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문화의 시스템론적 해석]“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중국 문화의 시스템론적 해석]“중국 전통과학은 왜 근대과학으로 발전하지 못하였는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문제의 제기

2. 통계표의 의미

3. 근대 과학기술의 순환가속기제

4. 근대 과학기술구조

5. 중국 전통 과학기술의 특징

6. 원시과학구조와 그 사회화

7. 사회화의 지름길 : 패러다임 기능

8. 패러다임 기능의 한계 : 원시과학구조 사회화의 장애

9. 문명 내에서의 과학의 확산 : 스콜라철학과 대통일 기술의 영향

10. 부정성의 확대 : 과학사회화의 특수 기제

11. 상호보완 함정

12. 위대한 실험과 사회화의 장애

13. 결론

본문내용

대만이 아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지적소유물은 귀족층에만 편중되어 사회로 환원되는 것이 아니라 계급을 가진 사람들 속에서만 대물림 된다는 것이다. 지력은 곧 힘이다. 권력계층은 지력이라는 막대한 권력을 절대로 나누지 않았다. 백성의 무지, 곧 무력은 봉건제를 유지시켜준다. 그렇게 지식을 통제시키는 사회 안에서는 어떠한 학문도 한계에 다다르고 만다. 후한 중기 이후 절대적 지위를 차지하고 있던 유학 또한 300년이 지난 후에 쇠퇴 경향을 띤 것이 좋은 예가 될 것이다. 그러나 유학은 쇠퇴했지만 그 영향은 깊어서 사회질서를 조금이라도 혼란시키는 것에는 굉장한 반감을 갖도록 하였고 그것이 곧 중국과 한국의 쇄국정책으로 이어졌던 것이라고 생각한다.
일본에는 \"세 사람이 모이면 문수보살의 지혜가 나온다.” 라는 속담이 있다. 어리석은 사람들끼리라도 머리를 합하면 좋은 지혜가 나온다는 뜻이다. 고작 세 사람이 모여도 문수보살의 지혜가 나온다고 하는데, 중국의 그 많은 인구가 함께 머리를 맞대고 과학을 논했다면 세계역사의 판도는 달라졌을 것이다. 과학은 계층적인 학문이라 화산이 폭발하듯 발전할 수는 없다. 조금씩 단계별로 발전 위에 또 하나의 발전을 이루는 학문이다. 다수가 참여하면 그 발전은 앞당겨진다. 그러나 발전의 토대를 쌓을 수 있는 가능성을 권력계층에서 잘라버렸다. 유학을 바탕으로 한 봉건제 정치구조 속에서 권력계층은 신분질서유지를 위해 실험과 기술은 천대했고 이론부분에 해당하는 지력은 독점했다. 이러한 불균형이 결국은 중국의 전통과학이 근대로까지 발전할 수 있는 길마저 닫아버린 것이다.
지금까지 “중국의 전통과학은 왜 근대 과학으로 이어지지 못하였는가”에 대해 크게 두 가지 요인, 문맹률과 유학의 관학화가 장애물로 작용했을 것이라는 나의 생각을 정리해보았다. 과학이 발전할 수 없었던 여러 가지 요인을 찾으며 사회구조가 학문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는 것을 알고 사회와 학문의 긴밀한 관련성까지 깨닫게 되었다. 중국의 발달했던 과학과 문명에 대해 감탄하며 또 쇠퇴의 길을 걷게 된 시기는 아쉬워하며 과학을 주제로 고심했으나 비단 과학만이 아닌 역사와 사회를 반추하게 된 기회였다. 그리고 역사와 사회를 반추해보며 익숙하면서도 때론 굉장히 낯선 사실들과 마주하여 그 속에서 침묵하고 있던 지식과 정보를 캐내었다. “역사는 미래의 거울이다”라는 명언에 다시 한 번 동의의 뜻으로 고개를 끄덕이며 과제를 마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3.16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05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