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 인한 여파 크다는 걸 환경부도 인정한 것이다. 멀쩡하게 잘 흐르는 강물을 막아놓고 모든 것이 잘 된 것이라고 말하기에는 수질의 오염의 문제가 너무나 심각하다.
4대강의 문제 중 또 다른 심각한 문제로는 생태계가 위협당하고 있다. 즉, 생태계가 망가지고 있다. 4대강 사업을 위해서 ‘보’라는 것을 설치하게 되면 설치된 상류뿐만 아니라 하류의 생태계까지 완전히 바꾸어 놓는다. 보를 기준으로 상류는 유속이 느려지고 물이 고이게 된다. 모래, 암석의 퇴적작용이 활발히 일어나게 되면서 강의 하류가 퇴적물을 공급받지 못하게 되고 유속만 빨라져서 오히려 침식이 되어져 버린다. 강에는 퇴적작용으로 인해 쌓인 모래밭과 바닥에 침식된 흙이 있는데 이것이 강의 생명, 강의 자체 정화능력이라 볼 수 있다. 보의 설치로 인해 보의 상류는 모래밭이 물에 잠기게 되고 보의 하류는 모래밭, 퇴적토를 침식시킨다. 그러나 모래밭과 퇴적토를 굴삭기로 파내게 되고 제방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인해 인위적인 물결의 파동이 발생, 퇴적물의 침식을 가속화 시키게 된다. 이러한 4대강 사업을 통해 심각하게 훼손시키고 있다. 또한, 국립환경과학원이 조사한 결과 4대강 보 설치구간에 고인 물이 생기게
4대강의 문제 중 또 다른 심각한 문제로는 생태계가 위협당하고 있다. 즉, 생태계가 망가지고 있다. 4대강 사업을 위해서 ‘보’라는 것을 설치하게 되면 설치된 상류뿐만 아니라 하류의 생태계까지 완전히 바꾸어 놓는다. 보를 기준으로 상류는 유속이 느려지고 물이 고이게 된다. 모래, 암석의 퇴적작용이 활발히 일어나게 되면서 강의 하류가 퇴적물을 공급받지 못하게 되고 유속만 빨라져서 오히려 침식이 되어져 버린다. 강에는 퇴적작용으로 인해 쌓인 모래밭과 바닥에 침식된 흙이 있는데 이것이 강의 생명, 강의 자체 정화능력이라 볼 수 있다. 보의 설치로 인해 보의 상류는 모래밭이 물에 잠기게 되고 보의 하류는 모래밭, 퇴적토를 침식시킨다. 그러나 모래밭과 퇴적토를 굴삭기로 파내게 되고 제방과 콘크리트 구조물로 인해 인위적인 물결의 파동이 발생, 퇴적물의 침식을 가속화 시키게 된다. 이러한 4대강 사업을 통해 심각하게 훼손시키고 있다. 또한, 국립환경과학원이 조사한 결과 4대강 보 설치구간에 고인 물이 생기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