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잘 키운다는 것 - 2장 자녀 양육에 관한 Q & 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이를 잘 키운다는 것 - 2장 자녀 양육에 관한 Q &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Q 01 밥을 먹지 않을 때
Q 02 막무가내로 떼쓰고 고집을 피울 때
Q 03 칭얼거리거나 징징대면서 울 때
Q 04 거칠고 공격적인 행동을 보일 때
Q 05 밤에 무섭다고 엄마 방에 올 때
Q 06 참을성이 없고 충동적일 때
Q 07 거짓말을 할 때
Q 08 욕을 할 때
Q 09 동생이 태어났을 때
Q 10 형제간에 다툼이 심할 때
Q 11.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할 때
기타등등

본문내용

인정해 준다.
3. 청소년인 자녀의 입장에 서보려고 노력하고, 자녀가 겪고있는 어려움에 공감해 준다.
4. 자녀의 질문에 정확한 정보를 주는 것은 중요하지만 장황한 설교는 금물이다.
5. 자녀가 자신의 느낌과 감정을 편안하게 이야기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든다.
6. 책임감을 부여한다.
7. 청소년기의 좋은 행동과 나쁜 행동을 설명해 주고, 그런 행동들이 자신의 인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려준다.
8. 부모가 모든 문제에 대한 해답을 줄 수는 없다. 문제에 직면해 그것을 풀어야 하는 일차적 책임은 자녀에게 있음을 알아야한다.
9. 자녀와 함께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한다. 우리 가정의 문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서로 만족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는다.
10. 자녀에게 사랑한다고 표현한다. 무슨 일이 있어도 부모가 자신을 사랑한다는 것을 확실하게 알려주어야 한다.
Q 20 말을 안 하고 혼자만 있으려고 할 때
아이가 말이 없더라도 가족과 문제없이 지내고, 표정이 밝다면 대부분 괜찮다. 그러나 말수가 갑자기 적어지고 방에서 나오지 않으려고 한다면 문제가 있다. 말을 걸면 짜증부터 내고, 느닷없이 눈물을 흘리고, 문을 쾅 닫아건다면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런 경우 편안한 시간에 아이와 대화를 시도해야 한다. 솔직하게 말하고 아이와 의논해야한다. 아이와 대화할 때는
1. 아이의 의견을 경청한다.
2. 절대로 짜증을 부리거나 윽박지르지 말아야 한다.
3. 의논으로 해결이 잘 안 된다면 다시 좋은 관계를 회복하고자 하는 부모의 진심을 아이에게 간곡히 전하고 전문가의 지침에 따른다.
Q 21 이성친구가 생겼을 때
부모는 언제나 자녀의 의논 상대가 되어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아이들은 자신처럼 아직 미숙한 치구들을 의지한다. 아이와 의논을 하려면 내가 사춘기 때 이성 문제와 이성 교제에 대한 태도가 어떠했는지 잘 생각해 보아야 한다. 내가 받고 싶었던 대로 내 아이에게 해준다. 이것은 자녀 교육의 기본 원칙중 하나이며, 마음에 새겨두면 자녀와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Q 22 자녀의 진로가 걱정 될 때
아이들이 성장한다는 것은 부모의 도움을 받는 것으로 시작해서 점차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방법과 힘을 얻는 과정이면, 필요할 때 힘들이지 않고 도움을 요청하고 또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도와줄 수 있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녀들과 진로를 의논할 나이쯤 되면 자녀들도 부모의 사랑과 훈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3.29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25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