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P[㎏]를 시험편 원래의 단면적A[㎟]를 사용해 나눈 값이다.
(6) 비례한도(limit of proportionality) : 하중과 신장이 비례 관계를 유지하는 최대하중 시의 응력을 말한다.
(7) 탄성한도(elastic limit) : 하중을 완전히 제거했을 때에 재료가 영구변형을 남기지 않고 복귀할 수 있는 최대의 응력을 말한다. 그러나 측정 정밀도에 관계되기 때문에, 보통은 영구변형의 값을 0.01~0.03%(어떤 경우에는 0.003%, 0.001% 등)로 잡는 경우가 많다.
(8) 신장(percentage of elongation) : 인장시험편, 파단 후 시험편을 맞대어 표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원래의 표점 사이 거리 Lo에 대해서 구하는 것이며, 재료의 연성(延性)을 판단하는 것에 사용한다.
(9) 수축(percentage of contraction of area) : 인장시험편이 파단된 뒤에 있어서 최소 파단면적 N을 원래의 단면적 Ao에 대한 감소율이다.
(10) 탄성계수, 영 계수(Young`s modulus) : 실험적으로 작은 응력의 범위 내에 있어서는, 동일한 재료에 대해서 E의 값은 일정하며, 재료의 물리적 정수이다. 변형률로 나눈 응력의 단위를 가지므로, 탄성계수는 응력과 동일한 단위를 갖는다.
(11)파괴강도(breaking strength) : 재료가 파단되기까지의 최대 응력도(應力度). 즉, 재료가 파괴되는 최대 하중을 최초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3. 실험 재료 및 기구
시편
경강(S45C)
연강(SS41)
알루미늄(Al)
UTM(만능재료시험기), 버니어 캘리퍼스 등
4. 실험방법
1. 인장 시험 전에 각 시편에 표점거리(100mm)를 표점거리를 새기고 시편의 너비와 폭을 버니어 캘리퍼스로 측정한다.
2. 시편을 그립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수평을 맞춘다.
3. 시편에 표시한 표점거리 부분에 신장계를 고정시킨다.
4. 컴퓨터에 시편의 너비와 폭을 입력한다.
5. 재료에 하중을 가한다.
5. 실험 결과
경강은 인장강도가 562.893
(MPa)로 다른 시편보다 단
단하다는 것을 알수있었다.
그래프에서 나오듯 취성 재
료의 성질을 가지고 있었고 하중을 가할 때 쩍쩍 갈라지는 소리가 들릴 정도로 취성이 강했다.
연강은 인장강도가369.132
(MPa)로 강했고 항복점이
369.132(kN)로 뚜렷 했다.
항복구간과 변형경화구간
에서 눈에 보일 정도로 변
형
(6) 비례한도(limit of proportionality) : 하중과 신장이 비례 관계를 유지하는 최대하중 시의 응력을 말한다.
(7) 탄성한도(elastic limit) : 하중을 완전히 제거했을 때에 재료가 영구변형을 남기지 않고 복귀할 수 있는 최대의 응력을 말한다. 그러나 측정 정밀도에 관계되기 때문에, 보통은 영구변형의 값을 0.01~0.03%(어떤 경우에는 0.003%, 0.001% 등)로 잡는 경우가 많다.
(8) 신장(percentage of elongation) : 인장시험편, 파단 후 시험편을 맞대어 표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원래의 표점 사이 거리 Lo에 대해서 구하는 것이며, 재료의 연성(延性)을 판단하는 것에 사용한다.
(9) 수축(percentage of contraction of area) : 인장시험편이 파단된 뒤에 있어서 최소 파단면적 N을 원래의 단면적 Ao에 대한 감소율이다.
(10) 탄성계수, 영 계수(Young`s modulus) : 실험적으로 작은 응력의 범위 내에 있어서는, 동일한 재료에 대해서 E의 값은 일정하며, 재료의 물리적 정수이다. 변형률로 나눈 응력의 단위를 가지므로, 탄성계수는 응력과 동일한 단위를 갖는다.
(11)파괴강도(breaking strength) : 재료가 파단되기까지의 최대 응력도(應力度). 즉, 재료가 파괴되는 최대 하중을 최초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3. 실험 재료 및 기구
시편
경강(S45C)
연강(SS41)
알루미늄(Al)
UTM(만능재료시험기), 버니어 캘리퍼스 등
4. 실험방법
1. 인장 시험 전에 각 시편에 표점거리(100mm)를 표점거리를 새기고 시편의 너비와 폭을 버니어 캘리퍼스로 측정한다.
2. 시편을 그립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수평을 맞춘다.
3. 시편에 표시한 표점거리 부분에 신장계를 고정시킨다.
4. 컴퓨터에 시편의 너비와 폭을 입력한다.
5. 재료에 하중을 가한다.
5. 실험 결과
경강은 인장강도가 562.893
(MPa)로 다른 시편보다 단
단하다는 것을 알수있었다.
그래프에서 나오듯 취성 재
료의 성질을 가지고 있었고 하중을 가할 때 쩍쩍 갈라지는 소리가 들릴 정도로 취성이 강했다.
연강은 인장강도가369.132
(MPa)로 강했고 항복점이
369.132(kN)로 뚜렷 했다.
항복구간과 변형경화구간
에서 눈에 보일 정도로 변
형
추천자료
EF 지수공법 수밀성 실험 및 인장 시험
재료 공학 실험 - 강유전체 박막 특성 실험
건설재료실험 흙의 분류 애터버그 한계시험
건설재료실험 흙의 압밀 시험 보고서
[재료실험] 경도시험 및 경도 측정기
건설재료 및 실험 (모래의 유기물 시험) 보고서 입니다.
[재료실험실습] 콘크리트 비비기 및 슬럼프 시험과 공시체 제작
[실험보고서] 충격시험 (impact test) - 충격시험은 충격력에 대한 재료의 저항력 즉, 인성이...
자동차공학 실험 - 만능시험기 실험
건설재료실험 - 토질 비중시험
[신소재 공학] 재료의 침탄실험 : 강의 표면을 경화하고 내부를 강인하게 하여 내마멸성을 갖...
[건설재료실험]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
[기계공학 실험] 동력계(Dynamometer)를 이용하여 기초적인 엔진 시험
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율 시험(건설재료 및 실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