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환아 간호력
Ⅱ. 질병고찰
1. 미숙아 (Prematurity)
2. 저출생 체중아(Low Birth Weight infant)
Ⅲ. 간호과정
1. 기초자료
1) 과거력
2) 성장발달상태 사정(New Ballard Scale)
3) 신체검진
2. 입원기간 중에 시행된 진단적 검사 및 치료과정
1) 검사
(1) 일반혈액 (4) 기생충 검사 (7) 일반촬영
(2) 일반화학 (5) 세균배양 (8) 초음파검사
(3) 혈액가스 (6) 혈액은행 (9) 면역혈청검사
2) 치료과정
(1) Physician order
(2) Proceeding Data
(3) Nursing Care Process Note
Ⅳ. 투약
Ⅴ. 특수치료
Ⅵ. 참고문헌
Ⅱ. 질병고찰
1. 미숙아 (Prematurity)
2. 저출생 체중아(Low Birth Weight infant)
Ⅲ. 간호과정
1. 기초자료
1) 과거력
2) 성장발달상태 사정(New Ballard Scale)
3) 신체검진
2. 입원기간 중에 시행된 진단적 검사 및 치료과정
1) 검사
(1) 일반혈액 (4) 기생충 검사 (7) 일반촬영
(2) 일반화학 (5) 세균배양 (8) 초음파검사
(3) 혈액가스 (6) 혈액은행 (9) 면역혈청검사
2) 치료과정
(1) Physician order
(2) Proceeding Data
(3) Nursing Care Process Note
Ⅳ. 투약
Ⅴ. 특수치료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임. 상태 관찰 중임
12:30
수유량 적어 수액요법 시작함(24G : 오른손등), IV site 부종 발적 없음. 움직임, 울음 양호함. 수유시간 지연보임. 상태 계속 관찰 중.
12.9
05:00
NST 47룸 검사 나감.
10:00
Rt. arm에 IV site 새로 잡음.
12.10
00:00
IV site 깨끗함. 수유시간 지연되며, 수유 양상 및 활동력 양호함. 상태 관찰 중임.
09:00
전신목욕 후 환의와 시티 교환, bassinet 청소, 수유시 오심 구토 없음. 수유시간 지연되나 호전보임. 활동력 양호함. IV site clear함. 상태 계속 관찰 중임.
16:30
움직임 양호한 편임. IV 오른손에 유지 중임. 발적 부종 없음. 수유시 빠는 힘 보통. 수유량 30~40cc 정도임. 상태 계속 관찰중임
12.11
00:00
수유시간 지연되며 수유량 20~30cc 정도임. 수유시 오심 구토 증상 보이지 않음, 활동력 양호함. 상태 관찰 중임.
09:00
전신목욕 후 환의와 시티 교환, 바시넷 청소. 울음 움직임 양호. 전신 피부색 어두움. 수유시 오심 구토 없음. 수유량 20~30cc 적고, 수유시간 오래 걸림. 계속 상태 관찰 중.
12.12
00:00
IV site clear. 수유시간 지연됨.
간호진단
# 1 면역학적 방어결핍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 2 미성숙한 체온조절과 관련된 체온유지능력 저하의 위험성
# 3 미성숙한 피부구조, 부동적 자세,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 4 미성숙과 관련된 영양 부족 위험성
# 1 면역학적 방어결핍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DATE
ASSESSMENT
<객관적 자료>
1) 33wks 출생의 Primaturity, LBW임
2) 출생한지 1개월 이하인 신생아임
3) 혈액 임상 검사를 위한 침습적 검사가 시행되고 있음
4) 제대가 아직 떨어지지 않았음.
5) 로타바이러스가 신생아 집중실에 퍼져있음
NURSING DIAGNOSIS
ETIOLOGY
감염위험성
면역의 결핍과 관련된
NURSING\'S GOAL
환아는 감염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PLAN
1) 모든 치료자는 감염원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처치전과 후에 철저한 손씻기를 시행하고, 분비물을 접촉하게 될 때에는 장갑을 낀다.
2) 환아와 접촉되는 모든 장비는 깨끗이 하고 무균적으로 유지한다.
3) 감염병을 가진 다른 영아를 격리한다.
4) 침습적 절차에 대한 무균법을 준수한다.
5) 제대간호를 한다.
- 기저귀는 제대 아래 부분에 댄다.
- 매일 냄새, 색, 분비물을 사정한다.
- 제대는 필요시 소독한다.
6) 처방된 항생제를 정확히 투여한다.
7) 감염 조절 절차에 대해 의료인과 부모를 교육한다
INTERVENTION
1) 신생아실 출입 전, 후와 환아와 접촉 전, 후에 손소독 하였다.
2) 환아의 젖병 세척과 소독은 증기멸균 후, 건조 소독되는 기계에 넣었다.
3) 면회시간 환아와 접촉하는 부모에게 손씻기를 교육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4) 혈액검사를 위한 침습적인 절차시 무균법을 준수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5) 제대 간호시 히비탄 솜으로 내과적으로 닦았다.
6) 목욕시, 수액경로를 물에 닿지 않게 하였다.
OUTCOME CRITERIA
EVALUTION REPLANING
환아는 병원내 감염에 대한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1)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2) 세균배양 시 균이 검출되지 않는다.
1) 환아는 정상 체온을 유지하였다.
6A
10A
2P
6P
10P
2A
BT
36.8
36.8
37.2
36.6
36.8
36.8
2) 제대까지 기저귀로 덮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감염 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앞으로 수정하여 시행해야 할 것으로 보임.
DATE
ASSESSMENT
<객관적 자료>
1) 33 출생의 Primaturity, LBW임
2) 출생한지 1개월 이하인 신생아임
3) Warmer에서 생활중임.
NURSING DIAGNOSIS
ETIOLOGY
체온유지능력 저하의 위험성
미성숙한 체온조절과 관련된
NURSING\'S GOAL
환아는 안정된 체온을 유지한다.
PLAN
1) 신생아를 보육기 혹은, 방사 보온 침대에 두거나, 따뜻하게 옷을 입혀 개방침대에 둔다.
2) 체온이 불안정한 신생아는 매시간 체온을 측정한다. (수유나 목욕 후 환아의 체온을 측정한다.)
3) 보온 기구의 온도와 관련하여 신생아의 체온을 점검한다.
4) 열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플라스틱 열차폐물을 사용한다.
5) 열손실을 촉진시키는 상황을 피한다 : 찬 공기, 통풍구, 목욕, 찬 기구나 물품 등
INTERVENTION
1) 수유 중일 때 환아에게 포나 환의를 입혀 체온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2) 보온기의 온도를 32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3) 목욕 시에는 준비 시간과 목욕시간을 길게 하지 않아 장시간 노출되는 것을 피하고, 목욕이 끝난 후에는 재빨리 물기를 닦아주었다.
4) 수유나 목욕 후 환아의 체온을 측정하여 이상징후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OUTCOME CRITERIA
EVALUTION REPLANING
환아는 안정된 체온을 유지하였다.
1) 환아의 체온 변화를 ±1℃ 미만으로 최소화 한다.
1) 환아는 정상 체온을 유지하였다.
(비교적 체온변화가 ±1℃ 를 유지하였다.)
12.10
6A
10A
2P
6P
10P
2A
BT
36.8
36.8
37.2
36.6
36.8
36.8
# 2 미성숙한 체온조절과 관련된 체온유지능력 저하의 위험성
# 3 미성숙한 피부구조, 부동적 자세,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DATE
ASSESSMENT
<객관적 자료>
1) 33 출생의 Primaturity, LBW임
2) 출생한지 1개월 이하인 신생아임
3) 피부에 탄력이 없으며 처치를 위해 발바닥과 손목에 테이프를 붙이고 있음.
4) 스스로 체위 변경을 하지 못하여 부동의 자세로 누워 있음.
5) 기저귀 발진이 관찰 됨.
NURSING DIAGNOSIS
ETIOLOGY
피부손상 위험성
미성숙한 피부구조, 부동적 자세
침습적 절차와 관련된
NURSING\'S GOAL
환아는 피부통합성을 유지할 것이다.
PLAN
1) 드레싱이나 전극, 테이프를 붙일
12:30
수유량 적어 수액요법 시작함(24G : 오른손등), IV site 부종 발적 없음. 움직임, 울음 양호함. 수유시간 지연보임. 상태 계속 관찰 중.
12.9
05:00
NST 47룸 검사 나감.
10:00
Rt. arm에 IV site 새로 잡음.
12.10
00:00
IV site 깨끗함. 수유시간 지연되며, 수유 양상 및 활동력 양호함. 상태 관찰 중임.
09:00
전신목욕 후 환의와 시티 교환, bassinet 청소, 수유시 오심 구토 없음. 수유시간 지연되나 호전보임. 활동력 양호함. IV site clear함. 상태 계속 관찰 중임.
16:30
움직임 양호한 편임. IV 오른손에 유지 중임. 발적 부종 없음. 수유시 빠는 힘 보통. 수유량 30~40cc 정도임. 상태 계속 관찰중임
12.11
00:00
수유시간 지연되며 수유량 20~30cc 정도임. 수유시 오심 구토 증상 보이지 않음, 활동력 양호함. 상태 관찰 중임.
09:00
전신목욕 후 환의와 시티 교환, 바시넷 청소. 울음 움직임 양호. 전신 피부색 어두움. 수유시 오심 구토 없음. 수유량 20~30cc 적고, 수유시간 오래 걸림. 계속 상태 관찰 중.
12.12
00:00
IV site clear. 수유시간 지연됨.
간호진단
# 1 면역학적 방어결핍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 2 미성숙한 체온조절과 관련된 체온유지능력 저하의 위험성
# 3 미성숙한 피부구조, 부동적 자세,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 4 미성숙과 관련된 영양 부족 위험성
# 1 면역학적 방어결핍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DATE
ASSESSMENT
<객관적 자료>
1) 33wks 출생의 Primaturity, LBW임
2) 출생한지 1개월 이하인 신생아임
3) 혈액 임상 검사를 위한 침습적 검사가 시행되고 있음
4) 제대가 아직 떨어지지 않았음.
5) 로타바이러스가 신생아 집중실에 퍼져있음
NURSING DIAGNOSIS
ETIOLOGY
감염위험성
면역의 결핍과 관련된
NURSING\'S GOAL
환아는 감염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PLAN
1) 모든 치료자는 감염원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처치전과 후에 철저한 손씻기를 시행하고, 분비물을 접촉하게 될 때에는 장갑을 낀다.
2) 환아와 접촉되는 모든 장비는 깨끗이 하고 무균적으로 유지한다.
3) 감염병을 가진 다른 영아를 격리한다.
4) 침습적 절차에 대한 무균법을 준수한다.
5) 제대간호를 한다.
- 기저귀는 제대 아래 부분에 댄다.
- 매일 냄새, 색, 분비물을 사정한다.
- 제대는 필요시 소독한다.
6) 처방된 항생제를 정확히 투여한다.
7) 감염 조절 절차에 대해 의료인과 부모를 교육한다
INTERVENTION
1) 신생아실 출입 전, 후와 환아와 접촉 전, 후에 손소독 하였다.
2) 환아의 젖병 세척과 소독은 증기멸균 후, 건조 소독되는 기계에 넣었다.
3) 면회시간 환아와 접촉하는 부모에게 손씻기를 교육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4) 혈액검사를 위한 침습적인 절차시 무균법을 준수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5) 제대 간호시 히비탄 솜으로 내과적으로 닦았다.
6) 목욕시, 수액경로를 물에 닿지 않게 하였다.
OUTCOME CRITERIA
EVALUTION REPLANING
환아는 병원내 감염에 대한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
1) 정상체온을 유지한다.
2) 세균배양 시 균이 검출되지 않는다.
1) 환아는 정상 체온을 유지하였다.
6A
10A
2P
6P
10P
2A
BT
36.8
36.8
37.2
36.6
36.8
36.8
2) 제대까지 기저귀로 덮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감염 증상은 보이지 않았다. 앞으로 수정하여 시행해야 할 것으로 보임.
DATE
ASSESSMENT
<객관적 자료>
1) 33 출생의 Primaturity, LBW임
2) 출생한지 1개월 이하인 신생아임
3) Warmer에서 생활중임.
NURSING DIAGNOSIS
ETIOLOGY
체온유지능력 저하의 위험성
미성숙한 체온조절과 관련된
NURSING\'S GOAL
환아는 안정된 체온을 유지한다.
PLAN
1) 신생아를 보육기 혹은, 방사 보온 침대에 두거나, 따뜻하게 옷을 입혀 개방침대에 둔다.
2) 체온이 불안정한 신생아는 매시간 체온을 측정한다. (수유나 목욕 후 환아의 체온을 측정한다.)
3) 보온 기구의 온도와 관련하여 신생아의 체온을 점검한다.
4) 열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해 플라스틱 열차폐물을 사용한다.
5) 열손실을 촉진시키는 상황을 피한다 : 찬 공기, 통풍구, 목욕, 찬 기구나 물품 등
INTERVENTION
1) 수유 중일 때 환아에게 포나 환의를 입혀 체온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2) 보온기의 온도를 32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3) 목욕 시에는 준비 시간과 목욕시간을 길게 하지 않아 장시간 노출되는 것을 피하고, 목욕이 끝난 후에는 재빨리 물기를 닦아주었다.
4) 수유나 목욕 후 환아의 체온을 측정하여 이상징후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OUTCOME CRITERIA
EVALUTION REPLANING
환아는 안정된 체온을 유지하였다.
1) 환아의 체온 변화를 ±1℃ 미만으로 최소화 한다.
1) 환아는 정상 체온을 유지하였다.
(비교적 체온변화가 ±1℃ 를 유지하였다.)
12.10
6A
10A
2P
6P
10P
2A
BT
36.8
36.8
37.2
36.6
36.8
36.8
# 2 미성숙한 체온조절과 관련된 체온유지능력 저하의 위험성
# 3 미성숙한 피부구조, 부동적 자세, 기저귀 발진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DATE
ASSESSMENT
<객관적 자료>
1) 33 출생의 Primaturity, LBW임
2) 출생한지 1개월 이하인 신생아임
3) 피부에 탄력이 없으며 처치를 위해 발바닥과 손목에 테이프를 붙이고 있음.
4) 스스로 체위 변경을 하지 못하여 부동의 자세로 누워 있음.
5) 기저귀 발진이 관찰 됨.
NURSING DIAGNOSIS
ETIOLOGY
피부손상 위험성
미성숙한 피부구조, 부동적 자세
침습적 절차와 관련된
NURSING\'S GOAL
환아는 피부통합성을 유지할 것이다.
PLAN
1) 드레싱이나 전극, 테이프를 붙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