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P 기업분석-HP 경영사례,도요타의 재고관리 시스템,까사미아의 재고관리 시스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HP 기업분석-HP 경영사례,도요타의 재고관리 시스템,까사미아의 재고관리 시스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기업소개

2. 문제제기

3. 상황분석

4. 해결방안

5. 결론

본문내용

초록색 셀은 이대로도 좋으나 푸른 셀의 경우 각종 마케팅을 이용하여 판매량을 늘리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Create는 Eliminate를 한 후 생겨난 경영 역량을 집중하여 신상품을 개발하거나 다른 산업에 투자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만일 이 제안을 그대로 실행한다면 순식간에 반 이상의 상품을 모두 처분해야하므로 이는 쉽지 않은 일이 될 것이다. 그렇기에 빨간색 셀의 하위 70%수준부터 처분을 시작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그 처분비율을 높여가도록 하여야 할 것을 제안한다.
하위 셀만 모아서 다시 평가할 경우 다음과 같다.상품 번호
주문수량
발생이익
상품 1개당
발생이익
상품평가
(현금흐름)
상품평가
(순이익 발생)
2
10
5000
500
건전함
건전함
8
22
45.1
2.05
불건전함
불건전함
9
22
13405
609.3182
건전함
건전함
11
22
3320
150.9091
건전함
건전함
15
2
2380
1190
건전함
건전함
16
3
0
0
불건전함
불건전함
17
3
0
0
불건전함
불건전함
19
3
0
0
불건전함
불건전함
22
3
0
0
불건전함
불건전함
23
1
13
13
불건전함
불건전함
24
4
6989
1747.25
건전함
건전함
25
2
1004
502
건전함
건전함
26
4
2880
720
건전함
건전함
27
1
384
384
불건전함
건전함
29
2
534
267
불건전함
건전함
30
1
123
123
불건전함
건전함
32
2
1193
596.5
건전함
건전함
33
2
1267
633.5
건전함
건전함
36
1
350
350
불건전함
건전함
38
2
84
42
불건전함
불건전함
39
1
194
194
불건전함
건전함
41
1
0
0
불건전함
불건전함
위 표에서 하위 70%수준에 속하는 상품 중 총이익이 100단위이며 상품당 순이익이 10단위인 경우를 다시 표시하겠다. 여기에서도 두 측면 중 하나라도 “불건전함”에 속하는, 빨간 셀로 표기된 상품들은 즉시 처분을, 초록색 셀에 속하는 상품들은 붉은 셀의 상품들을 처분 후 추가적으로 처분하길 권한다.
<결과>
상품 번호
주문수량
발생이익
상품 1개당
발생이익
상품평가
(현금흐름)
상품평가
(순이익 발생)
1
1
6500
6500
불건전함
건전함
2
10
5000
500
불건전함
불건전함
3
10
81300
8130
건전함
건전함
4
42
81900
1950
건전함
불건전함
5
30
133500
4450
건전함
건전함
6
15
48000
3200
건전함
건전함
7
8
25320
3165
건전함
건전함
9
22
13405
609.3181818
불건전함
불건전함
10
22
144348
6561.272727
건전함
건전함
11
22
3320
150.9090909
불건전함
불건전함
12
22
35245
1602.045455
건전함
불건전함
13
44
33710
766.1363636
건전함
불건전함
14
22
28645
1302.045455
건전함
불건전함
15
2
2380
1190
불건전함
불건전함
18
3
23087
7695.666667
건전함
건전함
20
3
33581
11193.66667
건전함
건전함
21
3
45444
15148
건전함
건전함
24
4
6989
1747.25
불건전함
불건전함
25
2
1004
502
불건전함
불건전함
26
4
2880
720
불건전함
불건전함
28
8
26189
3273.625
건전함
건전함
31
2
31680
15840
건전함
건전함
32
2
1193
596.5
불건전함
불건전함
33
2
1267
633.5
불건전함
불건전함
34
2
19796
9898
불건전함
건전함
35
1
6758
6758
불건전함
건전함
37
2
11285
5642.5
불건전함
건전함
40
1
83324
83324
건전함
건전함
상품 수
총이익
평균총이익
상품당 평균이익
28
937050
33466
3013
처분 전 이익표
처분 후 이익표
총이익
평균총이익
상품당 평균이익
총이익
평균총이익
상품당 평균이익
938777.1
22897
2644.4
937050
33466
3013
13종의 초기 상품을 처분하고 난 상품표는 다음과 같다.
위의 표와 같이 기존에 비해 처분 후에 이익의 크기는 938777.1에서 937050으로 약 0.2%정도 감소한 것에 비해 평균총이익은 22897에서 33466으로 45.6%의 증가를 보였으며, 상품당 평균이익은 2644.4에서 3013으로 13.9%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이익효율성에 있어서 상승 효과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41종에서 28종으로 그 수를 줄임으로써 기존의 부실상품에 할당되었던 기업 내 역량을 다른 곳에 투자할 수 있는 추가 효과를 발생시킨다. 기업은 다양성 확보를 위하여 끊임없이 확장을 하는 경우가 잦다. 하지만 양적 확장에는 장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지금까지 알아본 사례와 같이 과다한 양적 크기 확장은 자칫 기업의 수익성 구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과 동시에 현금흐름의 어려움을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각 기업은 자사에 있어 ‘합당한 양적 크기’의 수준을 분석을 통해 깨우치고, 합리적인 확장 정책을 구축하여야 할 것이다.
5. 결론
HP의 문제점은 제품의 다양성에 따른 복잡성과 과부하이다. 조직이 복잡해지면서 프로세스의 지연과 고객 서비스의 추락을 야기했다. 이로 인해 수익 구조에서 비효율성이 발견되었다. 때문에 운영상에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으며, 여러 방면에서 경쟁기업에 뒤처지는데 원인이 되었다.
우리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측면으로 해결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위에서 제기했던 HP의 문제점을 분석했을 때, 지금의 HP에 생산 공정과 재고관리 시스템 및 판매품목의 수의 조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재고관리 측면의 문제는 JIT과 Pull생산방식 시스템을 통해 개선가능하다. 다음으로, 생산공정의 경우에는 프로세스 경영혁신의 3가지 원칙을 기반으로 하여 보다나은 HP의 생산공정 시스템을 달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판매품목의 수를 다운사이징의 한 기법인 수리적 분석을 통해 수익성이 낮은 품목을 소거함으로써 수익 구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4.12.08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25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