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취하였고 부엌 주변공간에는 활기를 불어 넣었다. 비정형의 외부의 주름진 함석판과 쇠사슬, 합판 등을 통하여 다양하고 다소 왜곡된 형태로 표현되었지만 평면을 살펴보면 매우 기능적임을 볼 수 있다. 1층 평면은 중앙 계단을 중심으로 남향으로는 사적인 공간을 두고 북향으로는 공적인 공간(거실, 부엌, 식당 등)을 배치함으로서 분명한 공간적 분리를 보여주고 있으며 어둡고 일상적인 공간에 가능한 많은 빛을 유입함으로서 기존 주택에 생명감을 주고 있다.
그림 15. 게리 하우스 평면
2) Guggenheim Museum Bilbao (1993~1997)
그림 16.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스페인 빌바오에 위치한 미술관은 5개의 구겐하임 미술관 중 가장 유명한 곳으로 이곳이 위치한 빌바오 지역은 프라하와는 대조적으로 산업에 의해 이루어진 지역이며, 당시 제강 공장과 조선소의 폐업으로 빌바오 지역의 쇠퇴를 가져 왔다.
소장품과 전시품을 맡길 뉴욕의 구겐하임 재단과 전 세계인의 뇌리에 깊이 새겨질 상징물이 필요 했던 빌바오시의 노력이 합쳐져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이 계획되었다. 구겐하임 미술관의 요구조건으로는 창고와 크레인들이 있었던 강변의 스케일과의 조화, 뉴욕의 라이트의 로툰다의 출입문을 지날 수 없을 정도의 덩치 큰 최근 수집품을 위한 커다란 전시공간을 필요로 하였다. 또, 고전적인 현대 작품들을 전시할 친숙한 공간이 요구되었다.
구겐하임 미술관은 빌바오 네르비온 강의 남쪽 강변에 위치하여 도시의 산업지구와 역사적인 지역에서 바로 진입 가능하며, Puente de la Slave 다리는 빌바오 구겐하임 동쪽 경계위치에서 대지를 가로지르며 빌바오의 관문 역할을 한다. 구겐하임 미술관의 전경을 바라보면 강변에 위치한 미술관은 강의 수변 공간을 대지 깊숙히 끌어들였고, 조형적으로는 “비선형의 자유 곡선으로 수면 위에 꽃이 피어있는 느낌의 프랙탈적 요소와 폴딩효과로 꽃잎에 해당하는 표피는 고휘도의 광택이 연출되는 티타늄을 사용하였다. 미술관의 주 출입은 중앙 아트리움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곳은 곡선형 다
리, 유리 엘리베이터, 계단탑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시공간은 영구소장품, 기획전시품, 생존작가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3종류의 전시관으로 계획되어 있다. 영구소장품 전시관은 2, 3층에 있는 3개의 정사각형 갤러리 부분이며, 기획전시관은 다리 아래 부분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갤러리이고, 생존 작가 작품전시관은 미술관 곳곳에 배치되어 영구소장품과 비교
그림 17. 초기의 빌바오 구겐하임 도면
감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박스형 건물의 주 외장재는 스페인산 라임스톤인 반면 조각품과 같은 형상의 곡선부분 구조물은 티타늄 판들로 되어 있다. 내부의 벽들은 곱게 마무리된 플라스터로 되어있다. 커다랗고 반짝이는 커튼월들은 강변과 주변의 도시들을 향해 열려 있으며,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도록 기계장치가 가동되고 있다. 이러한 재료들의 사용은 빌바오시의 규모와 환경을 고려하여 설계한 것으로 강변의 유명한 건축자재를 사용함으로써 역사적 경제적, 문화적 전통을 반영하였다.
그림 18. 티타늄 패널 디테일 도면
3)Nationale-Nederlanden office building (1996)
그림 19. 네덜란덴 빌딩
체코 프라하의 블타바 강변에 위치한 네덜란덴 빌딩은 1996년 완공되었다. 이 건물이 위치한 대지는 2차 대전 이후 분주한 가로 사이에서 비어진 땅으로 ‘이빨 빠진 땅’이라고 불리워졌으며, 건축주인 콕은 자신의 생각을 보다 높여줄 건축가로 게리를 지정하게 되었다.
이 대지의 주변으로는 네오 르네상스 양식의 건물들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 프로젝트는 열성적 보수주의자들의 반대에 부
그림 15. 게리 하우스 평면
2) Guggenheim Museum Bilbao (1993~1997)
그림 16.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스페인 빌바오에 위치한 미술관은 5개의 구겐하임 미술관 중 가장 유명한 곳으로 이곳이 위치한 빌바오 지역은 프라하와는 대조적으로 산업에 의해 이루어진 지역이며, 당시 제강 공장과 조선소의 폐업으로 빌바오 지역의 쇠퇴를 가져 왔다.
소장품과 전시품을 맡길 뉴욕의 구겐하임 재단과 전 세계인의 뇌리에 깊이 새겨질 상징물이 필요 했던 빌바오시의 노력이 합쳐져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이 계획되었다. 구겐하임 미술관의 요구조건으로는 창고와 크레인들이 있었던 강변의 스케일과의 조화, 뉴욕의 라이트의 로툰다의 출입문을 지날 수 없을 정도의 덩치 큰 최근 수집품을 위한 커다란 전시공간을 필요로 하였다. 또, 고전적인 현대 작품들을 전시할 친숙한 공간이 요구되었다.
구겐하임 미술관은 빌바오 네르비온 강의 남쪽 강변에 위치하여 도시의 산업지구와 역사적인 지역에서 바로 진입 가능하며, Puente de la Slave 다리는 빌바오 구겐하임 동쪽 경계위치에서 대지를 가로지르며 빌바오의 관문 역할을 한다. 구겐하임 미술관의 전경을 바라보면 강변에 위치한 미술관은 강의 수변 공간을 대지 깊숙히 끌어들였고, 조형적으로는 “비선형의 자유 곡선으로 수면 위에 꽃이 피어있는 느낌의 프랙탈적 요소와 폴딩효과로 꽃잎에 해당하는 표피는 고휘도의 광택이 연출되는 티타늄을 사용하였다. 미술관의 주 출입은 중앙 아트리움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곳은 곡선형 다
리, 유리 엘리베이터, 계단탑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시공간은 영구소장품, 기획전시품, 생존작가 작품을 전시할 수 있는 3종류의 전시관으로 계획되어 있다. 영구소장품 전시관은 2, 3층에 있는 3개의 정사각형 갤러리 부분이며, 기획전시관은 다리 아래 부분으로 직사각형 형태의 갤러리이고, 생존 작가 작품전시관은 미술관 곳곳에 배치되어 영구소장품과 비교
그림 17. 초기의 빌바오 구겐하임 도면
감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박스형 건물의 주 외장재는 스페인산 라임스톤인 반면 조각품과 같은 형상의 곡선부분 구조물은 티타늄 판들로 되어 있다. 내부의 벽들은 곱게 마무리된 플라스터로 되어있다. 커다랗고 반짝이는 커튼월들은 강변과 주변의 도시들을 향해 열려 있으며,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도록 기계장치가 가동되고 있다. 이러한 재료들의 사용은 빌바오시의 규모와 환경을 고려하여 설계한 것으로 강변의 유명한 건축자재를 사용함으로써 역사적 경제적, 문화적 전통을 반영하였다.
그림 18. 티타늄 패널 디테일 도면
3)Nationale-Nederlanden office building (1996)
그림 19. 네덜란덴 빌딩
체코 프라하의 블타바 강변에 위치한 네덜란덴 빌딩은 1996년 완공되었다. 이 건물이 위치한 대지는 2차 대전 이후 분주한 가로 사이에서 비어진 땅으로 ‘이빨 빠진 땅’이라고 불리워졌으며, 건축주인 콕은 자신의 생각을 보다 높여줄 건축가로 게리를 지정하게 되었다.
이 대지의 주변으로는 네오 르네상스 양식의 건물들이 자리하고 있으며, 이 프로젝트는 열성적 보수주의자들의 반대에 부
키워드
추천자료
프랭크게리의 건축세계
해체주의 건축가 프랭크 게리
[건축/예술]프랭크 게리 (소개, 해체주의 & 미니멀리적 특성, 작품사례로 본 게리의 건축...
[건축/예술]프랭크 게리 (소개, 해체주의 & 미니멀리적 특성, 작품사례로 본 게리의 건축...
[프랭크게리][건축가 프랭크게리 정신][건축가 프랭크게리 건축작품][건축가 프랭크게리 건축...
[해체주의 건축][설치미술][자크 데리다][프랭크 게리]해체주의 건축의 출발, 해체주의 건축...
주택건축조사 ppt 안도다다오 리차드마이어 프랭크게리
[현대 건축가] 천재 건축가 프랭크게리 조사
[건축가][리베로]건축가 발터 그로피우스, 건축가 오스카 니마이어, 건축가 프랭크 게리, 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