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50ml인 것을 이용해 연립방정식을 풀면 표를 채울 수 있다.
30mM
NaCl
100mM
NaCl
150mM
NaCl
200mM
NaCl
Elution
Buffer A
aml
aml
aml
aml
Elution
Buffer B
bml
bml
bml
bml
Total
Volume
50ml
50ml
50ml
50ml
①aml10mM+bml1000mM=50ml30mM
a+b=50
a=48.99, b=1.01
②aml10mM+bml1000mM=50ml100mM
a+b=50
a=45.45, b=4.55
③aml10mM+bml1000mM=50ml150mM
a+b=50
a=42.93, b=7.07
④aml10mM+bml1000mM=50ml200mM
a+b=50
a=40.40, b=9.60
8. Discussion
buffer란 산이나 염기가 첨가되어도 용액의 pH가 거의 변하지 않는 용액이다. 우리는 우선 염기성인 TRIS가 1M이 되게 우선 적은 양의 물에 용해시킨 후, 짝산인 HCl을 넣어 완충용량이 커지도록 pH를 맞춘 다음 증류수로 buffer의 용량을 맞췄다. buffer가 만들어지는 것은 실험 때 TRIS에 HCl을 점점 많이 첨가할수록(pH 7.4에 가까워질수록) pH의 변화가 점점 줄어드는 것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실험에 필요한 용액들의 농도를 1.5배에서 수백 배 크게 만들어 희석시키는 이유는 첫째로 오차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이고, 두 번째로는 매번 적은 양의 용질의 질량을 재는 수고를 덜기 위해서이다.
pH미터의 유리전극은 충격에 약하고 예민하기 때문에 닦을 때나 측정 시에 조심히 다뤄야 하며, 교반기와 동시에 쓸 때에는 마그네틱 바가 닿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또한 마이크로피펫을 다룰 때에도 조심히 다루지 않으면 용액이 기기 내로 들어가 고장을 일으킬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9. Reference
1)김준형 외 3명, 숨마쿰라우데 화학Ⅱ, 이룸이앤비, 2007, p.406
2)David W.Oxtoby 외 2명, 옥스토비의 일반화학(6판), 사이플러스, 2008, pp.502~503, p.734
3)http://ko.m.wikipedia.org/wiki/%EB%8B%A4%EC%9D%B4%EC%97%90%ED%8B%B8%EC%95%84%EB%AF%B8%EB%85%B8%EC%97%90%ED%8B%B8_%EC%85%80%EB%A3%B0%EB%A1%9C%EC%8A%A4(2014.03.10.)
30mM
NaCl
100mM
NaCl
150mM
NaCl
200mM
NaCl
Elution
Buffer A
aml
aml
aml
aml
Elution
Buffer B
bml
bml
bml
bml
Total
Volume
50ml
50ml
50ml
50ml
①aml10mM+bml1000mM=50ml30mM
a+b=50
a=48.99, b=1.01
②aml10mM+bml1000mM=50ml100mM
a+b=50
a=45.45, b=4.55
③aml10mM+bml1000mM=50ml150mM
a+b=50
a=42.93, b=7.07
④aml10mM+bml1000mM=50ml200mM
a+b=50
a=40.40, b=9.60
8. Discussion
buffer란 산이나 염기가 첨가되어도 용액의 pH가 거의 변하지 않는 용액이다. 우리는 우선 염기성인 TRIS가 1M이 되게 우선 적은 양의 물에 용해시킨 후, 짝산인 HCl을 넣어 완충용량이 커지도록 pH를 맞춘 다음 증류수로 buffer의 용량을 맞췄다. buffer가 만들어지는 것은 실험 때 TRIS에 HCl을 점점 많이 첨가할수록(pH 7.4에 가까워질수록) pH의 변화가 점점 줄어드는 것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실험에 필요한 용액들의 농도를 1.5배에서 수백 배 크게 만들어 희석시키는 이유는 첫째로 오차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이고, 두 번째로는 매번 적은 양의 용질의 질량을 재는 수고를 덜기 위해서이다.
pH미터의 유리전극은 충격에 약하고 예민하기 때문에 닦을 때나 측정 시에 조심히 다뤄야 하며, 교반기와 동시에 쓸 때에는 마그네틱 바가 닿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또한 마이크로피펫을 다룰 때에도 조심히 다루지 않으면 용액이 기기 내로 들어가 고장을 일으킬 수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
9. Reference
1)김준형 외 3명, 숨마쿰라우데 화학Ⅱ, 이룸이앤비, 2007, p.406
2)David W.Oxtoby 외 2명, 옥스토비의 일반화학(6판), 사이플러스, 2008, pp.502~503, p.734
3)http://ko.m.wikipedia.org/wiki/%EB%8B%A4%EC%9D%B4%EC%97%90%ED%8B%B8%EC%95%84%EB%AF%B8%EB%85%B8%EC%97%90%ED%8B%B8_%EC%85%80%EB%A3%B0%EB%A1%9C%EC%8A%A4(2014.03.10.)
추천자료
- 환경화학실험 결과레포트(Solids)
- 수질 환경화학실험 예비레포트(TN-총질소)
- [일반화학및실험] 아스피린 이야기
- 응용화학실험결과레포트혼합물의조성
- 일반화학실험-결정장 갈라짐 에너지의 측정 [예비, 결과 보고서]
- 화학실험 - 재결정과 거르기 예비보고서
- 일반화학실험 - 아스피린의 합성
- [일반화학실험] 알코올의 증류
- [화학실험] 재결정과 거르기
- [유기화학실험] 니트로벤젠 합성 결과보고서 : 친전자성 방향족 치환반응의 하나인 니트로화(...
- [분석화학실험] 얇은 막 크로마토그래피(TLC) : TLC를 이용하여 합성한 메틸오렌지와 메틸레...
- [분석화학실험] 용해도와 분별결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