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합 서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수합 서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생애와 문학적 배경

3. 시에 대한 견해

4. 시작세계의 분석
(1) 사대부가 여성의 정체의식
(2) 자아의식의 면모
(3) 자연회귀의식

5. 결 론

본문내용

심의 표출인 것이다.
영수합의 이러한 자부심, 만족감은 그 순간의 짧은 상황에서 만들어졌거나 느껴진 것이 아닌 오랜 세월 자식에 대한 사랑을 안으로 다져서 엄격한 교육을 통해 표현하여 사회적 재목으로 세워놓고서야 비로서 가질 수 있는 자아실현의 면모인 것이다. 그래서 그 자부심과 만족감은 훨씬 무게를 더하여 느껴지고 표현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결국 사회적 성취를 통하여 자신의 삶의 존재를 확인하면서 자아실현을 모색하였던 영수합의 면모 또한 사대부가 여성의 모형이라 할 수 있다.
(3) 자연회귀의식
영수합이 자연을 대상으로 쓴 시는 자연 경물시, 고향 그리움, 은자적 취향 이렇게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녀의 자연을 향하는 시선은 때로는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여성답게 회화적으로 표현하기도 하겻오 자연 경물을 매개로 자신의 감상적 정취, 향수를 그려 놓기도 하였다. 그 뿐만 아니라 자연속에 동화되어 순수한 맘으로 돌아가 자신의 고결한 정신세계에 머물고자 하는 은자적 취향을 드러내 보이기도 하였다.
우선 자연 경물시 에서는 자연을 순수하게 대상화하여 되도록 감정의 개입 없이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자연의 경치에 감흥되어 떠오르는 시상을 곧 시로 읊거나,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객관적으로 관찰하여 그 특징이나 일반적 속성을 그려내었다.
그리고 영수합이 자연을 대상화할 경우 감상적인 정서를 드러낼 때도 있었는데 그것은 고향 그리움을 토로할 때였다. 사람은 누구나 고향을 떠나 있게 되면 고향의 그리움을 절감하여 글로 옮겨놓고 싶은 충동이 이는 것이다. 그녀 역시 남편의 부임지에 동행하여 그곳에서 생활한 자취를 작품 곳곳에 묘사하고 있다. 그 곳 공관생활에서 얻어지는 삶의 내용과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은 심정, 나그네로서의 수심이 영수합 시 세계의 중요한 정서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그렇게 돌아가고 싶어하는 고향은 떠나온 서울의 옛 집이면서 숨고자 하는 강호인 것이다. 은둔하고자 하는 대상으로서의 강호이고 또 자연인 것이다. 이러한 은둔에 대한 의식은 사대부 계층의 남성들이 보편적으로 향유하는 것으로 사대부 삶의 양식인 출(出),처(處) 중에 시골의 전원으로 은퇴함을 뜻하는 처(處)이다. 이러한 은둔에 대한 의식은 사대부 계층에게 보편적인 것이었고, 따라서 영수합 같은 사대부가의 의식있는 여성에게도 능동적으로 받아들여졌던 것이다.
5. 결 론
영수합 서씨는 조선시대의 불합리한 사회상황을 철저하게 자각하고 스스로 삶의 방향을 찾아나가면서 엄격하게 자식을 교육시켜 자아실현을 성취하였고 일상적 자연공간의 친화를 통해 자신의 이상세계를 모색해 나갔던 사대부가 여성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자신의 삶을 시세계에 잘 형상화시켰던 여성 시인의 한 사람이었다.
*참고문헌*
1. 단행본
이혜순,정하영 <한국고전여성문학의 세계>, 이대출판부, 1998
2. 논문
김여주, <조선후기 여성문학연구-영수합 서씨의 한시를 중심으로>,한문교육연구 11호 1997
최정운, <영수합시 연구>, 성균관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1999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2.05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55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