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인기 있는 관광지를 살펴보면 영화 자체만의 효과로 홍보가 되었을 뿐 마케팅 계획이나 프로그램으로 관광객을 유치한 곳은 거의 없다. 그래서 영화의 인기나 관심이 사라지면 자연스레 관광객들도 줄어드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위해서 라도 주기적이고 체계적인 마케팅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 기본적인 관광 컨테츠 마련 소홀
주서루의 경내 외는 배용준이 주연을 맡아 일본에서 흥행을 한 영화‘외출’의 촬영장소라는 안내표지나 홍보물은 보이지 않고, 경내 대문안쪽에 한국어, 일어, 영어 등으로 된 접이식 팜플릿과 ‘외출’의 촬영지 약도가 포함된 3쪽 접이식 팜플릿이 비치되어 있을 뿐이었다. 관광객들이 몰리기 시작하면서 뒤늦게 안내판 설치에 바빴으며 대부분 일본 관광객들이 저렴한 식사와 함께 촬영지에서 기념촬영을 끝내자마자 돌아가는 1시간짜리 관광을 하고 있어 인근의 일부 숙박업소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관광 특수가 없었다. 이처럼 내국인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일부지만 관광객이 찾아옴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촬영 관광지에서는 이런 관광객의 발길을 오랫동안 잡아둘 컨테츠는 아무것도 없을뿐더러 하물며 그곳이 촬영지였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우리의 가장 큰 문제는 컨테츠 부족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② 영화제의 문제점
㉠ 영화제의 정체성의 불투명
한국의 영화제들은 그 도시의 특성에 맞는 영화제를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제를 개최해야 한다는 것에 먼저 동의한 후에 영화제의 개최 목적을 찾는 경우가 많다. 이러기 때문에 비슷한 장르의 영화제가 여러 도시에 개최되고 있는 것이다.
㉡ 관 중심의 영화제
대부부의 영화제는 지방자치 단체의 목적과 영화인의 이해가 맞아 떨어져서 성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때로는 영화제의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나친 간섭 혹은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영화제의 정치적 활용의도 등이 영화제의 존폐를 위협하는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 영화제의 중복성
물론 좋은 작품들이 많고 이것을 통해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이 필요하다면, 같은 주제의 영화제의 개최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치 않은 상황에서 비슷한 성격의 영화제가 많음으로 인해 집중성이 떨어지게 되고 결국 영화제의 신뢰가 떨어지며 관광객에게 영화제의 방문 필요성을 잃게 만드는 것이다.
-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 부천국제 학생 애니메이션페스티벌, 서울국제만화 애니메이션페스티벌
- 단편영화제 : 부산아시아니단편영화제,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
- 디지털 영화제 : 서울국제 영화제, 전주 국제 영화제
- 어린이 영화제 : 곡양국제어린이영화제, 부산국제어린이영화제
- 청소년영화제 : 대한민국국제청소년영화제, 서울국제청소년 영화제
6. 영화관광 산업과 IT
① 영화관의 IT
㉠ 디지털 시네마
제작, 배급, 상영 등의 각 분야에서 디지털 시네마는 필름 제작 기반 영화와는 차별성을 띠고 있다. 제작단계에서는 과거 필름 사용 시, 촬영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거나, 제작자의 의도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재촬영을 해야되는데, 디지털 제작 시 이러한 과정을 줄일 수 있어, 필름 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름을 디지털화 하고 나서 색의 보정 및 편집을 하는 과정도 간략해질 수 있어 제작에 소요되는 공수나 시간 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배급 단계에서도 완성된 영화를 영사하기 위해서는 필름 프린트를 작성하여 물리적인 운반 체계가 필요한데, 디지털 배급에서는 위성.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되므로 운송 및 제작비용 등의 절감과 보다 안전한 배급을 가능하게 해준다. 상영 단계 에서는 필름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따라 영사를 반복할수록 품질이 떨어지는 대신 항상 동질의 고화질과 음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원격제어를 통한 관리가 가능해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영화관의 개선
IT가 적용될수 있는 영역은 최종소비자가 제작 산출물을 즐길수 있는 시설에 대한 솔루션이다. 3D영화관, 오감 체험관 등 다양한 이름으로 신기술 적용을 위한 연구와 투자가 진행 중이며 ,시각과 청각에 의존하고 있는 현재 영상산업을 후각, 미각, 촉각 등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오감의 영역으로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복제방지/ 사용자 인증
기존 필름 중심의 영화에서 디지털 로 전환 되어 감에 따라 최종 소비자에게 전해지는 방법도 더욱 다양해지고있다. 기존 극장, DVD/VHS, 케이블, 위성,VOD등의 체널에서 인터넷을 통한 콘텐츠의 판매(다운로드)가 새롭게 도입된 것이다 이과정에서 이슈가 되는 것은 바로 불법복제 방지와 사용자 인증이다. 현제 디지털 콘텐츠와가 활성 됨에따라 저작권 보호와 요금부과 ,서비스 전달 방법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있다.
② 영화제의 IT
㉠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 - 부산국제영화제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710080155
첨단전자태그(RFID)기술이란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로써 이번 부산 국제영화제에서는 핸드폰을 이용한 RFID 기술을 선보였다. 정보통신부와 SK텔레콤은 부산국제영화제 기간동안 부산지역에서 16억원(정부 4억원)을 들여 RFID리더를 내장한 휴대폰 330대와 탈착형 RFID리더인 ‘동글’1000대를 임대해주는 ‘U-피프(PIFF)'서비스를 제공했다. 이 서비스로 인해 부산국제 영화제의 관객과 초청 인사들은 영화관련동영상, 상영시간표와 상영과, 뉴스와 행사정보, 여행정보등을 제공 받을 수 있었으며, 이로인해 당일 좌서표 현재 판매율을 10%(2006년)에서 30%로 끌어 올릴 수 있게 되었다.
㉡ DMD 서비스 - 서울영화제 https://www.pcbee.co.kr/news/read.php?num=28721
서울국제영화제에서는 위성DMB(TU미디어), 지상파DMB(한국DMB), 그리고 모바일(KTF-Fimm)을 통해 총 13개국 48편이 상영되었다. 이 영화제는 공식 홈페이지뿐 아니라 이런 DMB 서비스를 사용하여 휴대폰만 있다면 언제 어디서든 영화제 출품 된 작품을 감상 할 수 있게 하였다.
㉢ 기본적인 관광 컨테츠 마련 소홀
주서루의 경내 외는 배용준이 주연을 맡아 일본에서 흥행을 한 영화‘외출’의 촬영장소라는 안내표지나 홍보물은 보이지 않고, 경내 대문안쪽에 한국어, 일어, 영어 등으로 된 접이식 팜플릿과 ‘외출’의 촬영지 약도가 포함된 3쪽 접이식 팜플릿이 비치되어 있을 뿐이었다. 관광객들이 몰리기 시작하면서 뒤늦게 안내판 설치에 바빴으며 대부분 일본 관광객들이 저렴한 식사와 함께 촬영지에서 기념촬영을 끝내자마자 돌아가는 1시간짜리 관광을 하고 있어 인근의 일부 숙박업소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관광 특수가 없었다. 이처럼 내국인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일부지만 관광객이 찾아옴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촬영 관광지에서는 이런 관광객의 발길을 오랫동안 잡아둘 컨테츠는 아무것도 없을뿐더러 하물며 그곳이 촬영지였는지도 모르는 경우가 많다. 이런 점으로 볼 때 우리의 가장 큰 문제는 컨테츠 부족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② 영화제의 문제점
㉠ 영화제의 정체성의 불투명
한국의 영화제들은 그 도시의 특성에 맞는 영화제를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제를 개최해야 한다는 것에 먼저 동의한 후에 영화제의 개최 목적을 찾는 경우가 많다. 이러기 때문에 비슷한 장르의 영화제가 여러 도시에 개최되고 있는 것이다.
㉡ 관 중심의 영화제
대부부의 영화제는 지방자치 단체의 목적과 영화인의 이해가 맞아 떨어져서 성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래서 때로는 영화제의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지나친 간섭 혹은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영화제의 정치적 활용의도 등이 영화제의 존폐를 위협하는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다.
㉢ 영화제의 중복성
물론 좋은 작품들이 많고 이것을 통해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장이 필요하다면, 같은 주제의 영화제의 개최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치 않은 상황에서 비슷한 성격의 영화제가 많음으로 인해 집중성이 떨어지게 되고 결국 영화제의 신뢰가 떨어지며 관광객에게 영화제의 방문 필요성을 잃게 만드는 것이다.
-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 부천국제 학생 애니메이션페스티벌, 서울국제만화 애니메이션페스티벌
- 단편영화제 : 부산아시아니단편영화제, 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
- 디지털 영화제 : 서울국제 영화제, 전주 국제 영화제
- 어린이 영화제 : 곡양국제어린이영화제, 부산국제어린이영화제
- 청소년영화제 : 대한민국국제청소년영화제, 서울국제청소년 영화제
6. 영화관광 산업과 IT
① 영화관의 IT
㉠ 디지털 시네마
제작, 배급, 상영 등의 각 분야에서 디지털 시네마는 필름 제작 기반 영화와는 차별성을 띠고 있다. 제작단계에서는 과거 필름 사용 시, 촬영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거나, 제작자의 의도에 도달하지 않을 경우 재촬영을 해야되는데, 디지털 제작 시 이러한 과정을 줄일 수 있어, 필름 비용을 대폭으로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름을 디지털화 하고 나서 색의 보정 및 편집을 하는 과정도 간략해질 수 있어 제작에 소요되는 공수나 시간 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이다. 배급 단계에서도 완성된 영화를 영사하기 위해서는 필름 프린트를 작성하여 물리적인 운반 체계가 필요한데, 디지털 배급에서는 위성.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되므로 운송 및 제작비용 등의 절감과 보다 안전한 배급을 가능하게 해준다. 상영 단계 에서는 필름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따라 영사를 반복할수록 품질이 떨어지는 대신 항상 동질의 고화질과 음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원격제어를 통한 관리가 가능해 운영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영화관의 개선
IT가 적용될수 있는 영역은 최종소비자가 제작 산출물을 즐길수 있는 시설에 대한 솔루션이다. 3D영화관, 오감 체험관 등 다양한 이름으로 신기술 적용을 위한 연구와 투자가 진행 중이며 ,시각과 청각에 의존하고 있는 현재 영상산업을 후각, 미각, 촉각 등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오감의 영역으로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
㉢ 복제방지/ 사용자 인증
기존 필름 중심의 영화에서 디지털 로 전환 되어 감에 따라 최종 소비자에게 전해지는 방법도 더욱 다양해지고있다. 기존 극장, DVD/VHS, 케이블, 위성,VOD등의 체널에서 인터넷을 통한 콘텐츠의 판매(다운로드)가 새롭게 도입된 것이다 이과정에서 이슈가 되는 것은 바로 불법복제 방지와 사용자 인증이다. 현제 디지털 콘텐츠와가 활성 됨에따라 저작권 보호와 요금부과 ,서비스 전달 방법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있다.
② 영화제의 IT
㉠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 - 부산국제영화제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710080155
첨단전자태그(RFID)기술이란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로써 이번 부산 국제영화제에서는 핸드폰을 이용한 RFID 기술을 선보였다. 정보통신부와 SK텔레콤은 부산국제영화제 기간동안 부산지역에서 16억원(정부 4억원)을 들여 RFID리더를 내장한 휴대폰 330대와 탈착형 RFID리더인 ‘동글’1000대를 임대해주는 ‘U-피프(PIFF)'서비스를 제공했다. 이 서비스로 인해 부산국제 영화제의 관객과 초청 인사들은 영화관련동영상, 상영시간표와 상영과, 뉴스와 행사정보, 여행정보등을 제공 받을 수 있었으며, 이로인해 당일 좌서표 현재 판매율을 10%(2006년)에서 30%로 끌어 올릴 수 있게 되었다.
㉡ DMD 서비스 - 서울영화제 https://www.pcbee.co.kr/news/read.php?num=28721
서울국제영화제에서는 위성DMB(TU미디어), 지상파DMB(한국DMB), 그리고 모바일(KTF-Fimm)을 통해 총 13개국 48편이 상영되었다. 이 영화제는 공식 홈페이지뿐 아니라 이런 DMB 서비스를 사용하여 휴대폰만 있다면 언제 어디서든 영화제 출품 된 작품을 감상 할 수 있게 하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영화산업]한국영상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관광지 사례조사 연구-마음밭 관광농원
부산 축제 현황과 활성화 방안 전략 기획서
한류열풍 분석
[의료관광] 의료관광의 특성, 사례 및 활성화 방안
문화 통한 지역개발 성공 사례, 요구, 지역개발 사례, 해양관광, 카지노, 국제 이벤트, 문화...
농촌관광의 개요, 사례, 농촌관광의 발전방안 조사
[A+레포트]국내외 해양관광 성공요인과 사례분석 및 시사점
[영상촬영, 영화촬영, 영상언어, 시각효과]영상촬영(영화촬영)의 정의, 영상촬영(영화촬영)의...
교육관광 (교육관광 개념, 특성, 종류, 국내외 사례 및 프로그램소개, 경제적, 파급효과, 관...
도시마케팅-Hi Seoul의 마케팅전략,도시마케팅해외사례-뉴욕,런던
[음식관광] 음식관광의 중요성과 효과 및 성공사례 (음식관광의 중요성, 음식과 관광의 관계,...
[생태관광 성공사례] 생태관광의 필요성 및 성공사례 (생태관광의 필요성, 생태관광의 특성, ...
[농촌관광 사례] 농촌관광 국내외 사례, 농촌관광 발전방안 분석 - 농촌관광 사례와 농촌관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