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톰센과 삼시대법
1.머리말
2.삼시대법의 등장 배경과 내용
1)삼시대법의 등장배경
2)삼시대법의 내용
3.삼시대법에 대한 평가와 그 영향
4.삼시대법과 한국고고학
1)연구사
5.맺음말
1.머리말
2.삼시대법의 등장 배경과 내용
1)삼시대법의 등장배경
2)삼시대법의 내용
3.삼시대법에 대한 평가와 그 영향
4.삼시대법과 한국고고학
1)연구사
5.맺음말
본문내용
선사시대를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등으로 나누는 삼시대법이 완성되었다.
3.삼시대법에 대한 평가와 그 영향
삼시대법은 덴마크를 중심으로 한 스칸디나비아에서 널리 수용되었다. 나아가 20세기 중반까지 전세계의 고고학에 영향을 주었으며, 편년의 설정과 문화단계를 구명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삼시대법은 지역에 따라 아직까지도 유효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선사문화를 시간적, 공간적으로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삼시대법은 프랑스에서 구석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러복에 의해 석기시대는 구석기와 신석기시대로 분리되어 4시대가 되었고, 웨스트럽에 의해 중석기시대의 개념이 제시된 후에 5시대가 되었다. 따라서 20세기에 들어와 시대구분은 5시대가 되었으나, 기본적으로 삼시대법이 근간인 것이다. 단지 5시대란 석기시대가 세분되었을 뿐이다.
그러나 이 삼시대법은 단순한 도구의 재료와 기술상의 진전만을 의식한 것으로 계속적인 지지를 받지 못하게 되었다. 특히 20세기 중반 이후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이 보편화 되고 문화가 다양하게 설명되면서 도구 발전에 따른 시대구분은 더 이상 유럽의 선사문화를 설명할 수가 없게 되었다. 그런데 유럽의 고고학 개설서격인 『유럽의 선사문화』에서는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등으로 분류하고 있어 삼시대법이 비교적 늦게까지 고수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1980). 그러나 더 후에 나온『선사시대의 유럽』에서는 시대구분에 얽매이지 않고 문화의 변천에 따르는 시기구분을 제기하고 있다(1987). 미국의 경우 삼시대법은 처음부터 수용되지 않았고 유럽과는 다르게 시대를 구분하였다. 윌리 등은 미국의 선사문화를 석기, 고기, 형성기, 고전기, 후기고전기 단계 등으로 나누고 있다. 이것은 미국이 지역적으로 워낙 넓어서 문화의 발전단계가 각기 다르고 획일적인 시대 구분의 의미가 적기 때문에 지역별로 다른 문화발전단계가 제시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삼시대법은 유럽과 미국고고학계에서는 현재 사용되지 않으나, 고고학이 학문적으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 밖의 지역에서는 삼시대법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고고학의 연구전통이 다르다는 점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 고고학에 있어서 시대구분이란 커다란 문화적인 변화를 기분으로 구분하여 각 시대의 문화적인 특징을 잘 나타내기 위한 것
3.삼시대법에 대한 평가와 그 영향
삼시대법은 덴마크를 중심으로 한 스칸디나비아에서 널리 수용되었다. 나아가 20세기 중반까지 전세계의 고고학에 영향을 주었으며, 편년의 설정과 문화단계를 구명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삼시대법은 지역에 따라 아직까지도 유효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선사문화를 시간적, 공간적으로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삼시대법은 프랑스에서 구석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러복에 의해 석기시대는 구석기와 신석기시대로 분리되어 4시대가 되었고, 웨스트럽에 의해 중석기시대의 개념이 제시된 후에 5시대가 되었다. 따라서 20세기에 들어와 시대구분은 5시대가 되었으나, 기본적으로 삼시대법이 근간인 것이다. 단지 5시대란 석기시대가 세분되었을 뿐이다.
그러나 이 삼시대법은 단순한 도구의 재료와 기술상의 진전만을 의식한 것으로 계속적인 지지를 받지 못하게 되었다. 특히 20세기 중반 이후 방사성탄소연대측정법이 보편화 되고 문화가 다양하게 설명되면서 도구 발전에 따른 시대구분은 더 이상 유럽의 선사문화를 설명할 수가 없게 되었다. 그런데 유럽의 고고학 개설서격인 『유럽의 선사문화』에서는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등으로 분류하고 있어 삼시대법이 비교적 늦게까지 고수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1980). 그러나 더 후에 나온『선사시대의 유럽』에서는 시대구분에 얽매이지 않고 문화의 변천에 따르는 시기구분을 제기하고 있다(1987). 미국의 경우 삼시대법은 처음부터 수용되지 않았고 유럽과는 다르게 시대를 구분하였다. 윌리 등은 미국의 선사문화를 석기, 고기, 형성기, 고전기, 후기고전기 단계 등으로 나누고 있다. 이것은 미국이 지역적으로 워낙 넓어서 문화의 발전단계가 각기 다르고 획일적인 시대 구분의 의미가 적기 때문에 지역별로 다른 문화발전단계가 제시되고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삼시대법은 유럽과 미국고고학계에서는 현재 사용되지 않으나, 고고학이 학문적으로 발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 밖의 지역에서는 삼시대법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고고학의 연구전통이 다르다는 점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다. 그런데 고고학에 있어서 시대구분이란 커다란 문화적인 변화를 기분으로 구분하여 각 시대의 문화적인 특징을 잘 나타내기 위한 것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