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글로벌전략의 개념
(2) 맥도날드 선정배경
Ⅱ. 본론
(1) 맥도날드의 기업역사
(2) 맥도날드 경영이념
(3) 맥도날드의 글로벌전략 분석
① 표준화전략
➁ 현지화전략
(4) 맥도날드 글로벌 전략사례연구
Ⅲ. 결론 및 나의의견
(1) 글로벌전략의 개념
(2) 맥도날드 선정배경
Ⅱ. 본론
(1) 맥도날드의 기업역사
(2) 맥도날드 경영이념
(3) 맥도날드의 글로벌전략 분석
① 표준화전략
➁ 현지화전략
(4) 맥도날드 글로벌 전략사례연구
Ⅲ. 결론 및 나의의견
본문내용
리’(McCurry)를 개발했다. 그 나라에서 많이 나는 식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특징이다. 노르웨이의 ‘연어버거’(McLaks), 캐나다의 ‘맥랍스터’(McLobster) 등이 대표적이다. 칠면조를 넣은 이스라엘의 ‘맥샤와라’(McShawara) 등도 그 나라에서만 맛볼 수 있는 특화 메뉴다. 독일에서는 음료수로 맥주가 제공되고, 한국에서는 오곡셰이크를 팔고 있다.
맥도날드는 세계 각국의 문화와 식성에 맞춘 현지화 전략이 효과를 발휘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표적인 전략은 위에서 말한 현지인의 입맛에 맞춘 메뉴 개발이지만 이뿐만이 아니다.
맥도날드는 지역시민 프랜차이즈 계약을 통한 성공적인 현지 적응을 꾀하고 있다. 맥도날드의 진출은 그 나라 문화의 일부인 음식을 바꾸는 것을 뜻한다. 그것은 그 지방의 반발을 사기가 쉽다. 그래서 맥도날드는 반드시 그 고장의 사람을 고용하는 것을 잊지 않는다.
즉, 맥도날드는 현지의 기업가를 동반자로 함으로써 거대한 다국적기업이 세계시장의 정복을 노린다는 나쁜 인상을 주지 않고 각 국에서 영업하고 있다.
(4) 맥도날드 글로벌 전략사례연구
맥도날드사에서 시행했던 글로벌 전략은 무수히 많지만 인도에서 사용했던 전략을 예로 들면 표준화와 현지화 전략을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인도에서 맥도날드가 사업을 시작한 것은 1996년이었다. 인도는 12억 4000만의 인구에 중산층만도 약 2억 명에 이른다. 하지만 맥도날드가 인도에 진출하면서 문화적 차이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인도의 힌두문화는 수천 년 동안 암소를 숭배해오고 있다. 힌두교에서는 암소는 성스러운 어머니의 상징이었다. 암소는 농사를 짓는 쟁기를 끄는 수소를 낳고, 요구르트와 버터의 원료가 된다. 또한 암소의 오줌은 전통적인 힌두 의술에서 중요하게 쓰이며, 분변은 연로로 사용된다. 인도에는 약 3억마리의 암소가 있다. 인도 인구의 약 80%를 차지하는 힌두교도는 소고기를 먹지 않는다.
소를 숭배함 소고기를 먹지 않는 힌두교도가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나라에, 세계 최대의 소고기 소비 기업인 맥도날드가 진출한 것이다. 1955년 설립 이래 맥도날드로 인해 희생된 소는 수도 없다. 소고기로 성공한 기업이 소고기를 먹는 것이 큰 죄가 되는 나라에 진출하는 것이 가능한가. 더구나 돼지고기를 사용하려 해도 인도에는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 이슬람교도가 약 1억 4000만명이나 된다. 결국 맥도날드는 닭고기와 양고기를 사용한 인도판 ‘빅맥’을 만들었고 힌두교도에 채식주의자가 많은 점을 고려하여 채식주의자 식사와 비채식주의자 식사를 엄격히 구분하였다. 메뉴의 75%가 인도용으로 새로이 만들어졌다.
이런 노력에 불구하고, 맥도날드는 2001년 불의의 일을 당하게 되었다. 시애틀에 사는 3명의 인도인 기업인이 맥도날드를 상대로 집단 소송을 제기한 것이다. 이들은 “맥도날드가 프렌치프라이에 소고기를 사용하고 잇다는 것을 고의로 은폐하고 있다.”고 제소하였다. 맥도날든 100% 식물성기름을 사용하여 프렌치프라이를 조리하고 있다고 하였지만, 결국 기름 중에 미량의 소고기 엑기스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한 맥도날드는 1000만 달러로 화해하고 다음과 같은 사과문을 발표하였다. “맥도날드는 미국 내 점포에서 고객이 충분히 이해하고 음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하는 것을 태만히 하였음을 힌두교도와 채식주의자를 포함한 고객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사과합니다.”
또한 맥도날드는 음식의 성분표시를 개선함과 동시에 조리 기름에 포함되었던 소고기 엑기스를 대체할 것을 약속하였다. 그런데, 이에 그치지 않고 인도에서 힌두교도 민족주의자들이 델리 시가에서 맥도날드 점포를 습격하고 시위를 하였다. 그리고 인도 수상에게 맥도날드 점포의 폐쇄를 요구했다.
이에 굴하지 않고 맥도날드는 2012년에 무모할 정도로 종교 성지 옆에 순례자들을 위한 맥도날드 매장을 또다시 만들었다. 성지를 순례하는 사람들이니 만큼 신앙심이 클 것이며 당연히 고기는 먹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이 맥도날드 매장은 살아남았다. 왜냐하면 채식 전용 맥도날드였기 때문이다. 여기에 들어가는 패티는 고기가 아닌 당근, 감자, 완두콩으로 만든 ‘맥베지’를 넣었다. 이 매장은 미국의 표준화된 매장처럼 영업하지 않았다. 철저히 인도의 문화를 이해한 제품을 내놓은 것이다. 즉, 맥도날드는 이전에 인도에서의 현지화에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자사의 잘못을 인정하고 수정하여 성공적으로 인도에서 맥도날드가 자리 잡을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맥도날드는 철저한 현지화 전략에 성공한 것이다.
Ⅲ. 결론 및 나의의견
세계 최대의 패스트푸드 공룡 프랜차이즈 맥도날드는 2014년 3분기 순이익이 30%나 급감하는 등 수년 동안 최악 수준의 분기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거의 모든 주요 사업 부문이 문제를 안고 있다는 지적을 외부로부터 받으며, 세계 최대 레스토랑 체인 맥도날드는 아시아와 유럽, 무엇보다 홈그라운드인 미국에서 매출이 감소해 고전하고 있다. 맥도날드는 바쁜 시간대에 직원을 충원하는 등 매장서비스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2년도 안돼서 미국 사업부 대표를 두 차례나 교체하는 등 경영진 개각도 단행했지만, 매출이나 이익을 끌어올리는데는 역부족이었다.
그 이유는 갈수록 복잡해지는 메뉴 때문에 서비스가 더뎌지고, 든든한 지지기반이었던 젊은 층이 맞춤화 주문과 신선한 재료를 내세운 치폴레와 파이브 가이스 같은 패스트캐주얼 체인으로 이동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사실, 맥도날드는 글로벌 경기침체라는 어두운 터널 속에서도 고속질주를 거듭했다. 하지만 이제 글로벌 경기침체보다 더 큰 장애물이 생겼고 그것은 소비자 구매패턴의 변화와 디지털 시장의 급속한 발전이라는 것이다. 즉, 완전히 다른 차원의 문제가 직면한 것이다.
결국, 돈 톰슨 맥도날드 최고경영자(CEO)는 2015년 1월부터 인기제품 중심으로 메뉴를 간소화하고 미국 내 21개 지역 지부에 제품 출시와 관련한 더 많은 자율권을 부여할 계획이라고 밝혔고, 2015년 3분기에는 일부 시장에서 맞춤화 주문 및 모바일 결제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맥도날드는 최근 론칭한 고객질문응답 소셜 미디어 캠페인과 일부 시장에서
맥도날드는 세계 각국의 문화와 식성에 맞춘 현지화 전략이 효과를 발휘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대표적인 전략은 위에서 말한 현지인의 입맛에 맞춘 메뉴 개발이지만 이뿐만이 아니다.
맥도날드는 지역시민 프랜차이즈 계약을 통한 성공적인 현지 적응을 꾀하고 있다. 맥도날드의 진출은 그 나라 문화의 일부인 음식을 바꾸는 것을 뜻한다. 그것은 그 지방의 반발을 사기가 쉽다. 그래서 맥도날드는 반드시 그 고장의 사람을 고용하는 것을 잊지 않는다.
즉, 맥도날드는 현지의 기업가를 동반자로 함으로써 거대한 다국적기업이 세계시장의 정복을 노린다는 나쁜 인상을 주지 않고 각 국에서 영업하고 있다.
(4) 맥도날드 글로벌 전략사례연구
맥도날드사에서 시행했던 글로벌 전략은 무수히 많지만 인도에서 사용했던 전략을 예로 들면 표준화와 현지화 전략을 가장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인도에서 맥도날드가 사업을 시작한 것은 1996년이었다. 인도는 12억 4000만의 인구에 중산층만도 약 2억 명에 이른다. 하지만 맥도날드가 인도에 진출하면서 문화적 차이로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인도의 힌두문화는 수천 년 동안 암소를 숭배해오고 있다. 힌두교에서는 암소는 성스러운 어머니의 상징이었다. 암소는 농사를 짓는 쟁기를 끄는 수소를 낳고, 요구르트와 버터의 원료가 된다. 또한 암소의 오줌은 전통적인 힌두 의술에서 중요하게 쓰이며, 분변은 연로로 사용된다. 인도에는 약 3억마리의 암소가 있다. 인도 인구의 약 80%를 차지하는 힌두교도는 소고기를 먹지 않는다.
소를 숭배함 소고기를 먹지 않는 힌두교도가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나라에, 세계 최대의 소고기 소비 기업인 맥도날드가 진출한 것이다. 1955년 설립 이래 맥도날드로 인해 희생된 소는 수도 없다. 소고기로 성공한 기업이 소고기를 먹는 것이 큰 죄가 되는 나라에 진출하는 것이 가능한가. 더구나 돼지고기를 사용하려 해도 인도에는 돼지고기를 먹지 않는 이슬람교도가 약 1억 4000만명이나 된다. 결국 맥도날드는 닭고기와 양고기를 사용한 인도판 ‘빅맥’을 만들었고 힌두교도에 채식주의자가 많은 점을 고려하여 채식주의자 식사와 비채식주의자 식사를 엄격히 구분하였다. 메뉴의 75%가 인도용으로 새로이 만들어졌다.
이런 노력에 불구하고, 맥도날드는 2001년 불의의 일을 당하게 되었다. 시애틀에 사는 3명의 인도인 기업인이 맥도날드를 상대로 집단 소송을 제기한 것이다. 이들은 “맥도날드가 프렌치프라이에 소고기를 사용하고 잇다는 것을 고의로 은폐하고 있다.”고 제소하였다. 맥도날든 100% 식물성기름을 사용하여 프렌치프라이를 조리하고 있다고 하였지만, 결국 기름 중에 미량의 소고기 엑기스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한 맥도날드는 1000만 달러로 화해하고 다음과 같은 사과문을 발표하였다. “맥도날드는 미국 내 점포에서 고객이 충분히 이해하고 음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하는 것을 태만히 하였음을 힌두교도와 채식주의자를 포함한 고객 여러분에게 진심으로 사과합니다.”
또한 맥도날드는 음식의 성분표시를 개선함과 동시에 조리 기름에 포함되었던 소고기 엑기스를 대체할 것을 약속하였다. 그런데, 이에 그치지 않고 인도에서 힌두교도 민족주의자들이 델리 시가에서 맥도날드 점포를 습격하고 시위를 하였다. 그리고 인도 수상에게 맥도날드 점포의 폐쇄를 요구했다.
이에 굴하지 않고 맥도날드는 2012년에 무모할 정도로 종교 성지 옆에 순례자들을 위한 맥도날드 매장을 또다시 만들었다. 성지를 순례하는 사람들이니 만큼 신앙심이 클 것이며 당연히 고기는 먹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이 맥도날드 매장은 살아남았다. 왜냐하면 채식 전용 맥도날드였기 때문이다. 여기에 들어가는 패티는 고기가 아닌 당근, 감자, 완두콩으로 만든 ‘맥베지’를 넣었다. 이 매장은 미국의 표준화된 매장처럼 영업하지 않았다. 철저히 인도의 문화를 이해한 제품을 내놓은 것이다. 즉, 맥도날드는 이전에 인도에서의 현지화에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자사의 잘못을 인정하고 수정하여 성공적으로 인도에서 맥도날드가 자리 잡을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맥도날드는 철저한 현지화 전략에 성공한 것이다.
Ⅲ. 결론 및 나의의견
세계 최대의 패스트푸드 공룡 프랜차이즈 맥도날드는 2014년 3분기 순이익이 30%나 급감하는 등 수년 동안 최악 수준의 분기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거의 모든 주요 사업 부문이 문제를 안고 있다는 지적을 외부로부터 받으며, 세계 최대 레스토랑 체인 맥도날드는 아시아와 유럽, 무엇보다 홈그라운드인 미국에서 매출이 감소해 고전하고 있다. 맥도날드는 바쁜 시간대에 직원을 충원하는 등 매장서비스 개선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2년도 안돼서 미국 사업부 대표를 두 차례나 교체하는 등 경영진 개각도 단행했지만, 매출이나 이익을 끌어올리는데는 역부족이었다.
그 이유는 갈수록 복잡해지는 메뉴 때문에 서비스가 더뎌지고, 든든한 지지기반이었던 젊은 층이 맞춤화 주문과 신선한 재료를 내세운 치폴레와 파이브 가이스 같은 패스트캐주얼 체인으로 이동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사실, 맥도날드는 글로벌 경기침체라는 어두운 터널 속에서도 고속질주를 거듭했다. 하지만 이제 글로벌 경기침체보다 더 큰 장애물이 생겼고 그것은 소비자 구매패턴의 변화와 디지털 시장의 급속한 발전이라는 것이다. 즉, 완전히 다른 차원의 문제가 직면한 것이다.
결국, 돈 톰슨 맥도날드 최고경영자(CEO)는 2015년 1월부터 인기제품 중심으로 메뉴를 간소화하고 미국 내 21개 지역 지부에 제품 출시와 관련한 더 많은 자율권을 부여할 계획이라고 밝혔고, 2015년 3분기에는 일부 시장에서 맞춤화 주문 및 모바일 결제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맥도날드는 최근 론칭한 고객질문응답 소셜 미디어 캠페인과 일부 시장에서
추천자료
패스트푸드업체의 이벤트전략
패스트푸드 롯데리아 맥도날드
치명적 유혹 패스트푸드와의 전쟁
패스트푸드 시식후 소감문
[외식산업][외식업][음식업][외식][음식]외식산업(외식업)에 관한 고찰(외식산업(외식업)의 ...
[웰빙][웰빙산업][웰빙음식][웰빙식품][웰빙바람][웰빙붐]웰빙의 등장배경, 웰빙의 의미, 웰...
현대사회와 사회심리 <<일반음식점과 패스트푸드 음식점의 차이>>
[A+] 청소년 영양관리 비만관리법 청소년기 식습관 실태와 문제점 영양왜곡현상 청소년 1일영...
판촉전략분석,패밀리레스토랑과 패스트푸드점의 판매촉진전략분석,패밀리레스토랑분석,패스트...
특정 영양소 및 식품(염분, 단 음식, 우유, 지방, 패스트푸드 등)의 과잉섭취에 대해 그 원인...
[경영학]패스트푸드 In-N-Out(인앤아웃버거) 경영전략
[A+] Bibigo 경영전략 분석 - CJ푸드빌, 비비고마케팅, 현재 해외 패스트푸드 시장 트렌드분...
국내 도넛 시장,브랜드 이미지, 제품 포지셔닝,경쟁사 도넛전문점,베이커리,카페,패스트푸드,...
[독서 감상문] 패스트푸드의제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