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한국에서 외제차들의 약진
2. 전국 외제차 등록대수와 점유율
3. 한국에서 외제차 소비의 증가의 여러 요인들
1)관세율 저하
2)IMF이후 변화
3)한국 소비자들의 태도 변화
4.국내시장을 침투하기 위한 해외 자동차 기업들의 노력
1)새 모델 도입 기준
2)현지 선적에서 국내 출고까지
3)수입차의 가격 구조
4)보증수리와 애프터서비스
5) PDI(출고 전 정밀 검사) 센터
6)판매․서비스․수리를 한자리에서 해결하는 원스톱 서비스
5. 지역별 외제차 등록대수와 광주의 외제차 점유율
6. 광주 전남에서 외제차 점유율이 1위인 이유는?
◆결론
◆본론
1. 한국에서 외제차들의 약진
2. 전국 외제차 등록대수와 점유율
3. 한국에서 외제차 소비의 증가의 여러 요인들
1)관세율 저하
2)IMF이후 변화
3)한국 소비자들의 태도 변화
4.국내시장을 침투하기 위한 해외 자동차 기업들의 노력
1)새 모델 도입 기준
2)현지 선적에서 국내 출고까지
3)수입차의 가격 구조
4)보증수리와 애프터서비스
5) PDI(출고 전 정밀 검사) 센터
6)판매․서비스․수리를 한자리에서 해결하는 원스톱 서비스
5. 지역별 외제차 등록대수와 광주의 외제차 점유율
6. 광주 전남에서 외제차 점유율이 1위인 이유는?
◆결론
본문내용
검하고 광택 처리를 거쳐 서서히 제 모습을 갖춰간다. 기능 점검에는 보디 패널의 흠집이나 도장상태 등의 외관 체크는 물론 헤드램프와 와이퍼, 오디오, 시트 등 편의부가장비의 기능을 확인하고 도어의 여닫히는 감각까지 체크한다. 성능과 관련된 부분은 인증과정에서 따로 확인되기 때문에 엔진, 트랜스미션 등 동력계통과 주행상태 점검은 PDI 작업과정에서 제외된다. 그 대신 컴퓨터 진단장비를 이용한 기능 확인을 거친 뒤 차체 불순물 제거와 광택 처리가 이뤄진다.
(4)최종 정밀검사 후 고객 인도
1차 PDI 작업을 거친 차는 작업관리자의 검사확인을 거쳐 출고 총책임자인 PDI 컨트롤러에게 최종점검을 받는다. PDI 컨트롤러는 기능공이 작업과정에서 발견한 문제점을 체크한다. 흔치않게 패널의 가공┵도색 상태가 균일하지 않은 차가 드러나지만 이는 본사 생산라인의 사소한 문제에서 생긴 경우가 대부분. 근원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본사에 데미지 체크 리포트를 제출하는 것도 PDI 컨트롤러의 몫이다. PDI 컨트롤러의 최종검사를 합격한 차는 바로 출고되어 특송차에 실리고 PDI 체크 리포트와 함께 고객에게 전달된다.
6)판매서비스수리를 한자리에서 해결하는 원스톱 서비스
렉서스 브랜드를 앞세워 국내 상륙 첫해에 수입차 시장 전체 3위에 오르고 지난해에는 BMW에 이은 두 번째 자리를 차지한 한국토요타자동차. 그 저력은 3S 컨셉트로 표현되는 고객만족 서비스에서 비롯된다. 3S는 판매, 서비스, 부품 조달의 머릿글자를 딴 단어로 전시와 판매, AS가 한자리에서 이루어지는 원스톱 서비스의 다른 말이다. 렉서스의 원스톱 서비스는 전 세계에서 차를 가장 잘 파는 브랜드로 소문난 도요타의 성격을 여실히 보여준다.
렉서스에 있어 AS는 애프터 서비스가 아닌 애프터 세일즈(After Sales)의 줄임말로 통한다. 새차 판매 후 AS에 이르기까지도 판매의 연장선으로 보는 도요타다운 발상은 렉서스 차는 품질이 좋다는 입소문을 만들어내며 렉서스를 성공시대로 이끈 가장 큰 요인이다. 특별한 수입차에 특별한 AS를 기대하게 되어 판매랑을 증가 시키는 것이다.
5. 지역별 외제차 등록대수와 광주의 외제차 점유율
광주 자동차 등록대수는 1998년 56대, 1999년 100대, 2000년 165대, 2001년 268대, 2002년 494대, 2003년 331대, 2004년 346대로 꾸준히 증가 추세이다. 광주시민들의 고급 외제차 선호도는 계속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광주시가 발표한 `자동차 등록 현황\'에 따르면 2004년 6월 자동차 전체 등록대수는 40만9천12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37만8천980대에 비해 7.9% 증가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2004년 6월말 외제차 등록대수는 2천361대로 전년 동기(1천930대) 대비 22.3%(431대)나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6. 광주 전남에서 외제차 점유율이 1위인 이유는?
2004년 12월 외제차 신규 등록대수는 2503대로 전월(2017대) 대비 24.1% 증가했으며 전년 동월 등록대수(1932대)보다는 29.6%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따라 2004년 1~12월 누적 등록대수는 총 2만3345대로 전년(1만9481대)보다 19.8% 증가했다. 지역별 누적 등록대수는 광주 346대, 전남 227대로 집계돼 2003년 331대, 155대에 비해 각각 4.5%, 46.5% 늘었다. 이는 전국 등록대수의 2.5%규모다. 외제차의 소비는 전국적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광주는 점유율에서 꾸준히 높은 위치는 차지하는데 이와 같은 외제차 증가세는 전체자동차 증가세의 3배 가까운 수치여서 국내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광주시의 일부 부유층은 여전히 고급 외제차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러한 선호는 부유층의 외제차에 대한 자세도 있지만 각 업체들의 여러 가지 노력도 뒷받침 하고 있다. 각 업체들은 판매확대에 대응,전국적인 영업 및 정비망을 갖추고 지방수요를 끌어들인 결과다. 또 수입차 구매에 따른 부정적 시각이 지방에서도 많이 줄어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결론
독일 회사의 자회사인 BMW 코리아의 김효준 사장은 한국인들은 이제 외제차를 사며 불편해하지 않는다면서 한국에서 BMW를 운전한다는 것은 성공의 표지가 되었다고 말한다. 김효준 사장의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외제차의 소비는 전국적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외제차에 대한 여러 가지 선입관이 점차적으로 사라지고 외국 자동차 기업들의 한국 소비자 구미를 맞추기 위해 하는 여러 가지 노력들로 인한 것이다. 광주 전남은 외제차 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는데 전국적인 외제차 증가 동참 하고 있는 것이다. 광주 전남 지역 부유층의 외제차 선호가 높고 외국 자동차회사들의 자체적인 지방 판매 활성화 방안들로 외제차 점유율이 높다. 외제차의 소비는 증가 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변화의 속도를 과대평가하는 것은 잘못이다. 외제차들은 아직도 국내 판매량의 2%를 밑돌고 있으며 거의 전적으로 고가품 시장에 국한되어 있다. 수입차에 부과되는 관세와 세금 때문에 아직도 외국 자동차 업체들이 대중 시장에서는 판매가 어렵다.
하지만 외국 자동차 회사들은 한국이 점차 무역 장벽을 낮추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인식도 달라지고 외제차에 대한 수요가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외제차 시장은 계속 성장하고 있고 또한 외국자동차 회사들의 매력적인 시장이 되고 있다.
참고 문헌
http://www.kaida.co.kr 한국 수입 자동차 협회
http://www.bmw.co.kr/ BMW
http://www.gmautoworld.co.kr/ General motors
http://www.audi.co.kr/ Audi
http://www.fordnet.co.kr/ Ford
http://www.lexus.co.kr/ Toyota
http://zine.news.empas.com 엠파스 매거진
전남일보 2004년 10월 15일자 등 최근 신문기사들
다국적기업의 한국 내 현지화 전략/ 최동익 한국학술정보 2005년1월4일
초일류기업의 디지털 비즈니스 디자인/ 에이드리언 J. 슬라이워츠키
(4)최종 정밀검사 후 고객 인도
1차 PDI 작업을 거친 차는 작업관리자의 검사확인을 거쳐 출고 총책임자인 PDI 컨트롤러에게 최종점검을 받는다. PDI 컨트롤러는 기능공이 작업과정에서 발견한 문제점을 체크한다. 흔치않게 패널의 가공┵도색 상태가 균일하지 않은 차가 드러나지만 이는 본사 생산라인의 사소한 문제에서 생긴 경우가 대부분. 근원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본사에 데미지 체크 리포트를 제출하는 것도 PDI 컨트롤러의 몫이다. PDI 컨트롤러의 최종검사를 합격한 차는 바로 출고되어 특송차에 실리고 PDI 체크 리포트와 함께 고객에게 전달된다.
6)판매서비스수리를 한자리에서 해결하는 원스톱 서비스
렉서스 브랜드를 앞세워 국내 상륙 첫해에 수입차 시장 전체 3위에 오르고 지난해에는 BMW에 이은 두 번째 자리를 차지한 한국토요타자동차. 그 저력은 3S 컨셉트로 표현되는 고객만족 서비스에서 비롯된다. 3S는 판매, 서비스, 부품 조달의 머릿글자를 딴 단어로 전시와 판매, AS가 한자리에서 이루어지는 원스톱 서비스의 다른 말이다. 렉서스의 원스톱 서비스는 전 세계에서 차를 가장 잘 파는 브랜드로 소문난 도요타의 성격을 여실히 보여준다.
렉서스에 있어 AS는 애프터 서비스가 아닌 애프터 세일즈(After Sales)의 줄임말로 통한다. 새차 판매 후 AS에 이르기까지도 판매의 연장선으로 보는 도요타다운 발상은 렉서스 차는 품질이 좋다는 입소문을 만들어내며 렉서스를 성공시대로 이끈 가장 큰 요인이다. 특별한 수입차에 특별한 AS를 기대하게 되어 판매랑을 증가 시키는 것이다.
5. 지역별 외제차 등록대수와 광주의 외제차 점유율
광주 자동차 등록대수는 1998년 56대, 1999년 100대, 2000년 165대, 2001년 268대, 2002년 494대, 2003년 331대, 2004년 346대로 꾸준히 증가 추세이다. 광주시민들의 고급 외제차 선호도는 계속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광주시가 발표한 `자동차 등록 현황\'에 따르면 2004년 6월 자동차 전체 등록대수는 40만9천12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37만8천980대에 비해 7.9% 증가하는 데 그쳤다. 그러나 2004년 6월말 외제차 등록대수는 2천361대로 전년 동기(1천930대) 대비 22.3%(431대)나 급증한 것으로 드러났다.
6. 광주 전남에서 외제차 점유율이 1위인 이유는?
2004년 12월 외제차 신규 등록대수는 2503대로 전월(2017대) 대비 24.1% 증가했으며 전년 동월 등록대수(1932대)보다는 29.6%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따라 2004년 1~12월 누적 등록대수는 총 2만3345대로 전년(1만9481대)보다 19.8% 증가했다. 지역별 누적 등록대수는 광주 346대, 전남 227대로 집계돼 2003년 331대, 155대에 비해 각각 4.5%, 46.5% 늘었다. 이는 전국 등록대수의 2.5%규모다. 외제차의 소비는 전국적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광주는 점유율에서 꾸준히 높은 위치는 차지하는데 이와 같은 외제차 증가세는 전체자동차 증가세의 3배 가까운 수치여서 국내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광주시의 일부 부유층은 여전히 고급 외제차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이러한 선호는 부유층의 외제차에 대한 자세도 있지만 각 업체들의 여러 가지 노력도 뒷받침 하고 있다. 각 업체들은 판매확대에 대응,전국적인 영업 및 정비망을 갖추고 지방수요를 끌어들인 결과다. 또 수입차 구매에 따른 부정적 시각이 지방에서도 많이 줄어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결론
독일 회사의 자회사인 BMW 코리아의 김효준 사장은 한국인들은 이제 외제차를 사며 불편해하지 않는다면서 한국에서 BMW를 운전한다는 것은 성공의 표지가 되었다고 말한다. 김효준 사장의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외제차의 소비는 전국적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외제차에 대한 여러 가지 선입관이 점차적으로 사라지고 외국 자동차 기업들의 한국 소비자 구미를 맞추기 위해 하는 여러 가지 노력들로 인한 것이다. 광주 전남은 외제차 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는데 전국적인 외제차 증가 동참 하고 있는 것이다. 광주 전남 지역 부유층의 외제차 선호가 높고 외국 자동차회사들의 자체적인 지방 판매 활성화 방안들로 외제차 점유율이 높다. 외제차의 소비는 증가 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변화의 속도를 과대평가하는 것은 잘못이다. 외제차들은 아직도 국내 판매량의 2%를 밑돌고 있으며 거의 전적으로 고가품 시장에 국한되어 있다. 수입차에 부과되는 관세와 세금 때문에 아직도 외국 자동차 업체들이 대중 시장에서는 판매가 어렵다.
하지만 외국 자동차 회사들은 한국이 점차 무역 장벽을 낮추고 있으며 소비자들의 인식도 달라지고 외제차에 대한 수요가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외제차 시장은 계속 성장하고 있고 또한 외국자동차 회사들의 매력적인 시장이 되고 있다.
참고 문헌
http://www.kaida.co.kr 한국 수입 자동차 협회
http://www.bmw.co.kr/ BMW
http://www.gmautoworld.co.kr/ General motors
http://www.audi.co.kr/ Audi
http://www.fordnet.co.kr/ Ford
http://www.lexus.co.kr/ Toyota
http://zine.news.empas.com 엠파스 매거진
전남일보 2004년 10월 15일자 등 최근 신문기사들
다국적기업의 한국 내 현지화 전략/ 최동익 한국학술정보 2005년1월4일
초일류기업의 디지털 비즈니스 디자인/ 에이드리언 J. 슬라이워츠키
키워드
추천자료
LGIBM-XNOTE-EOSTP4P 분석 보고서
다양한 고객 시장세분화
[마케팅원론]Xnote 마케팅 분석
오리온의 글로벌생산
(주)샤니의 마케팅 기획안-캐릭터 빵 시리즈 마케팅 전략 구상
[경영과의사결정]3세대 이동통신시장에서의 SKT와 KTF 마케팅전략 비교분석
이마트의 현재 문제점과 앞으로 나가야할 방안
14장 - 서비스 품질
홈플러스와 이마트의 마케팅 분석
프랜차이즈 BBQ의 중국 진출 분석
애슐리(ashley) 마케팅전략분석 및 애슐리 브랜드전략분석_애슐리 현 문제점과 전략제안 (아...
오리온 ORION 경영분석과 오리온 국내외 마케팅전략분석및 오리온 새로운 경영전략 제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