 향기가 강한 흰 후추가 있는데, 칵테일에서는 향기를 중시하기 때문에 흰 후추를 사용.
+타바스코(tabasco)
짜릿하면서도 상당히 쓴맛을 가지고 있는데, 토마토 쥬스를 사용하는 칵테일에 씀.
+클로브(clove)
전향나무. 덥게 하면 달콤한 향내가 나는데, 핫 드링크에 사용되며 알코올의 강한 냄새를 억제.
칵테일의 부재료 _얼음의 종류
-칵테일용 얼음
얼음 속에 공기가 들어가 있지 않은 얼음.
냄새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