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기
2. 인터넷 언어와 실태
1) 인터넷상에서의 글쓰기 유형과 실태
(1) 발음이 되는 방법대로 쓰는 글쓰기
(2) 감정과 말의 축약 - 기호문자
(3) 이상한 언어- 기존의 언어 바꾸어 쓰기 그리고 한자 등을 섞어 쓰기
2) 인터넷상에서의 글쓰기의 장점과 단점
(1) 인터넷상에서의 글쓰기의 장점
(2) 인터넷상에서의 글쓰기의 단점
3) 인터넷상에서의 글쓰기의 개선과 대책
3. 다시 생각하기
*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2. 인터넷 언어와 실태
1) 인터넷상에서의 글쓰기 유형과 실태
(1) 발음이 되는 방법대로 쓰는 글쓰기
(2) 감정과 말의 축약 - 기호문자
(3) 이상한 언어- 기존의 언어 바꾸어 쓰기 그리고 한자 등을 섞어 쓰기
2) 인터넷상에서의 글쓰기의 장점과 단점
(1) 인터넷상에서의 글쓰기의 장점
(2) 인터넷상에서의 글쓰기의 단점
3) 인터넷상에서의 글쓰기의 개선과 대책
3. 다시 생각하기
*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아닌 듯~~~~~~~~)
-> 이런 말 쓴 것을 알게되면 저 죽습니다.
오늘두 두개의 정팅 중 하나는 손쉽게 끝냈음니다...
-> 오늘도 두 개의 정기 채팅 중 하나는 손쉽게 끝냈습니다
결론은 30만원을 주자는...
낼 찾아야 합니다...
-> 내일 찾아야 합니다
글구 이체를.............
-> 그리고 이체를....
아~~~~~~~~~~
머리 아픕니다............. 거럼 저 쪽 까페에두 글 남기러 갑니다~~~~~~
-> 머리 아픕니다. ...그럼 저 쪽 까페에도 글을 남기러 갑니다. http://cafe31.daum.net/_c21_/bbs_sread?grpid=71B0&fldid=192c&jobcode=2
통신에 올라 지난여름 영화화까지 된 소설을 또 하나의 예로 들면,
참..기쁜 소식..이제 저두 그녀한테 말을 놓씸니다.....그날 밤...
-> 참 기쁜 소식..이제 저도 그녀에게 말을 놓습니다... 그날 밤
그녀가 76년 생인걸 확인한 저는...그녀가 눈뜨자마자 터푸하게...
-> 그녀가 76년 생인 것을 확인한 저는.. 그녀가 눈뜨자마자 터프하게
그녀에게 말해씸니다......
-> 그녀에게 말했습니다....
견우 : 야 너 내가 며쌀쯤 대보이냐..세요.? (젠장 이말함서도 떨어씀다)
-> 견우 : 야 너 내가 몇 살쯤 되어 보이냐..세요? (젠장 이말 하면서도 떨었습니다)
그녀 : 너? 글쎄....왜 그게 모가 중요한데?
견우 : 너 76년 생 이자나! 내가 오빠야 오빠!! 두글래 증말! 확끄냥!
-> 견우 : 너 76년 생이 자나! 내가 오빠야 오빠!! 죽을래 정말! 확 그냥!
(이라고 말해쓰면 얼마나 조아께씀니까..전 일케 말해씸다.)
->(이라고 말했으면 얼마나 좋았겠습니까.. 전 이렇게 말했습니다.)
\" 저기 76년 생이신 것 같은데..제가 오빠인데요...말을..쫌.......\"
그녀 : 아 그러냐?..너 며짤인데?...야..너두 그럼 말 놔라....
-> 그녀: 아 그러냐?..너 몇 살인데?..야 너도 그럼 말 놔라... 김호식 ,「엽기적인 그녀 - 전반전」, 시와 사회, 2001
이렇게 말을 발음 나는 데로 쓰거나 축약하여 쓰는 유형은 말의 의미를 보다 쉽게 전하거나 의견을 전달하는데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반면에 말의 형태가 문법에 맞지 않아 정확한 언어를 구사할 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
(2) 감정과 말의 축약 - 기호문자
인터넷에 쓰여져 있는 글을 보면 글 중간에 말도 아닌 특수 기호로 쓰여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것은 언어라기보다는 하나의 그림인데 이것을 흔히 “이모티콘”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이것은 말과 함께 뜻을 포함하고 있기도 한다.
“휙휙~(-- )( --)(-- )( --)” 이 표시는 무언가를 부정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가능할까????????? --a\" 이것은 의문을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 외에도 이모티콘을 표로 나타내어 보면,
승리의 V
(^-^)v (^-^)V
만 세
\\(^-^)/
하 이~(인사)
(^-^)/ (^^)(__)(^^)
응(대답)
()(. .)()
잠자는 것
(--)zzz
우는 얼굴
T^T ㅠ.ㅠ
실 수
^^;;;
웃는 얼굴
(^_^)
놀란 얼굴
*_* @,@
딴 청
(-.- )( -.-)
눈 치
(-.-+)(+-.-)
어이없음
-.-).........
윙 크
^. ~
죄 송
-_-;
http://cafe31.daum.net/_c21_/pds_down_hdn/N세대_%20그들은%20누구인가.htm?grpid=71B0&fldid=1a6B&dataid=8&grpcode=witchmagic&userid=AmZJ&realfile=
http://cafe31.daum.net/_c21_/bbs_sread?grpid=71B0&fldid=192c&jobcode=2
이 외에도 많은 이모티콘이 존재한다.
이런 이모티콘은 간단한 의미로 많이 이용된다.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것을 이것으로 표현하여 간단하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한다.
(3) 이상한 언어- 기존의 언어 바꾸어 쓰기 그리고 한자 등을 섞어 쓰기.
인터넷의 언어 표현은 발음대로 쓰거나 기호문자를 이용하여 글을 쓰는 것보다 더 언어를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이 점점 인터넷상에서 드러나고 있다. 다시 말해 글을 쓰는 것을 일반 표준어가 아닌 이 언어를 변형하여 사용한다는 것이다.
- \'집\'을 \'뒵\'으로
- \'친구\'를 \'튄구\'로,
- \'우리\'를 \'을히\'로,
- \'잘 모르지\'를 \'
-> 이런 말 쓴 것을 알게되면 저 죽습니다.
오늘두 두개의 정팅 중 하나는 손쉽게 끝냈음니다...
-> 오늘도 두 개의 정기 채팅 중 하나는 손쉽게 끝냈습니다
결론은 30만원을 주자는...
낼 찾아야 합니다...
-> 내일 찾아야 합니다
글구 이체를.............
-> 그리고 이체를....
아~~~~~~~~~~
머리 아픕니다............. 거럼 저 쪽 까페에두 글 남기러 갑니다~~~~~~
-> 머리 아픕니다. ...그럼 저 쪽 까페에도 글을 남기러 갑니다. http://cafe31.daum.net/_c21_/bbs_sread?grpid=71B0&fldid=192c&jobcode=2
통신에 올라 지난여름 영화화까지 된 소설을 또 하나의 예로 들면,
참..기쁜 소식..이제 저두 그녀한테 말을 놓씸니다.....그날 밤...
-> 참 기쁜 소식..이제 저도 그녀에게 말을 놓습니다... 그날 밤
그녀가 76년 생인걸 확인한 저는...그녀가 눈뜨자마자 터푸하게...
-> 그녀가 76년 생인 것을 확인한 저는.. 그녀가 눈뜨자마자 터프하게
그녀에게 말해씸니다......
-> 그녀에게 말했습니다....
견우 : 야 너 내가 며쌀쯤 대보이냐..세요.? (젠장 이말함서도 떨어씀다)
-> 견우 : 야 너 내가 몇 살쯤 되어 보이냐..세요? (젠장 이말 하면서도 떨었습니다)
그녀 : 너? 글쎄....왜 그게 모가 중요한데?
견우 : 너 76년 생 이자나! 내가 오빠야 오빠!! 두글래 증말! 확끄냥!
-> 견우 : 너 76년 생이 자나! 내가 오빠야 오빠!! 죽을래 정말! 확 그냥!
(이라고 말해쓰면 얼마나 조아께씀니까..전 일케 말해씸다.)
->(이라고 말했으면 얼마나 좋았겠습니까.. 전 이렇게 말했습니다.)
\" 저기 76년 생이신 것 같은데..제가 오빠인데요...말을..쫌.......\"
그녀 : 아 그러냐?..너 며짤인데?...야..너두 그럼 말 놔라....
-> 그녀: 아 그러냐?..너 몇 살인데?..야 너도 그럼 말 놔라... 김호식 ,「엽기적인 그녀 - 전반전」, 시와 사회, 2001
이렇게 말을 발음 나는 데로 쓰거나 축약하여 쓰는 유형은 말의 의미를 보다 쉽게 전하거나 의견을 전달하는데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반면에 말의 형태가 문법에 맞지 않아 정확한 언어를 구사할 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
(2) 감정과 말의 축약 - 기호문자
인터넷에 쓰여져 있는 글을 보면 글 중간에 말도 아닌 특수 기호로 쓰여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것은 언어라기보다는 하나의 그림인데 이것을 흔히 “이모티콘”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이것은 말과 함께 뜻을 포함하고 있기도 한다.
“휙휙~(-- )( --)(-- )( --)” 이 표시는 무언가를 부정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가능할까????????? --a\" 이것은 의문을 표시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 외에도 이모티콘을 표로 나타내어 보면,
승리의 V
(^-^)v (^-^)V
만 세
\\(^-^)/
하 이~(인사)
(^-^)/ (^^)(__)(^^)
응(대답)
()(. .)()
잠자는 것
(--)zzz
우는 얼굴
T^T ㅠ.ㅠ
실 수
^^;;;
웃는 얼굴
(^_^)
놀란 얼굴
*_* @,@
딴 청
(-.- )( -.-)
눈 치
(-.-+)(+-.-)
어이없음
-.-).........
윙 크
^. ~
죄 송
-_-;
http://cafe31.daum.net/_c21_/pds_down_hdn/N세대_%20그들은%20누구인가.htm?grpid=71B0&fldid=1a6B&dataid=8&grpcode=witchmagic&userid=AmZJ&realfile=
http://cafe31.daum.net/_c21_/bbs_sread?grpid=71B0&fldid=192c&jobcode=2
이 외에도 많은 이모티콘이 존재한다.
이런 이모티콘은 간단한 의미로 많이 이용된다.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는 것을 이것으로 표현하여 간단하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한다.
(3) 이상한 언어- 기존의 언어 바꾸어 쓰기 그리고 한자 등을 섞어 쓰기.
인터넷의 언어 표현은 발음대로 쓰거나 기호문자를 이용하여 글을 쓰는 것보다 더 언어를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이 점점 인터넷상에서 드러나고 있다. 다시 말해 글을 쓰는 것을 일반 표준어가 아닌 이 언어를 변형하여 사용한다는 것이다.
- \'집\'을 \'뒵\'으로
- \'친구\'를 \'튄구\'로,
- \'우리\'를 \'을히\'로,
- \'잘 모르지\'를 \'
추천자료
인터넷 중독의 정의
인터넷 소설의 정의와 영향
인터넷 신문 ‘프레시안(www.pressian.com)'과 조선닷컴(www.chosun.com)에 대한 연구
인터넷 음란물 규제 찬/반론 - 내용 등급제
인터넷 실명제 - 의의와 찬반논쟁
인터넷 실명제에 대한 이해와 찬반양론 분석 및 필요성
인터넷서비스를 통한 토지거래 컨설팅의 비즈니스 모델과 구체화 방안
인터넷 악성 댓글의 종류와 형성원인
인터넷 실명제 -건전한 사이버문화의 첫걸음.
인터넷(사이버) 문화의 특징과 문제점
인터넷 상의 유행어 및 신조어의 분석과 표준어와의 비교를 통해 본 그 의미
인터넷과 컴퓨터가 유아의 놀이와 문화에 미치는 영향과 예방교육방안
인터넷 소설 [개념 기존 소설 차이점 특징 이모티콘 은어 사용 비전문성 부정적인 영향 긍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