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완충용액
● 서론
1.실험 목적
2.실험 방법
● 실험이론
1. 실험에 사용되는 반응이론
2. 실험에 사용되는 방법이론
3. 실험의 배경이론
4. 실험에 필요한 용어
● 실험
1. 실험장비
2. 시약 및 시료
3. 실험 방법
● 실험결과
● 고찰 및 결론
● 참고문헌
● 서론
1.실험 목적
2.실험 방법
● 실험이론
1. 실험에 사용되는 반응이론
2. 실험에 사용되는 방법이론
3. 실험의 배경이론
4. 실험에 필요한 용어
● 실험
1. 실험장비
2. 시약 및 시료
3. 실험 방법
● 실험결과
● 고찰 및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
끓는점(°C)
녹는점(°C)
용해도g/100mL
기타
EDTA
292.24
514.15
0.2
자극성, 눈에 해롭다.
CH₃COOH
60.05
391.25
289.85
매우 잘 섞임
자극성, 눈에 해롭다.
KOH
56.106l
1327
420
110
가성칼륨 또는 가성칼리라고도 함
CH₃CO2Na
82.04
324
46.2
※ 용해도는 20°C 기준
3. 실험 방법
㉠. 0.1M인 약산 Ethyldiamine tetraacetic acid(EDTA, pK=1.70) 500ml를 0.1M 수산화
칼륨으로 적정할 때 적당한 pH 변화를 구한다.
㉡. 0.2M Acetate 완충용액(pH 5.0) 3ℓ를 식초산나트륨 (3수화물:MW=136)과 1M의 식초산
수용액의 소비량을 계산한다.
● 실험결과
KOH투여량
(ml)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시험지
pH
4.5
4.5
4.5
4.5
4.5
4.5
4.5
4.5
KOH투여량
450
500
550
600
650
700
750
800
시험지
pH
6
7.5
7.5
7.5
7.5
7.5
7.5
8
● 고찰 및 결론
위 두가지 실험중 EDTA를 사용하는 실험만 실행했다. 위 실험결과의 시험지 사진과 pH표를
보면 KOH를 넣었을때 400ml까지는 pH의 변화를 식별할 수 없다가 450ml를 넣어주자 시험지
색깔이 변했다. 그 변화량이 약 1.5정도로 400ml에서 450ml 사이 지점에서 완충용액의
용량한계가 있음을 알수 있다. 이후 KOH를 더 넣어줌에 따라 pH가 계속상승하게 된다.
위에 표에서는 pH7에서 계속 머무는 듯한 결과가 나왔는데 이것은 실험상의 오차라고 생각
된다. 실제로는 계속해서 pH가 증가했겠지만 시험지의 색깔이 표현을 하지 못한 것이다.
실제로 500ml 지점과 750ml 혹은 800ml 지점을 비교하면 그 차이가 식별가능 하지만
500ml지점과 550ml 지점을 비고하면 육안으로 차이를 식별할 수 없다. pH시험지가 지니는
한계라는 생각이 든다.
위 실험에서의 완충용량 계산 지점을 425ml로 놓게 그 값을 계산해 보면 염기에 대하여
0.085mol/L가 된다.
이 계산 값을 정확한 값이 될수 없는데 가장 큰 이유는 실제 완충용량을 계산해야 하는 지점이
425ml가 아니라 400ml이나 450ml중 어느 쪽에 더 가까울 수 있기 때문이다. 실험을 통해 어떤
용액의 정확한 완충용량을 할고자 한다면 위 실험에서
끓는점(°C)
녹는점(°C)
용해도g/100mL
기타
EDTA
292.24
514.15
0.2
자극성, 눈에 해롭다.
CH₃COOH
60.05
391.25
289.85
매우 잘 섞임
자극성, 눈에 해롭다.
KOH
56.106l
1327
420
110
가성칼륨 또는 가성칼리라고도 함
CH₃CO2Na
82.04
324
46.2
※ 용해도는 20°C 기준
3. 실험 방법
㉠. 0.1M인 약산 Ethyldiamine tetraacetic acid(EDTA, pK=1.70) 500ml를 0.1M 수산화
칼륨으로 적정할 때 적당한 pH 변화를 구한다.
㉡. 0.2M Acetate 완충용액(pH 5.0) 3ℓ를 식초산나트륨 (3수화물:MW=136)과 1M의 식초산
수용액의 소비량을 계산한다.
● 실험결과
KOH투여량
(ml)
50
100
150
200
250
300
350
400
시험지
pH
4.5
4.5
4.5
4.5
4.5
4.5
4.5
4.5
KOH투여량
450
500
550
600
650
700
750
800
시험지
pH
6
7.5
7.5
7.5
7.5
7.5
7.5
8
● 고찰 및 결론
위 두가지 실험중 EDTA를 사용하는 실험만 실행했다. 위 실험결과의 시험지 사진과 pH표를
보면 KOH를 넣었을때 400ml까지는 pH의 변화를 식별할 수 없다가 450ml를 넣어주자 시험지
색깔이 변했다. 그 변화량이 약 1.5정도로 400ml에서 450ml 사이 지점에서 완충용액의
용량한계가 있음을 알수 있다. 이후 KOH를 더 넣어줌에 따라 pH가 계속상승하게 된다.
위에 표에서는 pH7에서 계속 머무는 듯한 결과가 나왔는데 이것은 실험상의 오차라고 생각
된다. 실제로는 계속해서 pH가 증가했겠지만 시험지의 색깔이 표현을 하지 못한 것이다.
실제로 500ml 지점과 750ml 혹은 800ml 지점을 비교하면 그 차이가 식별가능 하지만
500ml지점과 550ml 지점을 비고하면 육안으로 차이를 식별할 수 없다. pH시험지가 지니는
한계라는 생각이 든다.
위 실험에서의 완충용량 계산 지점을 425ml로 놓게 그 값을 계산해 보면 염기에 대하여
0.085mol/L가 된다.
이 계산 값을 정확한 값이 될수 없는데 가장 큰 이유는 실제 완충용량을 계산해야 하는 지점이
425ml가 아니라 400ml이나 450ml중 어느 쪽에 더 가까울 수 있기 때문이다. 실험을 통해 어떤
용액의 정확한 완충용량을 할고자 한다면 위 실험에서
추천자료
효소 pH에 따른 enzyme activity 측정
화학실험-산과 염기, 산염기적정과 pH 변화, 산해리상수 (당량점, 종말점, 몰농도, 노르말농...
인체의 pH 조절
염기 표준용액 만들기(2차 표준용액)
EDTA 표준용액의 제조 및 농도결정
실험 3 ph측정
[보고서]pH, 전기전도도, TSS 및 탁도 실험보고서
[보고서]pH, SS, 탁도, 전기전도도
분석화학 - pH meter를 이용한 산,염기 적정 및 Gran도시
[공학/컴퓨터/통신] PH미터에 의한 수소 이온 농도의 측정 [예비]
10- 지시약과 pH
[생물학 실험] 효소의 작용에 미치는 온도, pH, salt에 따른 작용 - 실험결과
수소이온농도(pH), 온도(Tem.), 전기전도도(EC.), 탁도(Turb.)
[생명실험보고서] 표피조직의 관찰 - 탄수화물의 검출 및 소화효소 : 화학적 반응실험을 통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