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교수 임용 과정에 있어서 성차별적 현상 분석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성교수 임용 과정에 있어서 성차별적 현상 분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4p

Ⅱ. 관련 통계----------------------------------5p
 (1) 동국대학내 여교수와 여학생수
 (2) 여성 교수 임용 비율
 (3) 여학생 비율

Ⅲ.임용과정에 있어서의 문제점 분석----------------18p

Ⅳ.현재 대안이 되는 여성 임용 목표제 고찰----------30p

Ⅴ.장기적 측면에서 새로운 모색-교수임용 CIRCLE----42p

Ⅵ.결론--------------------------------------45p

Ⅶ.별첨-교수 신규 임용제도 국제 비교(박남기)---------46p

Ⅷ.참고 문헌----------------------------------82p

Ⅸ.동국대 여성교수 임용에 대한 인식 조사 분석. 제2권

본문내용

어떤 외부적 요소를 제외한, 그 대학이 표면적으로 요구하는 기준에 평가 되어 진다면 \'여성의 능력부족\'으로 단정 지어버릴 수도 있다.
그러나 잠깐 여기서 논의를 하는데 있어 우리 조원 뿐만 아니라, 주위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 보았다, 그런데 남학생들 뿐만 아니라 여학생들도 과연 여 교수가 필요한지, 여 교수가 있다 해서 무엇이 좋은지 또한 여학생 수와 교수의 수의 큰 차이가 여 교수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가 되는지 의문을 가졌다. 이쯤에서 우리는 왜 이런 현상이 나오는 가에 대해 짚어 볼 필요가 있다. 우리는 이것을 성차별의 양상이 구조화된 관행과 무의식/의식 영역에서 작동한 상식의 형태의 반복의 문제로 보았다. 한국사회의 특수한 가부장적 전통과 이데올로기는 물론이고, 현대사의 과정에서 뿌리내린 연고주의, 배타주의, 집단주의로부터 아무도 자유로워 질 수 없는 것이다. 이런 요소들은 그 자체로 권력과 질서를 만들고 서열화 하는 힘이다.즉, 남성 중심질서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 위에 이루어진 모든 것, 여기서는 교수임용에 있어서도 현재 적용되는 선발 및 채용기준이 나름대로 합리적으로 판단되고, 여성들은 그런 기준에 못 미치므로 채용되지 않는다고 보며 나아가 그것에 의문을 가진 여성학자나 비판론자를 역으로 비난한다. 또한, 그 남성 중심 질서의 구성원은 이런 문제에 대해 무감각해질 수 있을 소지가 있다. 우리는 그런 남성 중심 제도 안에서 여성의 교수임용의 과정에 불평등한 원인 을 크게 세가지로 나누었다.
*임용과정내에 불평등
1)\'합리적\'이란 단어에 의미...
우리는 어떤 일을 할 때에 \"합리적으로 사고하자, 객관적인 눈을 가지고 보자\" 라고 한다. 또 그것이 모두가 지향하고 진리로 받아지는 가치이다.대학내 교수임용에 있어서도 그 가치는 존중되어진다. 다만, \"합리적이다\"라고 말할 수 있는 요소와 배경에 비합리적 측면이 있다고 보았다. 미국에 저명한 사회학 학자인 맥얼리는 미국내의 교수임용과정에 있어서 합리적 요소를 크게 강의능력, 연구수행능력, 열정, 기획능력 및 추진력, 동료애, 리더십, 상담/자문능력을 두고있는 이 것 은 철저하게 남성적 가치 기준에 따른 것이라고 비난했다.
동료애
이름은 거창하나 내부의 조화뿐만 아니라 외부의 필요한 자원/힘을 얼마나 끌어들일 수 있는 가다. 여기서 \"남자교수 만 있는데 여자는 껄끄러워\" \"여성의 외부의 자원은 남편으로만 한정되어진다.(실제적으로 여성교수의 임용시 다수가 남편의 직업을 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부분은 집단주의 연고주의와 관련되어 다음 두번째 요소인 한국 내 풍토에서 더 설명하겠다.
연구능력과 학자적 수행
지금까지 여성은 감성,감정,주관적인 존재로 관념화 되었지만 대학교수의 의미지는(국문학과나 가정학과 같은 몇몇 과를 제외) 냉철하고,객관적인 성격으로 정의되어진다. 그러나 이것은 \"교육\"의 의한 고정된 편견일 뿐이다.
리더십
대학 내 리더십은 상하단계를 전제한 권위주의적 지도력이다. 깊숙이 들어가면 \"힘의 논리\"이다. 이것 또한 남성이 즐기는 하나에 게임이다. 이미 역사에서도 보았듯이 남자들은 힘의 논리로 전쟁을 하고 이데올로기를 만들어 내며 군대문화, 대학 서열화, 계급화 등을 낳았다. 그러나 그것이 \"옳다\"라고 단정지을 자는 누구도 없다.
카리스마
여성에겐 카리스마가 약하고 없다. 그러므로 강의나 학생지도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편견이다. 왜냐하면 강의 및 학생과의 관계에서의 궁극적인 리더십은 전문성과 연구능력, 강의 충실도에 의해 생기기 때문이다. 요즘 대학생들이 보수적이고 딱딱한 교수님 보다, 쉽게 다가 갈 수 있고 말할 수 있는 교수를 더 선호하는 것을 보면 여성교수가 더 많은 리더십을 가졌다고 할 수 있겠다.
2)한국의 풍토 학연 지연
합리적이란 과정을 마치면 결국 교수 위원회에 가 소집되어서 논의 끝에 최종결정을 내리는데, 여기에는 \"합리적\" 평가조차 배제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사회가 가진 학연, 지연, 지역주의 연고주의와 같은 요소가 평가에 개입되어져 또 다시 \"성불평등\"을 느낀다. 다른 한편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의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고 그럼으로써 발생하는 과정이라 해석되어 질 수 있다. 그렇다면 대학의 숫자가 엇비슷한 영국이나 서구 여러 나라도 \"연고주의\",\"학벌주의\"가 지배적이어야(물론 아예 없는 것 은 아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분명 한국 내에 존재하는 \"인습\"이다.
관련 인터뷰
1. 한국 외국어 대학교 법학과, 이은영 교수님.
Q: 독일 유학 후 돌아오셔서 곧장 서울대에서도 강사를 하셨습니까?
A:예, 돌아 와서 저희 은사님이 추천을 해주셔서 잠시 서울대에서 가르쳤어요.
몇 번을 했었는데, 처음 지원 했을 때는 남자 후보랑 경쟁 했었는데 그 남자
후보가 양보해달라고 해서 분개했던 기억이 나네요..그 당시 저도 어려서 꼭 되리라고 생각하진 않았어요, 다만 그 때는 아직 전임이 안됐기 때문에 어쨌든 교수가 되어야 했고 그 다음 80년도에는 외대에 있으면서 지원을 했어요. 그런데 제가 오기 전,교수회의에서 법대에도 여 교수를 뽑을 것이냐 하는 의견을 사적인 자리에서 물었는데 반대쪽이 더 많았다던가, 저도 얘기만 들어서 확실히는 모르겠지만 그런 정황이었어요.
Q:그래서 어떻게 하셨습니까??
A:다른 사립대 원서를 냈는데 안됐거든요. 그런데 이유가 여자는 아예 근처
오지도 말라는 거였어요.특히 법대 학생들이 여자 교수에게는 배우기 싫어한다 는 것이었어요.가슴이 쓰리더군요. 독일에서 박사받고 세 학기동안 여기저기 원서를 냈는데 다 그렇게 떨어졌어요. 당시 상황으로서는 한국에서는 여자가 법대 교수가 되기는 어렵겠구나 싶었습니다.
2.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정옥자 교수님
Q;서울대 교수는 언제 되신겁니까?
A:제가 시험을 보려고 하던 즈음에 저희과 학과장님이 굉장히 괴짜라고 소문
이 났었어요. 만약 교수님을 찾아가면, \"여자가 여길 왜왔어? 여자는 애만 잘
키우면 애국이야 애국!!\"하셔서 여학생은 오히려 상처만 받는다고 해서 시험만 보라는 조언을 했었지요. (중략)그래서 그 교수님이 한번 오라고 해서 갔더니 \"
어, 이제 나
  • 가격5,000
  • 페이지수86페이지
  • 등록일2015.02.18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66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