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예론] 렌가(연가 / 連歌 れんが) & 하이카이(배해 / 俳諧 はいかい)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문예론] 렌가(연가 / 連歌 れんが) & 하이카이(배해 / 俳諧 はいか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렌가(連歌)
가마쿠라(鎌倉)시대(1192~1333)
南北朝시대(1336∼1392)
무로마치(室町)시대(1392~1573)



하이카이(俳諧)

1. 하이카이의 발생과 그 형식미
 (1) 발생
 (2) 계어의 상징성
 (3) 기레지(切字)의 효과
 (4) 렌쿠의 묘미

2.마츠오바쇼(松尾芭蕉)(1644~1694)

3. 요사부손(與謝蕪村)(1718~1783)

4. 고바야시 잇사(小林一茶)(1763~1827)

본문내용

매우 불행했다. 그는 구를 통해 인간성을 적나라하게 내비치고 약자에 대한 자비를 보여 준다. 때로는 우머도 있지만 단순한 웃음만이 아니라 생활 속의 눈물과 사랑을 웃음으로 감싸고 있다. 구집으로는 잇사홋쿠슈『一茶發句集』,우리네 설날『おらが春』이 있다.
이와 같이 바쇼와 부손, 잇사 세 사람의 하이카이 시인들에 의해서 하이카이는 명실상부한 서민시로서 정착하게 되었다. 이들은 저마다의 개성을 지니고 있었다. 바쇼는 대체로 한적고담한 경지를 즐겼으며 주관적, 내성적, 정적인 자연시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부손은 화려하고 회화적인 색채미의 경지를 즐겼으며, 객관적, 감각적인 낭만시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잇사는 인간미와 유머 감각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흙냄새 물씬 나는 현실주의적인 전원시인이었다고 할 수 있다.

키워드

  • 가격6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5.01.31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47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