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에어로빅의 필요성
Ⅱ. 에어로빅의 장점
Ⅲ. 에어로빅의 수업
Ⅳ. 에어로빅과 수중 에어로빅
1. 지상 운동과 비교한 수중 운동의 장점들
2. 일반 에어로빅과 비교할 때 수중 에어로빅이 갖는 특성
Ⅴ. 에어로빅의 쿨다운
1. 목적
2. 시간
3. 호흡
4. 스트레칭
5. 심박수
Ⅵ. 에어로빅의 운동 상해
1. Types of Injuries
2. Common Aerobic Dance Injuries
참고문헌
Ⅱ. 에어로빅의 장점
Ⅲ. 에어로빅의 수업
Ⅳ. 에어로빅과 수중 에어로빅
1. 지상 운동과 비교한 수중 운동의 장점들
2. 일반 에어로빅과 비교할 때 수중 에어로빅이 갖는 특성
Ⅴ. 에어로빅의 쿨다운
1. 목적
2. 시간
3. 호흡
4. 스트레칭
5. 심박수
Ⅵ. 에어로빅의 운동 상해
1. Types of Injuries
2. Common Aerobic Dance Injuries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 다리에 남아있게 된다. 급히 동작을 중지하면 실신하거나 심장에 과도한 부담을 줄 수 있다.
2. 시간
유산소 운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2-3분 걷는다.
3. 호흡
힘을 빼고 생리적 반사작용에 의한 호흡수와 깊이에 따른다. 수강자는 산소의 수요량을 알고 거기에 맞추어 규칙적인 호흡을 하도록 한다.
4. 스트레칭
쿨다운을 2-3분 실시한 후 다음의 운동으로 옮기거나 혹은 휴식하기 전에 장딴지와 내측슬근의 굴신운동을 해준다.
5. 심박수
마루에서 행하는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주의하여 심박수를 다시 한 번 측정하도록 한다. 유산소 운동의 5분후에는 최고 심박수의 60%(220에서 연령을 빼고 0.6을 곱한다.)이하로 낮아져 있어야 한다. 만약 너무 높은 경우 완전히 내려갈 때까지 천천히 걸어야 한다.
Ⅵ. 에어로빅의 운동 상해
1. Types of Injuries
(운동상해의 형태, 합:153명,100%)
Strain(근경련)61(39.8)
Sprain(삠)18(11.8)
Tendinitis/bursitis(건염/활액낭염)41(26.8)
Frecture(골절)3(2.0)
Dislocation(탈구)1(0.7)
Laceration/Abrasion(찢어진 상처/찰과상)2(1.3)
Others27(17.6)
2. Common Aerobic Dance Injuries
(일반적인 에어로빅 운동상해, 합:110,71.7%)
Lumbar strain(요통)26(17.0)
Shin splint(정강이 상해)19(12.4)
Ankle sprain(발목을 삠)16(10.5)
Plantar fascits(족저 근막염)11(7.2)
Chondromalacia(연골 연화증)9(5.9)
Pes anserinus bursitis(발 활액낭 염)7(4.6)
Achilles tendinitis(아킬레스 건염)6(3.9)
Patellar tendinitis(슬개골 건염)6(3.9)
Hip pointer(팩 관절 상해)5(3.3)
Groin pull(대퇴부 경련)5(3.3)
참고문헌
가야누마 아야꼬 저, 김경희 역(1993), 에어로빅 교실, 하서출판사
강형숙(2003), 에어로빅 운동 가이드 북, 홍경
박상욱, 김재우(2008), 에어로빅 운동, S&D
전형구(1999), 에어로빅의 이론과 실제, 홍경
조규청(2001), 에어로빅 구성론, 홍경
Lynne Brick 저, 한국대학에어로빅스연맹 역(2008), 휘트니스 에어로빅, S&D
2. 시간
유산소 운동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2-3분 걷는다.
3. 호흡
힘을 빼고 생리적 반사작용에 의한 호흡수와 깊이에 따른다. 수강자는 산소의 수요량을 알고 거기에 맞추어 규칙적인 호흡을 하도록 한다.
4. 스트레칭
쿨다운을 2-3분 실시한 후 다음의 운동으로 옮기거나 혹은 휴식하기 전에 장딴지와 내측슬근의 굴신운동을 해준다.
5. 심박수
마루에서 행하는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주의하여 심박수를 다시 한 번 측정하도록 한다. 유산소 운동의 5분후에는 최고 심박수의 60%(220에서 연령을 빼고 0.6을 곱한다.)이하로 낮아져 있어야 한다. 만약 너무 높은 경우 완전히 내려갈 때까지 천천히 걸어야 한다.
Ⅵ. 에어로빅의 운동 상해
1. Types of Injuries
(운동상해의 형태, 합:153명,100%)
Strain(근경련)61(39.8)
Sprain(삠)18(11.8)
Tendinitis/bursitis(건염/활액낭염)41(26.8)
Frecture(골절)3(2.0)
Dislocation(탈구)1(0.7)
Laceration/Abrasion(찢어진 상처/찰과상)2(1.3)
Others27(17.6)
2. Common Aerobic Dance Injuries
(일반적인 에어로빅 운동상해, 합:110,71.7%)
Lumbar strain(요통)26(17.0)
Shin splint(정강이 상해)19(12.4)
Ankle sprain(발목을 삠)16(10.5)
Plantar fascits(족저 근막염)11(7.2)
Chondromalacia(연골 연화증)9(5.9)
Pes anserinus bursitis(발 활액낭 염)7(4.6)
Achilles tendinitis(아킬레스 건염)6(3.9)
Patellar tendinitis(슬개골 건염)6(3.9)
Hip pointer(팩 관절 상해)5(3.3)
Groin pull(대퇴부 경련)5(3.3)
참고문헌
가야누마 아야꼬 저, 김경희 역(1993), 에어로빅 교실, 하서출판사
강형숙(2003), 에어로빅 운동 가이드 북, 홍경
박상욱, 김재우(2008), 에어로빅 운동, S&D
전형구(1999), 에어로빅의 이론과 실제, 홍경
조규청(2001), 에어로빅 구성론, 홍경
Lynne Brick 저, 한국대학에어로빅스연맹 역(2008), 휘트니스 에어로빅, S&D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