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관계이론에서 자기애성과 경계선 성격장애 병리적 현상에 대해서 _ 해밀턴(N. Gregory Hamilton) - 재접근기, 접근기, 해밀턴의 대상관계 이론과 실제를 읽으며 정리한 전체 내용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상관계이론에서 자기애성과 경계선 성격장애 병리적 현상에 대해서 _ 해밀턴(N. Gregory Hamilton) - 재접근기, 접근기, 해밀턴의 대상관계 이론과 실제를 읽으며 정리한 전체 내용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대상관계이론에서 자기애성과 경계선 성격장애 병리적 현상에 대해서


재접근기가 가져올 수 있는 문제 상황에는
 첫째로 분열이 있다.
 둘째로 중간대상의 애착의 증가이다.
 셋째로 어머니와 유아의 공생과 분화의 갈등이다.

접근기가 가져올 성인의 병리적 현상에는
 첫째, 경계선 성격장애가 있다.
 둘째, 자기애적 성격장애가 있다.



[학지사 출판사의 해밀턴의 대상관계 이론과 실제를 읽으며 정리한 전체 내용]

제 1 부 자기와 대상 및 자아
제1장 대상
제2장 자기
제3장 자기-대상
제4장 자 아

제2부 대상 관계의 발달
제5장 대상관계의 발달
1. 자폐
2. 공생
3. 분리와 개별화
4. (정서적) 대상항상성
제6장 심리적 기제 -> 밖으로 향하는 or 안으로 향하는............
1. 통합과 분화(변별)
2. 투사 -> 외부를 향한 심리적기제
3. 함입, 내사, 동일시(다 안으로 들어오는 현상이며, -> 이것이 밖으로 나갈때에 투사라하고 한다.)
4. 분열
5. 이상화와 평가 절하
6. 투사적 동일시
7. 중간 대상의 형성
8. 온전한 대상관계의 발달
9. 동일시

제3부 대상관계의 연속선(병리적 현상)
제7장 자폐증
제8장 정신분열
제9장 조증
제10장 경계선 성격장애
제11장 자기애적 성격장애

본문내용

R E P O R T
대상관계이론에서 자기애성과 경계선 성격장애 병리적 현상에 대해서
대상관계이론에서 자기애성과 경계선 성격장애 병리적 현상에 대해서
과제를 접근하는 방식은, 교수님 수업 내용과 교재의 내용을 참조하여, 대상 관계 이론에 대한 이해를 다시금 굳건하게 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재접근기에 대한 내용을 뽑아내서, 각 내용을 접목하여, 결론을 도출하려고 시도했습니다. (참고: Hamilton 대상 관계 이론과 실제 1~230페이지 내용정리 [학지사 출판사의 해밀턴의 대상관계 이론과 실제를 읽으며 정리한 전체 내용]
ㅇ 누군가 이유 없이 싫다면, 그 사람의 모습이 내 안에 있는 것이다. 그 모습이 내가 싫은 것이다. -> 내 안의 그 아이를 용서하고 품어줘라.
- 에릭슨이 가진 칼날은 많이 각이 있다. 실제 상담을 위해서는 날카로운 칼날을 가진 대상 관계 이론이 필요하다.
o 우리는 내면에 복잡한 관계가 있다. -> 자신에 대한 느낌. 다른 사람에 대한 느낌 -> 자신의 내적/ 외적 관계의 탐색이 대상관계이론이다.
ㅇ 대상 관계의 발달은 미문화상태에서 시작한다. 돌보는 사람과 돌보는 사람은 분리된 채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다. 내 환경에 따라 자신을 인식한다. (존중받는 환경이면, 자신을 존중하게 된다.)
ㅇ 발달에 있어서 가장 두려운 것은, 혼자 있는 것과 작아지는 것이다. 양육자에게 사랑과 돌봄을 받아 용기를 가짐.
ㅇ 관계에 문제가 생길때 관계 보호를 위해서, 내부에서 원인을 돌리지 않고, 대상외에 외부로 돌리기 시작한다. -> 사랑과 관심을 받고 나서야, 원인을 내부에서 찾게 된다. -> 어린 시절에 어머니와 잘못된 관계의 원인을 나에게 돌리면, 우울증으로 가며......이는 자살로 가기도 한다.
ㅇ 생애 초기에서 성인기까지 대상 관계는 지속되며, 관계는 우리의 일부가 된다.
ㅇ 정신적으로 건강하지 못한 사람은 -> 내면화 / 외현화 반본적이거나 극단적이 유형에 빠지거나 고착된다. 그래서,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그 고착된 관계을 재현한다. 또는 자신을 격리시켜 어느 누구와도 관계를 맺을 수 없거나 관심을 가지지 못하게 된다. (핵심은 내면 세계에 갇히는 일이 발생한다.) 또는
ㅇ 방어기제는 내면화(삼키느냐?)와 외현화(
  • 가격1,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5.02.03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53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