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억울한韓 • 뻔뻔한 日” - 위안부 이야기〛
(1) 개요
「악몽」
「음부를 권총으로 쏜 일본군 장교」
(2) 위안부?
(3)쟁점
「5월 3일 대니얼 핼로런 뉴욕시의원에게 배달된 ‘기림비 설립에 반대해 달라’는 제목의 서한.」
(4)현재상황
(5) 느낀점 및 자신의 생각
(1) 개요
「악몽」
「음부를 권총으로 쏜 일본군 장교」
(2) 위안부?
(3)쟁점
「5월 3일 대니얼 핼로런 뉴욕시의원에게 배달된 ‘기림비 설립에 반대해 달라’는 제목의 서한.」
(4)현재상황
(5) 느낀점 및 자신의 생각
본문내용
강하진 못하다. 그래서 우리 것을 우리 힘으로 지키지 못하는 것이 많다. 그중에 위안부는 일본 측에서 자신들의 공식적인 사과와 약간의 보상, 아니 그냥 공식적인 사과만 있더라도 이제 할머니가 되어버린 그 분들은 문제를 해결해 줄 것이다. 하지만 일본에선 자신들의 이미지 손실, 정부가 아닌 군대가 했다는 핑계들로 타협점이 보이는 이 사건까지 해결하지 않고 버티고 서있다. 현재는 ‘나눔의 집’ 이라는 곳에서 위안부였던 할머니들을 잘 모시고 있다고는 하지만 이 또한 우리나라 안에서 자체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우리나라는 일본에 대한 반감이 많은 나라이다. 식민지였기 때문에 어쩔 수 없지만 이제는 전쟁이 끝나고도 거의 몇 십년이 지난 현재 아닌가. 이제는 각국의 민주주의를 통해 평화협상을 해야 할 때라고 본다. 영토문제, 역사왜곡, 핵문제, 경제문제를 떠나서 이러한 인권문제에서부터 해결해야 한다고 본다. 우리나라도 역사의 교육체제를 조금 바꾸어 이러한 것이 있는데 해결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만 한다를 가르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사람들은 한 때 라고 생각한다. 갑자기 떠오르는 핫이슈에 대해서 강한 공감을 하기도 하고 강한 분노를 표출하기도 한다. 이제는 많이 핫이슈로 떠오르지 않는 이러한 문제를 다시 한번 상기하게끔 할 제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우리 억울한 대한민국 여성들을 위해서라도. 이번 과제를 통해 애국심을 키울 수 있었고, 다시 한번 역사의 억울함을 느낄 수 있었다. 제발 한번이라도 사람들이 자신의 문제라고 생각하고 이 위안부 문제를 꼭 다시 상기하여 일본의 정식사과를 받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