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사채][기업 전환사채][기업 교환사채][기업 회사채][기업 사모사채와 공모사채][전환사채][교환사채][회사채][사모사채와 공모사채]기업 전환사채, 기업 교환사채, 기업 회사채, 기업 사모사채와 공모사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업 사채][기업 전환사채][기업 교환사채][기업 회사채][기업 사모사채와 공모사채][전환사채][교환사채][회사채][사모사채와 공모사채]기업 전환사채, 기업 교환사채, 기업 회사채, 기업 사모사채와 공모사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기업 전환사채
1. 대리인비용가설(Agency Costs Hypothesis)
2. 재무위험비용가설(Costs of Financial Distress Hypothesis)

Ⅱ. 기업 교환사채
1. 의의
2. 교환사채 발행에 관한 법규의 도입
3.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와의 비교
4. 주권상장법인 또는 협회등록법인 아닌 법인의 교환사채 발행가능성

Ⅲ. 기업 회사채
1. 한국자본시장의 회사채 발행의 현황
2. 자료의 선정

Ⅳ. 기업 사모사채와 공모사채
1. 정보비대칭
2. 재무 위험
3. 대리인비용
4. 발행비용
5. 독점적 정보
6. 신용등급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업들은 자산대체와 과소투자 행태에서 도덕적 해이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Krishnaswami, Spindt & Subramaniam(1999) 등은 사모채권자들은 고도화된 감시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부채계약에 있어서 계약조항을 강화하고자 하는 강한 인센티브를 갖고 있기 때문에, 과소투자 문제와 같은 도덕적 해이 문제를 극복할 능력이 탁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은 기업의 시장가치 대 장부가치 비율과 사모로 발행된 부채비중의 정(+)의 관련성을 발견하였다.
4. 발행비용
회사채 발행비용의 정도가 사모사채와 공모사채 선택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공모사채의 발행에는 증권거래소 상장등록비, 중개기관 수수료, 법률수수료 및 기타 거래비용이 수반된다. Blackwell & Kidwell(1988)은 공모사채 발행은 높은 고정비용 요소가 존재한다는 증거를 제시한바 있다. 사모발행은 증권거래소 상장등록, 주간사회사의 의견, 유가증권신고서 등 공인된 서류의 제출이 생략되어도 무방하며 단지 은행차입과 같이 개별적인 계약, 채권자와 채무자의 계약사항에 대한 조정 등이 필요한 것이다. 또한 발행금액이 대규모인 경우 투자자금 조달의 한계로 말미암아 사모발행이 적절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5. 독점적 정보
차입기업의 자금운영에 관한 독점적 정보(proprietary information)의 유출가능성은 공모발행과 사모발행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기업이 공모부채를 이용할 때는 그 운용에 관한 공적인 보고서를 제시해야 하기 때문에 경쟁기업에게 전략적 정보유출의 잠재성이 존재한다. Bhattacharya & Chiesea(1995) 등과 Yosha(1995)는 기업내부 운영에 관한 독점정보 유출에 대해 민감도가 높은 기업들은 공모발행보다는 사모를 통한 자금조달을 선호한다고 보고 있다.
6. 신용등급
해당 기업의 신용등급은 기업의 전반적인 신용평가 수준에서 사모공모 의사결정과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신용등급이 높은 기업의 경우에는 공모발행을 선호할 것으로 판단된다. 왜냐하면, 신용등급이 높은 기업에 대해서는 자금제공자의 비교적 완화된 감시(monitoring)가 이루어 질 것이고, 만일 이들이 잘못된 투자의사결정을 한다면 명성에 의존한 차입기회를 상실할 것이기 때문이다. 반면, 낮은 신용등급을 가진 기업들은 사모사채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Diamond(1991)는 정보비대칭 문제가 적고 신용등급이 높은 기업들은 공모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회사채 발행과 관련한 기존연구들을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사채발행기업은 다음 상황에서 공모발행보다는 사모발행을 더 선호한다고 할 수 있다. 차입자와 자금 공급자 사이의 정보비대칭 정도가 높을수록, 재무위험이 증가할수록, 대리인문제가 보다 심각할수록, 회사채 발행규모 및 발행비용이 적을수록, 기업내부 특정정보의 방어를 보다 중요시 할수록, 그리고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들이 공모발행보다는 사모발행을 선호하는 것이라 추정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정옥 외 1명, 지분전환가능사채의 발행과 이익조정 : 공모와 사모발행을 중심으로, 한국회계학회, 2004
김상백, 이익참가부사채와 교환사채에관한 비교법적 연구, 고려대학교, 1991
문성훈, 조세와 전환사채 발행유형 결정, 한국세무학회, 2010
안승철 외 2명, 기업의 회사채 조달방법 선택에 관한 연구, 한국재무관리학회, 2004
정무권 외 1명, 전환사채 발행과 기업의 성장성, 한국재무관리학회, 2009
최병선, 우리 기업의 해외증권 발행 : 교환사채를 중심으로, 한국증권법학회, 2002
  • 가격6,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3.08.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74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