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란무엇인가 감상) 카의 역사란무엇인가 저자 E.H. 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란무엇인가 감상) 카의 역사란무엇인가 저자 E.H. 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저자 E.H.카의 업적과 역사관

2. 작품내용 요약 및 분석
(1) 역사와 역사가의 관계
(2) 사회와 개인의 관계
(3) 역사와 과학, 도덕과의 관계
(4) 역사의 인과관계
(5) 진보로서의 역사와 지평선의 확대

3. 역사에 대한 우리들의 인식과 그 의미

4. 카의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비판적 고찰

5. 역사의 진보, 그 풀리지 않을 숙제

본문내용

에 관한 학술서나 교양서가 거의 없었던 시절, 꼼꼼하게 번역된 이 책은 지식인, 대학생 사이에 회자되기 시작했다. 이후 《역사란 무엇인가?》는 1980년대 운동권 학생들의 필독서가 되었다. 카가 보여준 철저한 사회과학적 접근법과 역사적 필연성, 진보에 대한 확신 그리고 역사를 실천해나가는 인간 주체성에 대한 강조들이 이들의 세계관과 딱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이처럼 카의 책은 이른바 386세대에 큰 영향을 주었고, 이들 세대는 반공과 독재를 무너뜨리고 우리 사회의 민주화를 확립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한 것이다.
역사학계 내부에서도 많은 변화를 겪었다. 해방 이후 실증주의 역사학이 주류를 형성했지만, 《역사란 무엇인가?》가 국내에 소개되고 진보적, 발전적 역사관이 자리를 잡으면서 민중 사학, 아래로부터의 역사에 눈을 돌리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이제는 민족, 계급, 자본과 같은 전통적 역사 범주를 털어내고 미시사, 문화사, 여성사,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식민주의 등 새롭고 다양한 연구 분야가 넘쳐나고 있다. 이처럼 카의 역사학은 20세기 한국 사회, 한국 역사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고, 이제 카를 넘어서려는 이 책의 시도 또한 우리 사회와 역사학의 변화를 뒤돌아보고 21세기 한국 사회를 총체적으로 가늠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그렇다면 E. H. 카는 누구인가? (Carr, Edward Hallett, 1892.6.28~1982.11.3) 1892년 런던에서 출생하여 런던의 머천트 테일러즈 스쿨(Merchant Taylors\'School)과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트리니티 칼리지(TrinityCollege)를 졸업했는데, 1916년에 외무부에 들어가서 수많은 업무들에 종사한 후 1936년에 사임했으며, 웨일스 유니버시티 칼리지의 국제정치학과 교수가 되었다. 그리고 1941년부터 1946년까지는 「더 타임스「The Times)」의 부(副)편집인을 역임했고, 1953년부터 1955년까지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베일리얼 칼리지의 정치학 튜터(Totur)였고, 1955년에는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트리니티 칼리지의 펠로우가 되었고, 1966년에는 옥스퍼드 대학교의 베일리얼 칼리지의 명예연구원(Honorary Fellow)이 되었다. 역사가로서의 그는 그의 기념비적인 저작 「소련사」로 가장 유명한데, 그의 다른 저작들 중에는「낭만의 망명객」「20년간의 위기」「평화의 조건」그리고 「나폴레옹에서 스탈린까지」등이 있고 1982년에 사망했다.
특히《역사란 무엇인가?》는 카의 명성을 전 세계적으로 떨치게 한 계기가 되었다. 카의 역사관은역사는 역사가가 몸담고 있는 사회와 시대를 반영하고, 역사 해석은 불변의 객관적 사실을 밝히는 것이 아니라 역사가가 그 사실을 어떻게 수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라고 요약할 수 있다.
2. 작품내용 요약 및 분석
(1) 역사와 역사가의 관계
<역사란 무엇인가?>는 1961년에 있었던 케임브리지 대학의 영속 강연에서 발표된 것으로 후에BBC방송이나 주간지 리스너(Listner)를 통해서도 일반에게 보급되었다. 1961년 출간된 이 책은1964년 포켓판으로 재출간되었다.
근대 역사학의 확립자 랑케(Ranke)는 \"역사가란 자기 자신을 죽이고 과거가 본래 어떠한 상태에 있었는가를 밝히는 것을 지상 과제로 삼아야 하며 오직 사실로 하여금 이야기하게 해야 한다\"라고 말함으로써 과거의 \'역사적 사실들 그 자체\'에 큰 비중을 두었었다. 그러나 이와는 정반대되는 역사인식론이 금세기에 크로체(B.Croce)나 콜링우드(R.G.Collingwood)에 의해 피력되었다. 그들에 의하면 모든 역사는 현대의 역사이다.
\"모든 역사적 판단의 기초를 이루는 것은 실천적 요구이기
  • 가격1,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2.26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67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