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 한문 중앙선 노선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용 한문 중앙선 노선도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노선도 만들기 (중앙선)

2. 노선도 한자로 변환하기

3. 노선도 각 역의 한자 음과 훈 적기

4. 각 역의 유래 및 정보 파악
1) 용산 [龍山驛, Yongsan Station ]
2) 이촌 [ 二村驛, Ichon Station ]
3) 서빙고 [ 西氷庫驛, Seobinggo Station ]
4) 한남 [ 漢南驛, Hannam Station ]
5) 옥수 [ 玉水驛, Oksu Station ]
6) 응봉 [ 鷹峰驛, Eungbong Station ]
7) 왕십리역 [往十里驛, Wangsimni Station]
8) 청량리역 [淸凉里驛, Cheongnyangni Station]
9) 회기역 [回基驛, Hoegi Station]
10) 중랑역 [中浪驛, Jungnang Station]
11) 망우역 [忘憂驛, Mangu Station]
12) 양원역 [養源驛, Yangwon Station]
13) 구리[九里, Guri Station]
14) 도농[陶農, Donong Station]
15) 양정[養正, Yangjeong Station]
16) 덕소[德沼, Deokso Station]
17) 도심[陶深, Dosim Station]
18) 팔당[八堂, Paldang Station]
19) 운길산 [ 雲吉山驛, Ungilsan Station ]
20) 양수역 [兩水驛, Yangsu Station]
21) 국수[菊秀, Guksu Station]

본문내용

참고자료 : 도농역(陶農驛)은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에 있는 한국철도공사 중앙선의 역이다. 2005년 12월,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 이전에는 암녹색 지붕과 벽돌외벽으로 이루어진 역사를 보유하며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했으나, 현재 무궁화호 취급은 덕소역으로 통합되어 무정차 통과하게 되었다. 현재의 신축 역사로는 2005년 12월 16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개통 당일에 이전하여 전철역 업무만 하게 되었다.
15) 양정[養正, Yangjeong Station]
①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이패동 387번지
②면적 : 3975.0m
③인구 : 726명 (2008)
④문화재 : 없음
⑤지명유래 : 양정양씨가 처음 와서 살던 곳이어서 양정이라 하며 또는 조선 중엽 전주최씨의 양정재(養正齋)라는 묘막이 있어 그 후부터 "양정"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전해지기도 한다
⑥도시공학 참고자료 : 양정역(養正驛)은 대한민국 경기도 남양주시의 한국철도공사 중앙선에 있는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역이다. 수도권 전철 중앙선 개통 시에 도농역과 덕소역의 긴 역간거리로 인해 신설되었다. 무궁화호는 정차하지 않고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전동차만 정차한다.
16) 덕소[德沼, Deokso Station]
①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덕소리 산 21번지
②면적 : 1950.7m
③인구 : 5825명 (2008)
④문화재 : 없음
⑤지명유래 : 역이 위치한 지명을 토대로 지은 이름
⑥도시공학 참고자료 : 덕소역(德沼驛)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 중앙선의 역이다. 일부 무궁화호 열차와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전동차가 정차한다. 인근에 서울춘천고속도로 덕소삼패 나들목이 있다.
17) 도심[陶深, Dosim Station]
①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도곡리 1024-2번지
②면적 : 4010.7m
③인구 : 1717명 (2008)
④문화재 : 없음
⑤지명유래 : 덕소 - 팔당간 복선 전철 연장 때 이 역의 소재지를 따라 도곡리역(陶谷里驛)으로 개통하려 하였으나, 3호선과 분당선의 교차·환승역인 도곡역과 비슷하여, 역 인근의 ‘도심’이라는 지명을 따서 도심역(陶深驛) 명명하였다.
⑥도시공학 참고자료 : 도심역(陶深驛)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에 있는 중앙선의 역이다. 덕소-팔당간 복선 전철화 개통시 긴 역간거리로 인해 금대산으로 가로막혀 상대적으로 덕소역 이용이 불편한 도곡리 지역을 위해 신설되었다. 수도권 전철 전용역으로 무궁화호는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며, 급행열차가 정차한다.
18) 팔당[八堂, Paldang Station]
①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 팔당리 342번지
②면적 : 4295.8m
③인구 : 1331명 (2008)
④문화재 : 없음
⑤지명유래 : 고대전설에 의하면 원시시대에 수목이 울창하고 인가는 전무하다 할 시대에 윗마을에는 인가 八戶가 있고, 아래 마을에 인가 八戶가 있어 이를 지칭하여 팔당(八堂)이라고 한데서 비롯되었다
⑥도시공학 참고자료 : 팔당역(八堂驛)은 경기도 남양주시 와부읍에 있는 중앙선의 역이다. 수도권 전철 중앙선 전동차를 제외한 무궁화호와 같은 일반 열차는 모두 무정차 통과한다. 역이 경기도 하남시와 가까운 편이라, 종종 남양주뿐만 아니라 팔당대교를 통해 하남시 시민들의 수도권 전철 이용 수단으로도 이용된다. 현재의 역사는 신축된 역사로, 팔당역의 옛 역사는 보존되어 화물역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드물게 승강장에 역사가 설치된 점, 일제 강점기 후반부의 철도 역사 건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 점 등이 인정되어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중앙선 복선 전철화 작업으로 인해 이 역 이후로 예봉산을 관통하는 터널이 연결되어 가로지르도록 신선이 구축되었다.
19) 운길산 [ 雲吉山驛, Ungilsan Station ]
① 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진중리 221-1
② 면적 : 72,000 m
③ 인구 :
④ 문화재 : 수종사
⑤ 지명 유래 : 중앙선 복선 전철화에 따른 선로 이설로 인해, 폐역된 기존 능내역을
대신하여 신설된 역으로 무궁화호는 무정차 통과한다.
역명은 인근 운길산의 이름을 따 제정되었다
⑥ 연계노선 :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전철역
⑦ 도시공학 참고자료 : 운길산역(雲吉山驛)은경기도남양주시의중앙선상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전철역이다.중앙선복선 전철화에 따른 선로 이설로
인해, 폐역된 기존 능내역을 대신하여 신설된 역으로 무궁화호는
무정차 통과한다. 역명은 인근 운길산의 이름을 따 제정되었다.
이 역은 양평 방면으로 양수철교 앞에 건설된 역으로, 기존의
능내역과는 약 3.5km 떨어져 있다. 팔당 방면으로는 약 4.5km의
터널로가로지르게돼있어기존과는판이하게다른위치로이설되었다.
20) 양수역 [兩水驛, Yangsu Station]
① 위치 :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
② 면적 : 1.13km
③ 인구 : 9962명
④ 문화재 : 이준경선생묘소
⑤ 지명 유래 : 양수라는 역명은 북한강과 남한강, 두 개의 물줄기가 만난다 하여 생긴 동네이름인 ‘두물머리’를 한자어로 바꾼 것이다.
⑥ 연계노선 : 운길산역과 신원역 사이에 있다.
⑦ 도시공학 참고자료 : 1939년 4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 2008년 12월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개통되면서 현재의 역사로 이전하였다. 중앙선 급행열차의 기점이 되는 곳이다.
21) 국수[菊秀, Guksu Station]
①위치 :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국수리 258-2번지
②면적 : -
③인구 : 2893명 (2008)
④문화재 : 보은정사
⑤지명유래 : 역이 위치한 지명을 토대로 지은 이름
⑥도시공학 참고자료 : 국수역(菊秀驛)은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국수리에 위치한 중앙선의 철도역이다. 2008년 12월 29일부터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팔당 - 국수 구간 연장 개통과 함께 무궁화호는 모두 무정차 통과하고, 수도권 전철만 정차한다. 현재는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시·종착역 기능을 수행하고 있지만, 2009년 12월 광역 전철이 용문역까지 연장되면 중간 정차역이 된다. 역 규모가 큰 편이라 구내에 화물 열차 유치가 가능하며, 한때는 전동차를 주박시킨 적도 있었다.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2.25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75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