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invite교회사] 오리겐(ORIGEN) - 오리겐의 생애와 경력, 오리겐의 믿음과 이성, 오리겐의 풍유적인 성경해석, 오리겐의 하나님 교리, 오리겐의 로고스 개념과 구원 및 유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초대invite교회사] 오리겐(ORIGEN) - 오리겐의 생애와 경력, 오리겐의 믿음과 이성, 오리겐의 풍유적인 성경해석, 오리겐의 하나님 교리, 오리겐의 로고스 개념과 구원 및 유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오리겐의 생애와 경력
2. 오리겐의 믿음과 이성
3. 오리겐의 풍유적인 성경해석
4. 오리겐의 하나님 교리
5. 오리겐의 로고스 개념
6. 오리겐의 구원과 유산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미해결 상태로 남겨놓은 교리들 사이에 구별을 하였다. 후자의 경우, 자신의 사색이 잠정적이고 예비적인 것을 주장. 삼위일체 교리를 형성하는 데 공헌. 그는 아들이 아버지께로부터 영원히 나온다고(the eternal generation) 가르쳤으나, 신적 본체에서 분리됨에 있어서 아들과 성령을 아버지께 종속시켰다. 영혼선재설. 만인구원설.
1. 오리겐의 생애와 경력(Origen\'s Life and Career)
오리겐은 약 800개의 원고를 썼고, 철학자로도 잘 알려졌다. 알렉산드리아의 감독인 디메트리우스(Demetrius)는 오리겐이 스스로 거세했다는 이유를 내세워서 그의 안수를 허락하지 않았다. 오리겐은 가이사라의 감독이 자신의 안수받는 일을 기꺼이 받아들이므로 233년경 가이사라로 활동본부를 옮겨 교리문답학교를 일종의 선교학교로 전환시켜서, 기독교에 관심을 보여주었지만 세례요청을 주저하는 젊은 이방인들을 목표로 삼았다. 그는 후기 기독교 사상가들에게 지적 위대함과 혼란을 일으키는 모호한 유산을 남겼다. 한편으로, 그는 심오한 논증과 통찰력을 통하여 로마제국의 지식층들이 기독교를 존속할 수 있는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대안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다른 한편, 삼위일체와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 같은 교리에 관한 설명은 그의 사후에 수 백년 동안 커다란 논쟁을 일으켰다.
그의 가장 중요한 신학적 작품은 ‘켈수스 반박’(Contra Celsum)과 ‘제 일 원리론’(De Principiis, or On First Principles)이다. 후자는 하나님의 본성, 그의 로고스, 창조와 그밖에 여러 주제에 대한 오리겐의 신학적 성찰을 전개한 기독교 철학체계를 구성한다. ‘켈수스의 논박’에서 선지자들의 거룩한 글들이 켈수스가 찬양하는 플라톤의 작품들보다 더욱 존경할 가치가 있는 것들을 포함한다고 확언했다. 그는 헬라철학과 플라톤이 신적 계시에서 발견되는, 보다 더 높고 완전한 진리를 기대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리겐에 따르면, 철학은 “그 안에 거짓이 진리와 뒤 섞여 있기“ 때문에 하나님의 구속적 진리를 제공할 수 없고 죄인을 치료할 능력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기독교신학을 모든 다른 철학을 능가하고 대처하는 일종의 ”신적철학“ (divine philosophy)임을 허용했다. cf. “애굽의 탈취물”(spoils of the Egyptians)
2. 오리겐의 믿음과 이성(Origen on Faith and Reason)
오리겐은 철학과 이성의 역할만큼 신적계시와 믿음을 강조했다. 기독교인에게, 하나님과 구원에 관한 추론은 믿음의 헌신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클레멘트와 같이, 오리겐은 성경바깥에서 진리를 인정하고 그러나 하나님의 계시와 충돌하는 진리의 가능성을 거절했으나, 무의식적으로 성경의 가르침보다 이방철학과 문화에 더욱 일치되는 개념들을 수납하고 가르치는 결과를 낳았다. 후에 전체적으로 교회는 오리겐을 이단으로 정죄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교신학의 “참된 철학”을 묘사하는 데 있어서 그는 성경과 사도적 전통에 엄격하게 충실했으며, 그 이상의 사색은 그것들과 일치하는 한에서 허용하였다.
명백히 비 성경적인 교리의 예를 들면, 하나님께서 에서를 미워했다는 로마서 9장의 내용을 하나님의 예정과 선택의 개념으로 설명하지 않고 헬라의 영혼의 선재(the preexistence of the souls)사상에 호소했다. 단지 예수님의 인간영혼만이 이 선재하는 시험기간(this preexistent probation)을 무죄로 통과하셨다. 그러므로, 인간 예수님이 지상에서 죄가 없으신 이유는 그가 하나님이시기 때문이 아니라 선재상태에서 죄를 짓지 않으셨기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5.03.24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20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