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1 조음과 공명
5.1.1 성도: 다양한 공명기와 음원
5.1.2 성도의 주요 부분
5.1.3 모음생성의 음향이론
5.1.4 이중모음 생성
5.1.5 자음생성
5.1.7 언어음 생성의 문맥적 효과
5.1.1 성도: 다양한 공명기와 음원
5.1.2 성도의 주요 부분
5.1.3 모음생성의 음향이론
5.1.4 이중모음 생성
5.1.5 자음생성
5.1.7 언어음 생성의 문맥적 효과
본문내용
있다. 예) /f/, /v/
-마찰음은 두 개의 조음자가 거의 접촉함으로써 형성된 좁힘점 사이로 지속적으로 공기의 흐름을 압축시킴으로써 생긴다. 영어에서는 좁힘은 순치, 설치, 치경, 경구개 등 제 곳이 조음위치에서 형성
무성순치마찰음/f/, 유성순치마찰음/v/: 아랫 입술을 위쪽 앞니의 아래쪽 끝으로 접근시켜 조음한다.
치경마찰음/s, z/: 혀의 중간부분을 낮추고 혀의 측면을 윗니의 중간 가장자리로 올리으로써 이루어진다. 삼차신경(제5뇌신경)과 혀의 상승(턱끝설근, 턱끝설골근)에 의해 자극된 턱을 닫는 근육이 활동적이다.
구개마찰음/, /: 협착은 후치경에서 좀더 뒤쪽에서 이루어지고, 혀의 중간선을 따라 나타나는 혀의 홈은 /s/와 /z/를 조음할 때보다 좀더 넓어진다. 또 입술이 다소 둥글고 앞으로 내밀어지기도 한다.
기식음 /h/: 성문에서 생기며, 후두 내에서 협착이 이루어지는 마찰음이다. 무성음이지만 “ahead\"와 같이 유성음사이에서는 유성음화된다. /h/를 조음할 때 필요한 움직임은 후두 내전근과 왼전근에 의해 조절되는 성대의 근접뿐다. 성도의 모양은 위따르는 모음에 따라 달라진다.
5. 비공명자음 II : 폐쇄음
-/p,t,k,b,d,g/ 폐쇄음은 성도의 완벽한 차단으로 인해 공기 흐름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차단(폐쇄 단계)
비강을 봉쇄하는 연구개인두문 폐쇄, 구강 안에서 혀와 입술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여기까지는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고 압력이 증가한다.
구강 차단이 해체되어 압력이 높아진 공기가 방출, 또는 연구개를 낮춤으로써 차단을 개방하는 비음개방
-폐쇄음은 폐쇄음이 개방될 때 차단에 의해 막혔던 공기의 방출에 의해 형성된 소음 파열이 있으나 지속적이지 못하고 일시적이다.
-조음시 근육의 움직임은 각 폐쇄음에 수반되는 연구개인두문을 닫기 위한 근육의 움직임을 제외하고는 한 조음위치에서 다른 조음위치로 변화하는 것이 분명하다.
-상부세로근(superior longitudinal muscle)은 구강 내에서의 폐쇄를 돕는다.
-조음의 위치는 가끔 환경에 좌우. 예) “keep\"에서 전설모음의 앞에 위치하는 /k/의 조음위치는 ”coop\"에서의 후설모음의 앞에 위치하는 /k/의 조음위치보다 더 앞쪽이다.
-성문폐쇄음/}:
영어에서 하나의 음소로서 분류되지 않는다. 모음의 시작부분에 사용되거나. 특정방언에서 /t/나 /d/의 변이음으로 통용된다. “bottle\"[ba], \"could\"[kt]
성문에서 성대를 바짝 붙임으로써 조음된다.
조음 중에 진동하지 않는 무성음
6. 비공명자음III: 파찰음
-[], []
-마찰개방을 갖는 폐쇄음이다.
-[t] 또는 [d]의 치경 폐쇄를 화자가 개방할 때, 혀는 구개의 후치경부로 수축되며 마찰음 []와 []를 만들기 위한 적절한 형태로 된다.
5.1.7 언어음 생성의 문맥적 효과
-문맥적 효과는 생성(production)의 모든 측면, 즉 근육활동, 조음동작, 그리고 음향신호에 영향을 준다.
-문맥적 효과의 기본적 형태인 동화와 동시조음은 영향을 받는 조음자의 수와 조음 동작의 타이밍을 기준으로 서로 구별된다.
1. 동화
-부분동화(partial assimilation)
예) eat the cake -> /t/가 /o/ 치경음이 치음으로 변화하는 점에서 음운적인 변화
-완전동화(complete assimilation)
예) ten cards -> 치경음/n/은 혀-연구개음(lingua-velar)/k/소리를 예측하여 연구개 위에 설배를 댐으로써 조음된다. /n/이 다른 음소인 혀-연구개비음(lingua-velar nasal)/ŋ/소리를 생산하여 완전동화가 된다.
-마찰음은 두 개의 조음자가 거의 접촉함으로써 형성된 좁힘점 사이로 지속적으로 공기의 흐름을 압축시킴으로써 생긴다. 영어에서는 좁힘은 순치, 설치, 치경, 경구개 등 제 곳이 조음위치에서 형성
무성순치마찰음/f/, 유성순치마찰음/v/: 아랫 입술을 위쪽 앞니의 아래쪽 끝으로 접근시켜 조음한다.
치경마찰음/s, z/: 혀의 중간부분을 낮추고 혀의 측면을 윗니의 중간 가장자리로 올리으로써 이루어진다. 삼차신경(제5뇌신경)과 혀의 상승(턱끝설근, 턱끝설골근)에 의해 자극된 턱을 닫는 근육이 활동적이다.
구개마찰음/, /: 협착은 후치경에서 좀더 뒤쪽에서 이루어지고, 혀의 중간선을 따라 나타나는 혀의 홈은 /s/와 /z/를 조음할 때보다 좀더 넓어진다. 또 입술이 다소 둥글고 앞으로 내밀어지기도 한다.
기식음 /h/: 성문에서 생기며, 후두 내에서 협착이 이루어지는 마찰음이다. 무성음이지만 “ahead\"와 같이 유성음사이에서는 유성음화된다. /h/를 조음할 때 필요한 움직임은 후두 내전근과 왼전근에 의해 조절되는 성대의 근접뿐다. 성도의 모양은 위따르는 모음에 따라 달라진다.
5. 비공명자음 II : 폐쇄음
-/p,t,k,b,d,g/ 폐쇄음은 성도의 완벽한 차단으로 인해 공기 흐름이 일시적으로 중단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차단(폐쇄 단계)
비강을 봉쇄하는 연구개인두문 폐쇄, 구강 안에서 혀와 입술에 의해 형성되는 폐쇄->여기까지는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고 압력이 증가한다.
구강 차단이 해체되어 압력이 높아진 공기가 방출, 또는 연구개를 낮춤으로써 차단을 개방하는 비음개방
-폐쇄음은 폐쇄음이 개방될 때 차단에 의해 막혔던 공기의 방출에 의해 형성된 소음 파열이 있으나 지속적이지 못하고 일시적이다.
-조음시 근육의 움직임은 각 폐쇄음에 수반되는 연구개인두문을 닫기 위한 근육의 움직임을 제외하고는 한 조음위치에서 다른 조음위치로 변화하는 것이 분명하다.
-상부세로근(superior longitudinal muscle)은 구강 내에서의 폐쇄를 돕는다.
-조음의 위치는 가끔 환경에 좌우. 예) “keep\"에서 전설모음의 앞에 위치하는 /k/의 조음위치는 ”coop\"에서의 후설모음의 앞에 위치하는 /k/의 조음위치보다 더 앞쪽이다.
-성문폐쇄음/}:
영어에서 하나의 음소로서 분류되지 않는다. 모음의 시작부분에 사용되거나. 특정방언에서 /t/나 /d/의 변이음으로 통용된다. “bottle\"[ba], \"could\"[kt]
성문에서 성대를 바짝 붙임으로써 조음된다.
조음 중에 진동하지 않는 무성음
6. 비공명자음III: 파찰음
-[], []
-마찰개방을 갖는 폐쇄음이다.
-[t] 또는 [d]의 치경 폐쇄를 화자가 개방할 때, 혀는 구개의 후치경부로 수축되며 마찰음 []와 []를 만들기 위한 적절한 형태로 된다.
5.1.7 언어음 생성의 문맥적 효과
-문맥적 효과는 생성(production)의 모든 측면, 즉 근육활동, 조음동작, 그리고 음향신호에 영향을 준다.
-문맥적 효과의 기본적 형태인 동화와 동시조음은 영향을 받는 조음자의 수와 조음 동작의 타이밍을 기준으로 서로 구별된다.
1. 동화
-부분동화(partial assimilation)
예) eat the cake -> /t/가 /o/ 치경음이 치음으로 변화하는 점에서 음운적인 변화
-완전동화(complete assimilation)
예) ten cards -> 치경음/n/은 혀-연구개음(lingua-velar)/k/소리를 예측하여 연구개 위에 설배를 댐으로써 조음된다. /n/이 다른 음소인 혀-연구개비음(lingua-velar nasal)/ŋ/소리를 생산하여 완전동화가 된다.
추천자료
국어에 나타나는 자음, 모음들의 음성, 음소의 예를 찾아보자.
목소리 파형 분석 및 음성신호 처리
가장 뜻밖의 장소에서 듣는 하나님의 음성 ‘영화 묵상
[졸업작품]MFC를 이용한 가상하우스 음성안내 시스템
우리 한글 발음 교육 (국어 음성)
[유아교육]유아기 음성언어 및 문자언어 교육을 위한 접근법
세포벽의 구성성분과 그람양성, 음성균의 세포벽 조성 차이
영아(만0~2세)의 음성언어 발달에 대해 언어이전시기와 언어기에 대해 설명하고, 이 시기에 ...
설계보고서 - MATLAB을 이용한 음성신호 분석 및 잡음제거
[사회복지] 정신건강론_정신분열병의 양성증상과 음성증상을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데이터통신 Data Communication - IPv4, IPv6, 음성신호 A/D변환
언어의 이해 - D형 인간언어의 음성 특성에 대해 설명하시오.
최신 디지털 기술 보고서 - 음성인식 (Speech Recognition)
영유아기 언어지도 개념 및 방법에 대해 음성언어(듣기, 말하기) 및 문자언어(읽기, 쓰기)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