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향 집을 그리시고
손톱에 꽃물 들이던 그 날 생각하시리.
양지에 마주 앉아 실로 찬찬 매어 주던
하얀 손 가락 가락이 연붉은 그 손톱을
지금은 꿈 속에 본 듯 힘줄만이 서노라.
<의도분석>
이 소단원의 목표로서 시어의 운율적인 특징과 관련된 부분이다. 시를 읽어 보면 다른 산문을 읽을 때와는 다르게 노래와 같은 가락이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이렇게 시에는 노래와 같은 가락, 즉 운율이 있으며 ‘봉선화’라는 시에서 어떻게 운율이 형성되는지 알아보도록 구성되었다. 특히 ‘봉선화’는 글자 수가 일정하게 짜여져서 만들어진 외형률의 현대시조로서 일정한 가락의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하는 4음보이다. 그리하여 끊어 읽는 곳을 표시하여 규칙적으로 끊어 읽음으로서 운율이 형성됨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학생들로 어떠한 요소가 운율을 느끼게 하는지 생각하고 스스로 찾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이미 규칙적으로 끊어읽음으로 인해 운율을 형성한다라고 주어지고 그것에 맞추어 나누어 보도록 하였다.
<대안>
시 낭송을 들려주는 이유는 우선 시 감상이라는 측면과 함께 학생들이 시 낭송을 듣고서 시가 다른 문학과 달리 운율이 느껴짐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시 낭송을 듣고 자신이 시를 소리내어 읽어봄으로써 직접 운율을 느껴보고 이러한 것 때문에 운율이 느껴지는 것이 아닐까 스스로 찾아보고 함께 서로의 생각을 자유롭게 이야기 해보도록 구성해 보았다. 단, 시 낭송은 본문학습을 시작할 때 제시하는 것으로 대치 될 수 있다. 그 다음에 교과서에서 주어진 목표학습을 해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된다.
● 다음 ‘봉선화’라는 시의 낭독을 들어본 다음 각자가 소리내어 읽어보고 어떠한 요소
때문에 운율이 느껴지는지 서로의 생각을 자유롭게 이야기 해보도록 하다.
♬♪♩ 봉선화 ♩♪♬
▷ 적용학습
● 다음 시조를 읽고, ‘봉선화’의 운율과 비교하여 보자.
동기로 세 몸 되어 한 몸같이 지내다가
두 아운 어디 가고 돌아올 줄 모르는고.
날마다 석양 문외에 한숨겨워하노라.
<의도분석>
‘봉선화’는 글자 수가 일정하게 짜여져서 만들어진 외형률의 현대시조로서 일정한 가락의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하는 4음보이다. 시조와 ‘봉선화’의 운율을 비교해 봄으로서 시조가 ‘봉선화’와 같이 운율을 형성한다는 것을 느끼며 ‘봉선화’가 현대시조의 한갈래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 아닌가 생각된다.
<대안>
‘봉선화’와 같은 갈래인 다양한 현대시조를 소개하여 시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감상하고 어떠한 요소들 때문에 운율이 느껴지는지 이야기 해봄으로서 ‘봉선화’와 같이 글자 수가 일정하게 짜여져서 일정한 가락의 반복을 통한 규칙적인 운율이 느껴짐을 이해하고 다른 시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1) 살구꽃 핀 마을 - 이호우
살구꽃 핀 마을은 어디나 고향 같다.
만나는 사람마다 등이라도 치고지고.
뉘 집을 들어서면은 반겨 아니 맞으리.
바람 없는 밤을 꽃 그늘에 달이 오면,
술 익은 초당(草堂)마다 정이 더욱 익으리니,
나그네 저무는 날에도 마음 아니 바빠라.
예2) 난초(蘭草) - 이병기
빼어난 가는 잎새 굳은 듯 보드랍고,
자짓빛 굵은 대공 하얀한 꽃이 벌고,
이슬은 구슬이 되어 마디마디 달렸다.
본래 그 마음은 깨끗함을 즐겨 하여,
정한 모래 틈에 뿌리를 서려 두고,
미진(微塵)도 가까이 않고 우로(雨露) 받아 사느니라.
예3) 사 향(思鄕) - 김상옥
눈을 가만 감으면 굽이 잦은 풀밭 길이,
개울물 돌돌돌 길섶으로 흘러가고
백양 숲 사립을 가린 초집들도 보이구요.
송아지 몰고 오며 바라보던 진달래도,
저녁 노을처럼 산을 둘러 퍼질 것을.
어마씨 그리운 솜씨에 향그러운 꽃지짐
어질고 고운 그들 멧남새도 캐어 오리.
집집 끼니마다 봄을 씹고 사는 마을,
감았던 그 눈을 뜨면 마음 도로 애젓하오.
예4) 서해상의 낙조 - 이태극
어허 저거, 물이 끓는다. 구름이 마구 탄다.
둥둥 원구(圓球)가 검붉은 불덩이다.
수평선 한 지점 위로 머문 듯이 접어든다.
큰 바퀴 피로 물들며 반 남아 잠기었다.
먼 뒷섬들이 다시 환히 얼리더니
아차차, 채운(彩雲)만 남고 정녕 없어졌구나.
구름빛도 가라앉고 섬들도 그림진다.
끓던 물도 검푸르게 잔잔히 숨더니만
어디서 살진 반달이 함(艦)을 따
소단원2)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1) 읽기 전에
● 누군가가 그리웠을 때를 떠올려 보고, 그 때의 마음이 잘 드러나도록 ‘내 마음’으로 삼행시를 지어 보자.
<의도분석>
학생들이 흥미로워하는 ‘삼행시 짓기’ 활동을 통해 학습 동기를 유발하기 위한 부분이다. 또한 본문에서 나오는 ‘내 마음’이라는 시어를 제시어로 함으로써 본문과의 연결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그리 커다란 연결성이나 의미를 주지 못한다 생각된다.
<대안>
본문에 나오는 시 한구절을 활용하여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에서의 봄길이라는 공간을 그림으로 제시하여 짧은 글짓기를 해보도록 구성해 보았다. 다음에 이어질 본문학습에 대한 이해와 시적화자의 마음이 되어 볼 수 있는 기회의 제공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또한 이미지를 제공한 것은 이미지를 통하여 학생들의 머릿속에 봄길이라는 이미지속에 자신을 떠올려 볼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다.
● 다음 그림을 보고 지금 내가 봄길 위에 서있다라고 가정하고 ‘내 마음’이 오늘 하루 무엇을 하고 싶은지 빈칸에 짧은 글을 지어보도록 하자.
내 마음 고요히 고운 봄 길 위에
오늘 하루 고 싶다.
(2) 학습 활동
▷ 내용 학습
●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을 감상하고, 다음 물음에 답해보자.
1. 시의 내용이 잘 드러나도록 □ 안에 들어갈 말을 시에서 찾아 넣어 보자. 또, 이를 뒷받침하는 말을 찾아 ○ 안에 적어 보자.
2. ‘시의 가슴’에 담긴 여러 가지 뜻을 말하여 보자.
▷ 목표 학습
●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을 소리내어 읽고, 일정한 위치에 반복되는 말을 찾아보자.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
풀 아래 웃음짓는 샘물같이
내마음 고요히 고운 봄 길 위에
오늘 하루 하늘을 우러르고 싶다.
새악시 볼에 떠오는 부끄럼 같이
시의 가슴에 살포시 젖는 물결같이
보드레한 에메랄드 얇게 흐르는
실비단 하늘을 바라보고
손톱에 꽃물 들이던 그 날 생각하시리.
양지에 마주 앉아 실로 찬찬 매어 주던
하얀 손 가락 가락이 연붉은 그 손톱을
지금은 꿈 속에 본 듯 힘줄만이 서노라.
<의도분석>
이 소단원의 목표로서 시어의 운율적인 특징과 관련된 부분이다. 시를 읽어 보면 다른 산문을 읽을 때와는 다르게 노래와 같은 가락이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이렇게 시에는 노래와 같은 가락, 즉 운율이 있으며 ‘봉선화’라는 시에서 어떻게 운율이 형성되는지 알아보도록 구성되었다. 특히 ‘봉선화’는 글자 수가 일정하게 짜여져서 만들어진 외형률의 현대시조로서 일정한 가락의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하는 4음보이다. 그리하여 끊어 읽는 곳을 표시하여 규칙적으로 끊어 읽음으로서 운율이 형성됨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하지만 학생들로 어떠한 요소가 운율을 느끼게 하는지 생각하고 스스로 찾아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 못하고 이미 규칙적으로 끊어읽음으로 인해 운율을 형성한다라고 주어지고 그것에 맞추어 나누어 보도록 하였다.
<대안>
시 낭송을 들려주는 이유는 우선 시 감상이라는 측면과 함께 학생들이 시 낭송을 듣고서 시가 다른 문학과 달리 운율이 느껴짐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시 낭송을 듣고 자신이 시를 소리내어 읽어봄으로써 직접 운율을 느껴보고 이러한 것 때문에 운율이 느껴지는 것이 아닐까 스스로 찾아보고 함께 서로의 생각을 자유롭게 이야기 해보도록 구성해 보았다. 단, 시 낭송은 본문학습을 시작할 때 제시하는 것으로 대치 될 수 있다. 그 다음에 교과서에서 주어진 목표학습을 해보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된다.
● 다음 ‘봉선화’라는 시의 낭독을 들어본 다음 각자가 소리내어 읽어보고 어떠한 요소
때문에 운율이 느껴지는지 서로의 생각을 자유롭게 이야기 해보도록 하다.
♬♪♩ 봉선화 ♩♪♬
▷ 적용학습
● 다음 시조를 읽고, ‘봉선화’의 운율과 비교하여 보자.
동기로 세 몸 되어 한 몸같이 지내다가
두 아운 어디 가고 돌아올 줄 모르는고.
날마다 석양 문외에 한숨겨워하노라.
<의도분석>
‘봉선화’는 글자 수가 일정하게 짜여져서 만들어진 외형률의 현대시조로서 일정한 가락의 반복을 통해 운율을 형성하는 4음보이다. 시조와 ‘봉선화’의 운율을 비교해 봄으로서 시조가 ‘봉선화’와 같이 운율을 형성한다는 것을 느끼며 ‘봉선화’가 현대시조의 한갈래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 아닌가 생각된다.
<대안>
‘봉선화’와 같은 갈래인 다양한 현대시조를 소개하여 시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감상하고 어떠한 요소들 때문에 운율이 느껴지는지 이야기 해봄으로서 ‘봉선화’와 같이 글자 수가 일정하게 짜여져서 일정한 가락의 반복을 통한 규칙적인 운율이 느껴짐을 이해하고 다른 시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1) 살구꽃 핀 마을 - 이호우
살구꽃 핀 마을은 어디나 고향 같다.
만나는 사람마다 등이라도 치고지고.
뉘 집을 들어서면은 반겨 아니 맞으리.
바람 없는 밤을 꽃 그늘에 달이 오면,
술 익은 초당(草堂)마다 정이 더욱 익으리니,
나그네 저무는 날에도 마음 아니 바빠라.
예2) 난초(蘭草) - 이병기
빼어난 가는 잎새 굳은 듯 보드랍고,
자짓빛 굵은 대공 하얀한 꽃이 벌고,
이슬은 구슬이 되어 마디마디 달렸다.
본래 그 마음은 깨끗함을 즐겨 하여,
정한 모래 틈에 뿌리를 서려 두고,
미진(微塵)도 가까이 않고 우로(雨露) 받아 사느니라.
예3) 사 향(思鄕) - 김상옥
눈을 가만 감으면 굽이 잦은 풀밭 길이,
개울물 돌돌돌 길섶으로 흘러가고
백양 숲 사립을 가린 초집들도 보이구요.
송아지 몰고 오며 바라보던 진달래도,
저녁 노을처럼 산을 둘러 퍼질 것을.
어마씨 그리운 솜씨에 향그러운 꽃지짐
어질고 고운 그들 멧남새도 캐어 오리.
집집 끼니마다 봄을 씹고 사는 마을,
감았던 그 눈을 뜨면 마음 도로 애젓하오.
예4) 서해상의 낙조 - 이태극
어허 저거, 물이 끓는다. 구름이 마구 탄다.
둥둥 원구(圓球)가 검붉은 불덩이다.
수평선 한 지점 위로 머문 듯이 접어든다.
큰 바퀴 피로 물들며 반 남아 잠기었다.
먼 뒷섬들이 다시 환히 얼리더니
아차차, 채운(彩雲)만 남고 정녕 없어졌구나.
구름빛도 가라앉고 섬들도 그림진다.
끓던 물도 검푸르게 잔잔히 숨더니만
어디서 살진 반달이 함(艦)을 따
소단원2)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1) 읽기 전에
● 누군가가 그리웠을 때를 떠올려 보고, 그 때의 마음이 잘 드러나도록 ‘내 마음’으로 삼행시를 지어 보자.
<의도분석>
학생들이 흥미로워하는 ‘삼행시 짓기’ 활동을 통해 학습 동기를 유발하기 위한 부분이다. 또한 본문에서 나오는 ‘내 마음’이라는 시어를 제시어로 함으로써 본문과의 연결성을 갖고 있다. 하지만 그리 커다란 연결성이나 의미를 주지 못한다 생각된다.
<대안>
본문에 나오는 시 한구절을 활용하여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에서의 봄길이라는 공간을 그림으로 제시하여 짧은 글짓기를 해보도록 구성해 보았다. 다음에 이어질 본문학습에 대한 이해와 시적화자의 마음이 되어 볼 수 있는 기회의 제공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 또한 이미지를 제공한 것은 이미지를 통하여 학생들의 머릿속에 봄길이라는 이미지속에 자신을 떠올려 볼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다.
● 다음 그림을 보고 지금 내가 봄길 위에 서있다라고 가정하고 ‘내 마음’이 오늘 하루 무엇을 하고 싶은지 빈칸에 짧은 글을 지어보도록 하자.
내 마음 고요히 고운 봄 길 위에
오늘 하루 고 싶다.
(2) 학습 활동
▷ 내용 학습
●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을 감상하고, 다음 물음에 답해보자.
1. 시의 내용이 잘 드러나도록 □ 안에 들어갈 말을 시에서 찾아 넣어 보자. 또, 이를 뒷받침하는 말을 찾아 ○ 안에 적어 보자.
2. ‘시의 가슴’에 담긴 여러 가지 뜻을 말하여 보자.
▷ 목표 학습
●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을 소리내어 읽고, 일정한 위치에 반복되는 말을 찾아보자.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
풀 아래 웃음짓는 샘물같이
내마음 고요히 고운 봄 길 위에
오늘 하루 하늘을 우러르고 싶다.
새악시 볼에 떠오는 부끄럼 같이
시의 가슴에 살포시 젖는 물결같이
보드레한 에메랄드 얇게 흐르는
실비단 하늘을 바라보고
키워드
추천자료
학습 지도안 - 5학년 2학기 시의 여운
초등학교 4-1 사회 수업안 / 3. 새로워지는 우리 시·도 - 2. 지역의 대표 뽑기 (5/18)
교수학습 과정(지도)안
[역할극]역할극(역할놀이, 롤플레이)의 의의, 역할극(역할놀이, 롤플레이)의 학습전개, 역할...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특성과 이론적 기초, 초등학교 과학과(과학교육)의 탐구과정과 ...
수업 원칙, 수업 준비와 실제, 수업기술 기본요소, 수업기술과 열린교육, 수업기술과 토론, ...
5-1)사회-5.자연재해-자연재해의 종류를 조사하여 정리 발표하기
지리교육(지리수업, 지리교과) 필요성, 지리교육(지리수업, 지리교과) 지역화, 지리교육(지리...
체육과수업(교육, 학습)의 목표와 지도내용, 체육과수업(교육, 학습)의 교과용 도서, 체육과...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가치와 다양성,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운영방침, 초등학교 재량활동의 지...
체험학습(교육)프로그램 사례, 통일학습(교육)프로그램 사례, 활동중심체험학습(교육)프로그...
수학교육(수학수업, 지도)의 특성과 정보공유, 수학교육(수학수업, 지도)과 수학적 의사소통,...
5)사회-3-1. 자연 재해와 환경문제 - 자연 재해의 종류와 대책방법 알아보기(세안)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A형:) 발도르프 프로그램의 이론적 기초, 교육목표 및 원리, 교육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