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가족과 정신건강
1. 가족의 이해
2. 가족생애주기별 정신건강
3. 정신장애인 가족 이해
4. 보호부담과 만족
5. 가족탄력성
6. 치료지침
Ⅱ. 심리사회적 사정
1. 심리사회적 사정
2. 특수한 상황에서의 면담
3. 정신과적 면담 원칙
4. 면담자-피면담자 관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
5. 면담기법
Ⅲ. 정신보건영역별 정신보건사회복지 개입
1. 지역사회정신건강 리뷰
2. 예방영역과 지역사회재활영역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 개입
3. 재활영역에서의 정신보건사회복지 개입(직업재활)
4. 치료영역에서의 정신보건사회복지 개입
Ⅳ. 지역사회건강 영역서비스, 정신장애인 권리와 편견
1. 지역사회정신건강에 따른 서비스 영역 리뷰
2. 정신장애인의 권리
3. 정신장애인의 편견
1. 가족의 이해
2. 가족생애주기별 정신건강
3. 정신장애인 가족 이해
4. 보호부담과 만족
5. 가족탄력성
6. 치료지침
Ⅱ. 심리사회적 사정
1. 심리사회적 사정
2. 특수한 상황에서의 면담
3. 정신과적 면담 원칙
4. 면담자-피면담자 관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
5. 면담기법
Ⅲ. 정신보건영역별 정신보건사회복지 개입
1. 지역사회정신건강 리뷰
2. 예방영역과 지역사회재활영역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 개입
3. 재활영역에서의 정신보건사회복지 개입(직업재활)
4. 치료영역에서의 정신보건사회복지 개입
Ⅳ. 지역사회건강 영역서비스, 정신장애인 권리와 편견
1. 지역사회정신건강에 따른 서비스 영역 리뷰
2. 정신장애인의 권리
3. 정신장애인의 편견
본문내용
을 보인다. 가족이 전적으로 책임을 지므로 이들의 경제적 희생이 크다. 이는 저소득층에서 더욱 심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경제적 부담은 정신장애인 치료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정신장애인과 그 가족이 삶의 질과 관련된 근본적 문제이다.
3) 보호부담과 대처
대처란 한 개인의 심리적 자원을 통해 문제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가 인지적으로 정해지면 사회적 자원의 지지와 도움을 얻어 구체적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보호부담에 대한 대처기능의 3개 영역은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자원영역 : 보스와 매커빈은 대처의 개념정의에서 자원 활용 능력을 강조했다. 즉, 가족, 친구, 친척, 동료, 이웃 등과 같은 인간관계망을 통해 지지와 도움을 얻어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는 것이다. 매커빈은 성공적 대처기준으로 긍정적 대인관계 형성을 중요기준으로 보았다. 집단활동, 지지집단에 적극으로 참여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2) 심리적 자원영역 : 심리적 자원이란 개인의 성격, 자신감, 자존감 등과 같은 한 개인의 내적 부분을 말하며 자존감, 자신감 등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심리적 자원에는 기능적 대처를 북돋우는 자원만 있는 것은 아니며, 역기능적 대처를 조장하는 자기모독과 같은 심리상태도 있다.
(3) 구체적 대처반응 영역 : 문제해결을 위해 사회적, 심리적 자원영역을 활용하여 구체적으로 행동에 옮기는 것을 말하며 문제 상황에 대한 인지력, 문제를 분석하는 지각력 및 통찰력, 구체적으로 인지된 것을 실행하는 행동 등이 이에 속한다.
4) 정신장애인 가족의 대처기제
다음은 정신장애인 가족이 환자에 대한 대처행동과 관련된 몇 가지 통계내용(N=190) 이다.
(1) 문제행동에 대한 대처행동
대처행동
N(%)
대처행동
N(%)
설명해준다
134(70.53)
입원시킨다
42(22.11)
이해한다
92(48.42)
기도한다
38(20.00)
병원에 데려간다
61(32.11)
야단친다
23(12.11)
지켜본다
55(28.95)
화낸다
20(10.53)
피한다
55(28.95)
때린다
1(0.53)
(2) 공격적 행동에 대한 대처행동
대처행동
N(%)
대처행동
N(%)
더 잘 해준다
102(53.68)
참는다
42(22.11)
설득한다
94(49.47)
기도한다
40(21.10)
애기를 나눈다
78(41.05)
지켜본다
39(20.53)
조심한다
75(39.47)
운다
33(17.37)
이해한다
71(37.37)
받아들인다
30(15.79)
윽박지른다
65(34.21)
재운다
19(10.00)
입원시킨다
59(31.05)
피한다
17(8.95)
혼자 놔둔다
47(24.74)
때린다
11(5.79)
(3) 약 복용 거부에 대한 대처행동
대처행동
N(%)
대처행동
N(%)
달랜다
61(32.11)
거짓말한다
9(4.74)
설명한다
58(30.53)
화낸다
8(4.21)
위협한다
26(13.68)
기도한다
7(3.68)
그냥 내버려둔다
24(12.63)
5) 실용적인 대처전략
(1) 정신장애인 가족이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 대처전략
전략1
정신장애인들의 걱정에 관해 들어주고 차분히 앉아서 얘기나눈다.
전략2
정신장애인들과 항상 연결고리를 갖는다.
전략3
직면한다. 환청이나 망상에 직면할 때 병의 일부분이며 나쁜 일이 아니므로 죄의식 및 두려움에 힘들어할 필요가 없음을 얘기한다.
전략4
정신보건 전문가들과 정규적으로 접촉을 유지하며 항상 가깝게 토론하도록 한다.
전략5
정신장애인의 한계를 알고 너무 밀어붙이지 말아야 하며, 비판보다는 지지를 하는 게 좋다.
전략6
할 수 있는 자신의 일은 스스로 하도록 놔둔다. 이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사회재활 활동에 참석토록 격려한다.
전략7
가족 자신을 위한 시간을 마련하고 자조집단에 참여한다. 다른 가족원과 대화를 나누며 가족의 부담을 함께 나눈다.
6) 보호부담에 따른 서비스 욕구(N=180)
항목번호
서비스
원함 N(%)
1
불안감소를 위한 상담
100(55.6)
2
국가적 차원의 지역사원개발
100(55.6)
3
정신장애에 대한 교육
98(54.4)
4
정신장애인이 활동적이 되도록 동기부여 방법 교육
82(45.6)
5
다양한 지역사회복귀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
81(45.5)
6
직업마련협조
79(43.9)
7
주간보호시설 제공
75(41.7)
8
독자적 주거지 마련 협조
74(41.7)
9
정신증적 증상에 적절히 반응하는 방법 교육
71(39.4)
10
약에 대한 이해를 위한 교육
68(37.8)
11
약의 부작용에 대한 교육
61(33.9)
12
위기상황 원조
59(32.8)
13
가족의 문제해결을 위한 상담
58(32.4)
14
약복용에 잘 따르게 하는 방법 교육
56(31.1)
15
난폭한 행동을 잘 처리할 수 있는 방법 교육
56(31.1)
16
가족모임이나 자조집단의 기회제공
50(27.8)
17
적당한 기대치에 대한 이해
45(25.1)
18
다른 가족원이 정신장애인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협조
44(24.4)
19
청결유지 위한 교육
43(23.9)
20
가정이 조화를 위해 필요한 도움 제공
40(22.2)
21
가족의 죄책감과 비난을 줄이는 방법 교육
39(21.7)
22
음주나 약물남용을 통제하기 위한 교육
34(18.9)
23
가족들의 보호책임을 분담하는 방법 교육
33(18.3)
24
가족의 다툼을 줄이는 방법 교육
30(16.7)
25
가족들의 논쟁을 줄일 수 있는 상담
26(14.4)
26
가족 각자의 자유로운 개인생활 즐기는 것 지지
26(14.4)
7) 보호만족
보호의 모든 책임이 부담으로만 오는 것이 아니라 보호를 제공함에 따른 보상과 만족을 제공하기도 한다는 새로운 시각이다. 보호만족은 심리, 정서적 부담에 대응하는 심리, 정서적 보상으로 보호라는 경험 자체가 주는 기쁨, 가치감, 만족 등이 해당된다. 가족이 보호를 제공한 만큼 정신장애인도 가족에게 도움을 제공한다. 그린버그는 보호의 긍정적 측면으로 정신장애인의 가족에 대한 기여부분에 관련된 연구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1) 기여분야에는 식사준비, 시장보기, 집안일보기, 교통편제공, 가족들이 아플
3) 보호부담과 대처
대처란 한 개인의 심리적 자원을 통해 문제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가 인지적으로 정해지면 사회적 자원의 지지와 도움을 얻어 구체적 반응을 보이는 것이다. 보호부담에 대한 대처기능의 3개 영역은 다음과 같다.
(1) 사회적 자원영역 : 보스와 매커빈은 대처의 개념정의에서 자원 활용 능력을 강조했다. 즉, 가족, 친구, 친척, 동료, 이웃 등과 같은 인간관계망을 통해 지지와 도움을 얻어 자신들의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는 것이다. 매커빈은 성공적 대처기준으로 긍정적 대인관계 형성을 중요기준으로 보았다. 집단활동, 지지집단에 적극으로 참여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2) 심리적 자원영역 : 심리적 자원이란 개인의 성격, 자신감, 자존감 등과 같은 한 개인의 내적 부분을 말하며 자존감, 자신감 등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심리적 자원에는 기능적 대처를 북돋우는 자원만 있는 것은 아니며, 역기능적 대처를 조장하는 자기모독과 같은 심리상태도 있다.
(3) 구체적 대처반응 영역 : 문제해결을 위해 사회적, 심리적 자원영역을 활용하여 구체적으로 행동에 옮기는 것을 말하며 문제 상황에 대한 인지력, 문제를 분석하는 지각력 및 통찰력, 구체적으로 인지된 것을 실행하는 행동 등이 이에 속한다.
4) 정신장애인 가족의 대처기제
다음은 정신장애인 가족이 환자에 대한 대처행동과 관련된 몇 가지 통계내용(N=190) 이다.
(1) 문제행동에 대한 대처행동
대처행동
N(%)
대처행동
N(%)
설명해준다
134(70.53)
입원시킨다
42(22.11)
이해한다
92(48.42)
기도한다
38(20.00)
병원에 데려간다
61(32.11)
야단친다
23(12.11)
지켜본다
55(28.95)
화낸다
20(10.53)
피한다
55(28.95)
때린다
1(0.53)
(2) 공격적 행동에 대한 대처행동
대처행동
N(%)
대처행동
N(%)
더 잘 해준다
102(53.68)
참는다
42(22.11)
설득한다
94(49.47)
기도한다
40(21.10)
애기를 나눈다
78(41.05)
지켜본다
39(20.53)
조심한다
75(39.47)
운다
33(17.37)
이해한다
71(37.37)
받아들인다
30(15.79)
윽박지른다
65(34.21)
재운다
19(10.00)
입원시킨다
59(31.05)
피한다
17(8.95)
혼자 놔둔다
47(24.74)
때린다
11(5.79)
(3) 약 복용 거부에 대한 대처행동
대처행동
N(%)
대처행동
N(%)
달랜다
61(32.11)
거짓말한다
9(4.74)
설명한다
58(30.53)
화낸다
8(4.21)
위협한다
26(13.68)
기도한다
7(3.68)
그냥 내버려둔다
24(12.63)
5) 실용적인 대처전략
(1) 정신장애인 가족이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 대처전략
전략1
정신장애인들의 걱정에 관해 들어주고 차분히 앉아서 얘기나눈다.
전략2
정신장애인들과 항상 연결고리를 갖는다.
전략3
직면한다. 환청이나 망상에 직면할 때 병의 일부분이며 나쁜 일이 아니므로 죄의식 및 두려움에 힘들어할 필요가 없음을 얘기한다.
전략4
정신보건 전문가들과 정규적으로 접촉을 유지하며 항상 가깝게 토론하도록 한다.
전략5
정신장애인의 한계를 알고 너무 밀어붙이지 말아야 하며, 비판보다는 지지를 하는 게 좋다.
전략6
할 수 있는 자신의 일은 스스로 하도록 놔둔다. 이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사회재활 활동에 참석토록 격려한다.
전략7
가족 자신을 위한 시간을 마련하고 자조집단에 참여한다. 다른 가족원과 대화를 나누며 가족의 부담을 함께 나눈다.
6) 보호부담에 따른 서비스 욕구(N=180)
항목번호
서비스
원함 N(%)
1
불안감소를 위한 상담
100(55.6)
2
국가적 차원의 지역사원개발
100(55.6)
3
정신장애에 대한 교육
98(54.4)
4
정신장애인이 활동적이 되도록 동기부여 방법 교육
82(45.6)
5
다양한 지역사회복귀 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
81(45.5)
6
직업마련협조
79(43.9)
7
주간보호시설 제공
75(41.7)
8
독자적 주거지 마련 협조
74(41.7)
9
정신증적 증상에 적절히 반응하는 방법 교육
71(39.4)
10
약에 대한 이해를 위한 교육
68(37.8)
11
약의 부작용에 대한 교육
61(33.9)
12
위기상황 원조
59(32.8)
13
가족의 문제해결을 위한 상담
58(32.4)
14
약복용에 잘 따르게 하는 방법 교육
56(31.1)
15
난폭한 행동을 잘 처리할 수 있는 방법 교육
56(31.1)
16
가족모임이나 자조집단의 기회제공
50(27.8)
17
적당한 기대치에 대한 이해
45(25.1)
18
다른 가족원이 정신장애인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협조
44(24.4)
19
청결유지 위한 교육
43(23.9)
20
가정이 조화를 위해 필요한 도움 제공
40(22.2)
21
가족의 죄책감과 비난을 줄이는 방법 교육
39(21.7)
22
음주나 약물남용을 통제하기 위한 교육
34(18.9)
23
가족들의 보호책임을 분담하는 방법 교육
33(18.3)
24
가족의 다툼을 줄이는 방법 교육
30(16.7)
25
가족들의 논쟁을 줄일 수 있는 상담
26(14.4)
26
가족 각자의 자유로운 개인생활 즐기는 것 지지
26(14.4)
7) 보호만족
보호의 모든 책임이 부담으로만 오는 것이 아니라 보호를 제공함에 따른 보상과 만족을 제공하기도 한다는 새로운 시각이다. 보호만족은 심리, 정서적 부담에 대응하는 심리, 정서적 보상으로 보호라는 경험 자체가 주는 기쁨, 가치감, 만족 등이 해당된다. 가족이 보호를 제공한 만큼 정신장애인도 가족에게 도움을 제공한다. 그린버그는 보호의 긍정적 측면으로 정신장애인의 가족에 대한 기여부분에 관련된 연구에서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1) 기여분야에는 식사준비, 시장보기, 집안일보기, 교통편제공, 가족들이 아플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로서의 가족수당 교육정책 주택정책
현대사회 가족복지의 필요성 및 정책과 실천 한국 가족복지
실천현장에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가족 복지
가족의 보편적 8가지 기능 중 3가지 기능을 선택하여 현대사회에서 이러한 가족 기능이 어떻...
[사회복지] 가족대상의 사회복지실천기술에 대한 기본 개념과 가족치료기법으로 활용되는 구...
가족대상의 사회복지실천기술에 대한 기본 개념과 가족치료기법으로 활용되는 구조적 가족치...
가족복지와 가족사회사업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의해 보자.
가족복지와 가족사회사업의 공통점과 차이점
가족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복지실천으로서의 가족치료가 갖는 의의와 사회복지...
다문화가족과 사회복지(다문화가족배경, 다문화가족지원정책, 다문화가족법과제도)
(가족 대상 사회복지실천) 가족대상 사회복지 실천을 할 때 필요와 관점은 무엇이며 실천과정...
평가우수자료[알코올중독 가족 사회복지적 개입방안] 알코올중독 가족 - 알코올중독 현황, 알...
사례에서 사회복지사는 가족의 생활주기를 고려했을 때 하위체계간의 경계가 분명하지 못하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