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병통치 가정요법 (소화기 질환, 운동기 질환, 순환기 질환, 호흡기 질환, 생식기 질환, 부인과질환, 기타 여러 가지 질병)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만병통치 가정요법 (소화기 질환, 운동기 질환, 순환기 질환, 호흡기 질환, 생식기 질환, 부인과질환, 기타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만병통치 가정요법

제1장. 소화기 질환
 (1) 소화 장애
 (2) 구토
 (3) 구토혈(입으로 피를 토하는 증세)
 (4) 주상
 (5) 복통
 (6) 위산 과다
 (7) 위하수
 (8) 위궤양
 (9) 십이지장 궤양
 (10) 설사
 (11) 이질
 (12) 변비
 (13) 혈변
 (14) 간에 병이 들면
 (15) 황달

제2장. 운동기 질환
 (1) 요통
 (2) 견비통
 (3) 관절염
 (4) 신경통
 (5) 타박상
 (6) 기타 운동기 질환

제3장. 순환기 질환
 (1) 심장통
 (2) 칠정으로 인한 심장병
 (3) 불면증
 (4) 신경쇠약
 (6) 우울증
 (7) 고혈압
 (8) 저혈압

제4장. 호흡기 질환
 (1) 감기
 (2) 두통
 (3) 기침
 (4) 늑막염
 (5) 기관지염
 (6) 객혈

제5장. 생식기 질환
 (1) 양기 부족
 (2) 정액이 스스로 나오거나 꿈속에서 정액이 나오는 증상
 (3) 소변에 붉거나 백색 이물질이 나오는 증상
 (4) 신장이나 방광결석
 (5) 소변에서 피가 섞여 나오는 증상
 (6) 신장염
 (7) 소변을 참지 못하는 증상
 (8) 소변이 잘 안 나오는 증상
 (9) 전립선비대증
 (10) 양강증

제6장. 부인과질환
 (1) 월경색
 (2) 월경 불리
 (3) 월경통
 (4) 월경이 전혀 안 나오는 증상
 (5) 하혈증
 (6) 대하증(냉증)
 (7) 자궁출혈
 (8) 유산과 산후조리
 (9) 불감증

제7장. 기타 여러 가지 질병
 (1) 허약 체질
 (2) 몸이 냉할 때
 (3) 부종
 (4) 배가 커지는 증상
 (5) 땀을 흘리는 증상
 (6) 당뇨병(소갈증)
 (7) 비만증
 (8) 축농증
 (9) 코피를 흘리는 증상
 (10) 인후염
 (11) 후두염
 (12) 편도선염
 (13) 습진
 (14) 피부 관리
 (15) 기타 질병
 (17) 흰머리가 없게 살려면
 (17) 암에 좋은 약초

본문내용

냉하면 소금 세 흡을 볶아 자루에 담아 가지고 배 위에 찜질을 하면 배가 따뜻하게 된다.
복부에 열이 지나치게 맣아도 복통이 발생하는 것이니, 생지황 150그램, 백작약 볶은 것 50그램을 물 2리터에 넣고 달이다가 절반쯤 되면 1일에 3번식 커피 먹는 분량으로 나누어 먹으면 된다. 열이 많은 경우에만 해당되는 것으로 냉하여 생기는 복통에는 역효과가 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산 후 어혈이 복부에 남아있어 배가 아프면 쇠비름 생즙 3흡을 적당량의 물에 끓이다가 끓기 시작하면 꿀 1흡을 넣고 저어서 먹으면 치료가 잘된다.
심장통과 복통이 같이 오면 쑥을 생즙을 내어 1컵 정도를 마시면 되고, 배가 아프면서 설사를 하면 익지인, 후박, 육두구를 각 등분하여 달여 먹으면 치료가 잘 될 것이며, 배가 가득하고 거북하면 목향 70그램, 후박 150그램을 달여 먹으면 치료가 된다.
복통을 예방하려면 위와 장을 원활하게 만들어 주어야 하므로 복부운동을 하루에 여러 번씩 하거나 배를 주물러 주고 눌러주어 지압을 하여 주기도 하고, 줄넘기나 물구나무서기를 반복하여 내장을 아래위로 흔들어 주는 것을 계속하게 되면 소화 장애나 변비 같은 것이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6) 위산 과다
체질과 음식물에 특수한 자극이 있게 되면 위 속의 산이 입으로 올라오고 식후 2~3시간이 지나면 위가 쓰리고 아픈 것이 특징이며, 공복이 되면 더 아프고 음식이 들어가면 아픈 것이 없어지는 것으로 음식이 위로 유입하면 아픈 통증이 없어진다하여 아플 때마다 음식을 먹게 되면 더욱 해로우며 병이 도리어 심해져서 위궤양으로 발전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위산 과다가 생기면 오징어뼈를 노랗게 볶아서 70그램을 달여 3~5번에 나누어 먹거나 가루로 만들어 한 번에 커피 숟가락으로 하나씩 먹으면 치료가 잘되나, 너무 오래 되어 낫지 않으면 대황, 건강, 보두를 각 등분하여 냉수로 환을 녹두알 만하게 만들어 약한 사람은 6~7알을 복용하고 건강한 사람은 9~10알을 복용하면 3~5일 정도면 치료가 되지만, 장기복용은 하지 말아야 하며, 복용하는 양은 초과해서는 절대로 안되며 보두는 식초에 담아 10시간이 지난 후에 잘게 썰어서 말려 쓰는 것이다. 간단하고 쉽게 치료하는 방법은 창출 100그램, 신곡 70그램을 달여 먹으면 치료가 된다.
위산결핍증은 위산 과다와 반대로 위산의 분비가 부족한 것으로 체질적이거나 몸이 쇠약하거나 정신적 불안 불쾌감이 원인이 되어 위의 기능이 쇠퇴된 원인으로 위의 기능을 도와주어야 하므로 음식은 된장을 넣고 부추죽을 쑤어서 먹는 것이 좋으며, 자극이 있는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고, 삽주뿌리, 산약 50그램을 달여 먹거나 창출, 삽주뿌리, 건강을 각 40그램씩 달여 먹게 되면 위의 기능을 원활하게 하여 주므로 치료가 된다.
(7) 위하수
위가 정상적 위치에 있지 않고 하복부로 처져 내려가는 병으로 음약이 허하여 생기는 병으로 볼 수 있다. 위의 근육이 늘어져 커지는 것은 위하수가 심한 것이며 심장부위에 압축감을 주며 아프며, 변비가 생기는 증상이 있으며, 머리가 무겁거나 두통이 생기고 어지러움이 있고 피로가 쌓이는 증상도 있으며, 위의 부위가 울퉁불퉁하고 하복부가 가득하고 손으로 두들겨 보면 물이 차 있는 것 같은 등의 증상이 생기는 것으로, 황기 100그램, 인삼, 백출 40그램을 달여 먹거나 황기를 꿀에 혼합하여 진한 노란색이 변하도록 볶은 것 100그램을 물 2리터에 넣고 차를 끓여 수시로 마시게 되면 치료가 된다.
(8) 위궤양
위 카타르는 위산 과다가 심해 위벽이 파지는 병으로 위가 칼로 베는 것 같이 아프고 심하며 척추까지 몹시 아프며 때로는 위에 출혈이 되어 구토하는데, 거무스레한 핏덩어리가 섞여 나오는 일도 있고 검은피가 섞인 변을 보는 일도 있다. 평상시에는 대개 변비가 있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고백반, 식용 활석, 감초를 각 등분하여 가루로 만들어 계란 흰자 위에다 혼합을 하여 팥알만큼 크기로 만들어 식후 즉시 15환에서 20환을 복용하는데 반 근 불량이면 1개월을 복용할 수 있으니 참고하여 만들면 된다. 고백반이란 백반을 뜨거운 불에 가열하게 되면 시루떡 모양으로 부풀어 손으로 만지면 부서지게 되는 것을 말한다.
(9) 십이지장 궤양
십이지장 궤양이 되는 것은 위산 과다, 음주, 위하수, 동맥경화, 간장병, 심한 노동 등 외에 원인이 있으며, 정신적 과로와도 관계가 있다. 통증이 있으며 출혈을 하는 위장병의 증상과 같으며 상복부 정 중앙에서 우측으로 발생하는 통증과 관계가 있으며 식후 2시간 후에 출혈이 발생하는 예가 잇으나, 작은양으로 나오지만 잠재되어 있던 것이 나오는 것이며 대량의 출혈인 경우는 하혈로 인해 하는 출혈이다. 토혈을 하는 예는 적으며 위액은 위산으로서 분비 과다를 표시하는 것이다.
합병증이 주의되는 것은 천공으로 복막염 횡강하에 농이 생기는 것이며, 십이지장 벽에 궤양이 발생하는 것으로 급성과 만성 복막염을 일으키며 황달, 담낭염을 유발하는 수도 있는 것이다. 치료는 닭똥집 껍질 마른 것 반 근에 모려분 150그램을 혼합하여 가루로 만들어 커피숟가락으로 하나씩 하루 3번 복용하거나 오징어뼈를 노랗게 볶은 것 50그램에 보두 20그램을 혼합하여 1일 3번 커피숟가락으로 하나씩 먹기도 하고, 창출 70그램, 백편두 50그램을 달여 먹으면 치료가 된다.
(10) 설사
설사는 대변에 수분이 너무 많은 것을 말하며, 설사의 원인은 복잡하여 모두 설명하기 어려움이 많으므로 몇 가지만 설명하기로 한다.
습기에 상하여 나는 설사는 한습의 침해를 받아 생기는 것이며, 폐결핵 끝에 나는 설사는 폐결핵에 속하는 설사이니 폐를 치료해야 치료가 되며, 부패된 음식에 의한 것과 냉하여 생기는 설사 등으로 구분한다. 익지인, 당귀, 백작양, 황련 각 50그램을 달여 먹거나, 지실, 라복자, 당귀, 백작약 50그램을 달여 먹게 되면 치료가 된다.
장이 약하여 생기는 설사에는 쇠비름, 고들빼기를 생즙을 내어 소주잔으로 한 잔씩 마시게 되면 치료가 되고 냉이즙을 만들어 마시면 장의 수축을 시켜 설사를 멈추게 해주고, 어떤 설사든 철사를 하게 되면 토란줄기를 먹게 되면
  • 가격7,7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15.02.15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63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