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학의 역사] 스펜서 Herbert Spencer (1820~1903) {사회진화론과 사회유기체론. 자유주의와 국가관. 사회진화론의 한계와 스펜서 자유주의의 한계, 사회유기체론과 스펜서 자유주의와의 모순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학의 역사] 스펜서 Herbert Spencer (1820~1903) {사회진화론과 사회유기체론. 자유주의와 국가관. 사회진화론의 한계와 스펜서 자유주의의 한계, 사회유기체론과 스펜서 자유주의와의 모순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01.들어가며..

02. 사회진화론과 사회유기체론
1) 사회진화론
2) 사회유기체론

03. 자유주의 그리고 국가관

04. 사회진화론의 한계와 그로인한 스펜서 자유주의의 한계

05. 사회유기체론과 스펜서 자유주의와의 모순점

06. 스펜서 사상의 함의와 의의
1) 스펜서 사상의 함의
2) 스펜서 사상의 사회적 의의

본문내용

는 것을 알 수 있다. 경쟁에서 도태될 위험이 있는 약자가 경쟁을 삶의 원리로 받아들이기를 거부할 자유는 보장되지 않는 것이다. 스펜서의 이런 입장은 ‘고통이야 말로 진화의 동인이며, 인류는 안락을 얻기 위해서가 아니라 고통을 회피하기 위하여 경쟁을 벌이고, 고통은 보다 나은 세상을 달성하기 위한 필요악’이라는 그의 서술에 단적으로 드러나 있다.
독립적인 개인들이 경쟁할 수 있는 자유를 보장하고, 이를 통해 사회의 진화를 달성할 수 있다는 생각은 현실적으로 많은 한계점을 지닌다. 가장 명백한 취약점은 그 사상에 사회 약자에 대한 배려가 전혀 없다는 것이다. 이 취약점은 국가에 대한 스펜서의 생각에서 더욱 선명하게 드러나는데, 스펜서는 국가는 개인의 자유를 보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활동만을 해야 할 뿐, 사회 약자를 배려하는 복지 정책은 진화의 동인을 거세하는, 역사를 퇴보시키는 것으로 간주했다.
또한 스펜서가 이런 냉정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던 이유 자체에서도 그의 사상이 가지는 한계점을 찾아볼 수 있다. 스펜서는 인간과 사회를 추상적으로만 이해했다. 사회가 경쟁으로 진화한다는 생각에 대해서도, 사회 이전에 개인이 존재했고 그러므로 개인을 이타심이나, 연대와 같은 사회적인 가치가 아닌 개인의 자유만을 가치로 추구하는 존재로 파악한 것에 대해서도, 스펜서는 어떤 정밀한 역사적인 근거도 제시하지 않은 채, 다만 자연 진화론과의 비유를 통해 ‘그렇다’고 규정을 내리고 있을 뿐이다.
스펜서가 개인에게 천부의 자연권을 부여하는 개인주의적 일면을 가지면서도 사회유기체론을 주장하였던 것은 스펜서 사상이 가진 모순점으로 흔히 지적되지만, 스펜서 사상의 추상성을 이해한다면 그 모순지점이 오히려 그의 사상에서 필연적이고 자연스럽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는 개인에 대한 단 한 가지의 이해만을 가지고 인간을 규정했으므로, 그 한 가지 이해에서 도출한 원칙으로 사회의 법칙으로 삼는 단순화가 가능했던 것이다. 개인을 자유를 추구하고 의존하기 보다는 경쟁을 통해 자유를 발휘하는 것이 개인의 권리이자 유일한 목적이므로 사회진화론의 법칙은 사회유기체 전체의 운영원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2) 스펜서 사상의 사회적 의의
생존경쟁의 고통에 냉정한 스펜서의 사상은 동시대를 살았던, 생존경쟁에서 사회 약자가 받는 고통에 가장 주목했던 맑스의 사상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이런 결과는 앞서도 말했듯 스펜서의 사상이 인간과 사회를 추상적으로만 이해하고 있는데서 얻어진 것이다. 하지만 사회학자라고 해서 자신의 삶의 환경으로부터 완전히 객관적이기 힘들며, 그러므로 대개의 사회학 이론이 그 사상가의 삶과 함께 이해될 때 좀 더 풍부한 함의가 파악되어 질 수 있다는 인식에 기반 하여 볼 때, 스펜서 사상의 이런 추상성 역시 그의 구체적인 삶으로부터 출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펜서는 개인의 금욕적인 생활태도를 중요시하며, 경제력과 상관없이, 비국교도라는 정치적인 이유로 국가로부터 많은 간섭과 규제를 받아야 했던 영국 비국교도 집안에서 자랐다. 또한 그의 삶의 사회사적 배경은 산업혁명의 선두에서 물질적 풍요와 산업주의의 번영이 최고조에 이르렀던 1800년대 중기의 영국이었다. 그가 일생을 통해 체득했던 개인의 금욕주의에 대한 강조는 당시 영국 사회의 풍요를 개인들이 각자의 생활에서의 부단한 노력을 통해 얻은 것으로 파악하게 했고, 경쟁적 추구를 통해 부를 획득하는 것이 윤리적으로 좋은 일이라는 생각을 갖도록 했다. 그리고 국가의 비국교도에 대한 직접적인 간섭에 대한 경험이 국가의 간섭을 최소화하는 야경국가론을 정립하게 쭹던 정서적 배경이 되었을 것 또한 짐작해 볼 수 있다.
스펜서의 사상은 번영기의 영국에서 대중적인 지지를 받으며 퍼져나갔지만, 영국의 번영이, 이후 산업혁명을 치르고 부상했던 프랑스와 독일, 미국에 의해 수그러들면서 그 인기가 쇠퇴했다. 산업주의의 풍요가 하강곡선을 그리면서 영국에서는 산업주의의 찬양에 가려졌던 그늘에 대한 담론이 대중적인 지지를 얻기 시작한 것이다. 이 시기 영국에서 강조되었던 것은 국가에 의한 복지를 확충하고 노동계급의 불만을 해소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스펜서의 사상은 이후 후발 산업주의 국가인 미국에서 지지를 얻게 된다. 이것은 한 사회학자의 사상이 그가 의도했던 하지 않았던, 정치적 상황, 실천과 관계 맺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이다. 스펜서의 사상은, 스펜서의 사상에 동의하는 것이 가능한, 그리고 스펜서의 사상을 받아들였을 때 자신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이 가능한 계층적, 역사적 배경을 가진 집단에 의해 수용되고 실천되었다. 이것은 어느 사회사상이든 마찬가지로 가지게 되는 운명이다. 인간과 사회의 모든 현상을 포괄하는 이론을 만들어내기란 애초에 불가능 한 일일지도 모른다. 다만 역사적 맥락에 따라 존재해온 사회 이론들에서 그 단면들에 대한 이해를 구하여 인간을 좀 더 잘 이해하고, 인간이 삶의 원리로 받아들이기에 나은 설명방법을 축적해나갈 수 있다는 데에서 사회 이론들의 의의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07.
참고문헌
Lewis A. Coser, 2003, 사회사상사, 서울: 시그마프레스.
http://bric.postech.ac.kr/webzine/content/review/bioethics/2002/Feb/02.html
사회 다윈주의의 이데올로기적 성격, 김호연, 강원대학교 사학과 강사
I. M. 짜이틀린, 1985, 사회학 이론의 발달사, 서울: 도서출판 한울.
김채윤 외., 1995, 사회학개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신연재, 1994, 스펜서의 사회진화론과 자유주의, 한국국제정치학회:
국제정치논총 제34집 1호.
정창인, 1999,
스펜서의 진화론적 자유주의: 스펜서의 저작에 있어서의 지화주의와
자유주의 사이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진화론의 재해석, 한국정치학회:
1999년도 한국정치학회 연례학술회의-정치사상3 자유주의 정치사상, 단행권.
양영진, 2001, 연구논문: 허버트 스펜서의 사회학; 분업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35권 5호.
http://www.was.pe.kr/spencer.htm : 하버트스펜서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3.16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05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