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여러 가지 인간의 본질에 대한 소고
Ⅲ. 여러 철학가들의 사상에 대한 나의 견해
1) 토마스 홉스
2) 흄
3) 다윈
4) 니체
5) 마르크스
6) 프로이드
7) 기타
Ⅳ. 맺으며
Ⅱ. 여러 가지 인간의 본질에 대한 소고
Ⅲ. 여러 철학가들의 사상에 대한 나의 견해
1) 토마스 홉스
2) 흄
3) 다윈
4) 니체
5) 마르크스
6) 프로이드
7) 기타
Ⅳ. 맺으며
본문내용
지 요구와 본성만이 우리의 행위를 이끌 수 있다고 믿었다.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본능과 이성간의 관계는 꾸준히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하지만 시대마다 해석이 다르고 개인마다 의견의 차이가 보이는 듯하다. 흄은 이성의 기능을 거의 묵살하고 이성은 우리에게 목적을 정해줄 수 없고, 다만 우리가 이미 욕구하는 것을 달성하는 방법을 가르쳐줄 뿐 이라면서 이성은 감성의 노예라고 표현했다.
이글을 읽으면서 약간의 의문을 품게 되었는데 그러한 주장을 했던 흄은 과연 자신의 의견을 이성을 배제하고 주장 했을까?, 모든 사람들의 행위가 본성이나 욕구로 이루어진다면 그의 이런 주장도 이성적으로 판단하기에 앞서 본능적으로 자신의 입장에서 유리하게만 쓰인 것이 아닌가 생각됐다.
3) 다윈
다윈은 \"종의 기원\"이라는 저서에서 좀 더 생물학적 관점으로 인간본성에 접근을 시도했다. 그의 사상은 적자생존법칙을 선두로 새우고 지금 살아남은 사람은 그야말로 운이 좋게 생존방법을 터득해 진화 발전 하면서 지금 이 지구에서 살아가고 있다고 말한다. 그 말은 본성이란 원래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고 계속 진화 발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상은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에서 시작된 존재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전재를 배격한 것인데 이는 더 이상 생명체는 이제 어떤 종의 보편적 특질을 공유하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윈은 초등학교 중학교 과학 시간에 배우길 그 시대의 유명한 생물학자였다고 배웠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깜짝 놀랐다. 단순하게 생물학적 이론이 아닌 우리 본질에 대한 물음이 담겨져 있는 것 이다.다윈은 사회도 약육강식의 법칙을 통하여 강한 자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고 한다. 예전이라면 모를까 요즘 국제정세를 보면 그 말이 실감나기도 한다.
미국이 아프간과 전쟁을 하는데 그게 어떻게 전쟁인가? 아무리 보복 이라곤 해도 테러나 전쟁이나 무엇이 칭찬 받을 일인가? 아무래도 미국이 몸이 근질근질해서 싸울 상대를 찾고 있진 않았나 싶다. 단편적인 예지만 그런 의미에서 다윈은 훌륭한 철학자였을지도 모른다.
4) 니체
니체는 루터교 목사의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5살 이후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와 할머니와 살면서 성장하였다. 그는 기독교를 지금가지 존재한중에 가장 치명적이고 유혹적인 거짓말이라면서 비난했다. 그리고 플라톤의 견해 또한 지나치게 정적이라며 구박했다. 그는 정적인 것을 싫어했다. 가치는 언제나 변한다고 믿었기에 ‘진리란 없다.’라고도 말한다.
내가 이 장을 읽으면서 종교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기독교 불교 등등 수많은 교리들이 있다. 특히 기독교는 전 세계 가장 많은 팬을 확보한 인기 종교일 것이다. 나도 기독교에 심취해서 반년정도 성경을 공부한 적 이 있었다. 그러나 그게 나의 상상보다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다. 내가 지금껏 배웠던 가치들이 그다지 소용없어 보였고 지금의 상황으론 편을 들자면 나는 니체의 편을 들어 줄 것이다. 나 또한 얼마 배우진 않았지만 그런 천편일률적 인건 싫은 거다. 나도 정적인 것이 너무 싫다. 희망을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 본능과 이성간의 관계는 꾸준히 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하지만 시대마다 해석이 다르고 개인마다 의견의 차이가 보이는 듯하다. 흄은 이성의 기능을 거의 묵살하고 이성은 우리에게 목적을 정해줄 수 없고, 다만 우리가 이미 욕구하는 것을 달성하는 방법을 가르쳐줄 뿐 이라면서 이성은 감성의 노예라고 표현했다.
이글을 읽으면서 약간의 의문을 품게 되었는데 그러한 주장을 했던 흄은 과연 자신의 의견을 이성을 배제하고 주장 했을까?, 모든 사람들의 행위가 본성이나 욕구로 이루어진다면 그의 이런 주장도 이성적으로 판단하기에 앞서 본능적으로 자신의 입장에서 유리하게만 쓰인 것이 아닌가 생각됐다.
3) 다윈
다윈은 \"종의 기원\"이라는 저서에서 좀 더 생물학적 관점으로 인간본성에 접근을 시도했다. 그의 사상은 적자생존법칙을 선두로 새우고 지금 살아남은 사람은 그야말로 운이 좋게 생존방법을 터득해 진화 발전 하면서 지금 이 지구에서 살아가고 있다고 말한다. 그 말은 본성이란 원래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고 계속 진화 발전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상은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에서 시작된 존재의 본질에 관한 철학적 전재를 배격한 것인데 이는 더 이상 생명체는 이제 어떤 종의 보편적 특질을 공유하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윈은 초등학교 중학교 과학 시간에 배우길 그 시대의 유명한 생물학자였다고 배웠다. 그런데 이 책을 읽으면서 깜짝 놀랐다. 단순하게 생물학적 이론이 아닌 우리 본질에 대한 물음이 담겨져 있는 것 이다.다윈은 사회도 약육강식의 법칙을 통하여 강한 자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고 한다. 예전이라면 모를까 요즘 국제정세를 보면 그 말이 실감나기도 한다.
미국이 아프간과 전쟁을 하는데 그게 어떻게 전쟁인가? 아무리 보복 이라곤 해도 테러나 전쟁이나 무엇이 칭찬 받을 일인가? 아무래도 미국이 몸이 근질근질해서 싸울 상대를 찾고 있진 않았나 싶다. 단편적인 예지만 그런 의미에서 다윈은 훌륭한 철학자였을지도 모른다.
4) 니체
니체는 루터교 목사의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5살 이후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와 할머니와 살면서 성장하였다. 그는 기독교를 지금가지 존재한중에 가장 치명적이고 유혹적인 거짓말이라면서 비난했다. 그리고 플라톤의 견해 또한 지나치게 정적이라며 구박했다. 그는 정적인 것을 싫어했다. 가치는 언제나 변한다고 믿었기에 ‘진리란 없다.’라고도 말한다.
내가 이 장을 읽으면서 종교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기독교 불교 등등 수많은 교리들이 있다. 특히 기독교는 전 세계 가장 많은 팬을 확보한 인기 종교일 것이다. 나도 기독교에 심취해서 반년정도 성경을 공부한 적 이 있었다. 그러나 그게 나의 상상보다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다. 내가 지금껏 배웠던 가치들이 그다지 소용없어 보였고 지금의 상황으론 편을 들자면 나는 니체의 편을 들어 줄 것이다. 나 또한 얼마 배우진 않았지만 그런 천편일률적 인건 싫은 거다. 나도 정적인 것이 너무 싫다. 희망을
키워드
추천자료
아동기[장애아동]
인간행동과사회환경1B) 행동발달에 대한 행동주의 이론의 입장과 요점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B형] 행동발달에 대한 스키너(B. Skinner)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C형]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A형] 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
[아동상담이론] 정신분석적 상담이론(정신분석치료)
[2017 인간행동과사회환경A형] 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
[2017 인간행동과사회환경 C형]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
[2017 인간행동과사회환경E형]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Rogers)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교육학과]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B형] 행동발달에 대한 스키너(B. Skinner)이론의 특징과 의...
[교육학과]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C형]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B형] 행동발달에 대한 스키너(B. Skinner)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C형] 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인간행동과사회환경E형:)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Rogers)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