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신경계 - 중추신경계(CNS)의 총정리 {척수, 뇌간, 소뇌, 전뇌(간뇌.대뇌반구), 전도로, 말초신경계, 척추신경, 뇌신경, 자율신경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의학] 신경계 - 중추신경계(CNS)의 총정리 {척수, 뇌간, 소뇌, 전뇌(간뇌.대뇌반구), 전도로, 말초신경계, 척추신경, 뇌신경, 자율신경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A. 척수
1. 척수의 외형
2. 척수의 단면

B. 뇌간
1. 연수
2. 교뇌
3. 중뇌
4. 망상체

C. 소뇌
1. 소뇌의 외형과 구분
2. 소뇌각
3. 소뇌의 내부구조

D. 전뇌(간뇌.대뇌반구)
1. 간뇌


전도로
1.상행성 전도로(감각성 전도로)
2.시개척수로(tectospinal tract)


말초신경계

A.척추신경
1.경신경(cervical nerve)
2.경신경총
3.완신경총
4.흉신경
5.요신경
6.요신경총
7.척골신경(sacral nerve)
8. 천골신경총
9. 미골신경총

B. 뇌신경
1. 후각신경
2. 시신경
3. 동안신경
4. 활차신경
5. 삼차신경
6. 외전신경
7. 안면신경
8. 내이신경(전정와우신경)
9. 설인신경
10. 미주신경
11. 부신경
12. 설하신경

자율신경계
1. 교감신경계
2. 부교감신경계
3. 벽내장신경계 (내재신경계)
4. 자율신경계의 기능

본문내용

기시하고, 내낭의 후각을 지나며,이어서 대뇌각으로부터 교뇌 저부의 교뇌종속(longitudinal fasciculus of pons)을 거쳐 연수에서 추체를 형성한다. 추체의 하단에서 추체로섬유의 약 80~90%가 교차하여 반대측으로 이동한다, 이 교차부위를 추체교차(pyramidal decussation)라 한다. 교차한 섬유는 외측피질척수로(lateral corticospinal tract)를 형성하여 척수의 측삭을 하행한다. 비교차성 섬유는 전피질척수로(anterior cor-ticospinal tract)가 되어 전삭을 하행한다. 이들의 섬유는 개재신경원(intercalary neuron)을 통해서,또는 직접 전각의 운동신경원에 연락한다. 운동을 수행할 때 외측피질척수로는 특히 사지의 원위근의 운동제어에 있어 중요하며, 전피질척수로는 주로 체간의 운동제어에 관여한다.
(2)피질핵로(corticobular tract)
이 섬유는 주로 중심전회의 하부(두부영역)에서 기시하고, 내낭 슬부,대뇌각,교뇌종속,추체에 순차적으로 추체로의 섬유와 함께 하행하지만, 도중에 갈려 뇌간에 있는 뇌신경의 운동핵으로 향한다. 섬유 안에서 직접 운동신경원에 접합하는 것은 족으며, 대부분은 망상체이 있는 개재신경원을 통해서 운동신경원에 연락한다. 일반적으로 피질핵으로는 양측성(반대측이 약간 많다)으로 분포한다.
b.추체외로계
추체외로계(extrapyramidal tract)는 추체로계를 제외한 운동로의 종칭이다. 이 안에는 추체를 지나지 않고 뇌간에서 척수에 도달하는 운동로와 소뇌와 대뇌기저핵이 각각 중심이 되어 구성되는 운동로가 포함된다. 뇌간에서 추체를 지나지 않고 척수에 도잘하는 운동로에는 아래와 같은 경로가 있다.
1.적핵척수로(rubrospinal tract)
중뇌의 적핵에서 기시하고, 바로 교차하여 반대측의 뇌간 복외측부 및 척수의 측삭을 하행한다. 적핵은 쇠뇌핵이나 대뇌피질운동영역으로부터 입력을 받아, 주로 사지의 원위의 군육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원에 연학하고 있다. 굴근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원을 흥분시키고, 신근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원을 억제함으로써 근육의 긴장을 제어한다고 생각되고 있으나, 사람에서는 별로 발달하여 있지 않다.
2.시개척수로(tectospinal tract)
중뇌의 상구에서 기시하여 바로 교차하고 반대측의 뇌간 내측부 및 척수 전삭을 하행하여 경수에 도달하는 신경로이다. 경부근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원에 연학하여 대상물체를 눈으로 쫓을때나 시각반사에 의한목의 운동(머리의 움직임)에 관여한다.
(3)전정척수로(vestibulospinal tract)
연수의 전정신경핵에서 기시하여 주로 동특성으로 하행하지만, 경수로부터 흉수 상부에 분포하는 내측전정척수로와 척수의 전체 길이에 분포하는 외측전정척수로가 구별된다. 모두 뭄의 평형을 유지할 때에 작용하지만, 전자는 경부나 상지의 운동에 관여하고, 후자는 체간이나 한지의 운동에 관여한다.
(4)망상체척수로(reticulospinal tract)
교뇌의 망상체에서 기시하는 교뇌망상체척수로와 연수의 망상체에서 기시하는 연수망상체척수로가 구별된다. 전자는 동측성으로, 후자는 양측성으로 하행하지만, 모두 체간의 근육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원에 연락하여 자세의 제어에 작용한다. 소뇌 또는 대뇌기저핵을 중심으로 향성되는 신경회로는, 특희 운동의 기획,조절계로서 작용하고 있다. 소뇌는 주로 근군의 협조나 근 긴장의 조절에 작용하여 운동을 보다 정확히 할 수 있도헉 하고, 또한 속도나 숙련을 필요로 하는 운동을 원할히 시행할 수 있도록 작용하고 있다. 대뇌기저핵은 주로 목적이나 상황에 따른 운동을 게획,준비할 때나 정확하게 발현시킬 때에 작용한다. 따라서 소뇌장애에서는 정확성이 결여된 운동을 하고나, 다수의 근육의 협조에 의한 복잡한 운동을 할 수 없게 되거나 한다. 기저핵장애에서는 의지와는 관계없는 무의미한 불수의운동이 나타나거나, 운동이 매우 완만해지거나 한다. 이와 같이 추체로계가 이른바 수의 운동을 실행하기 위해 중요하다는 것은 확실하지만, 추체로계의 작용만으로 수의운동을 이룩할 수 없는 것이여서, 추체외로계의 작용도 동시에 필요하다고 한다.
말초신경계
말초신경RP는 31쌍의 척추신경과 12쌍의 뇌신경 및 자율신경계로 구성되어있다.척추신경계와 뇌신경은 함께 뇌척수 신경이라 불린다.
A.척추신경
1.경신경(cervical nerve) 8쌍 C1~C8
2.흉신경 (thoracic nerve) 12쌍 T1~T12
3.요신경(lumbar nerve) 5쌍 L1~L5
4.척골신경(sacral nerve) 5쌍 S1~S5
5.미골신셩(coccygeal nerve)1쌍 Co
출입하는 말초신경이 척수 신경이다.척추신경은 2개의근 ,즉 척수의 전외측에서 나오는 전근과 후외측으로 들어가는 후근이 추간공의 근처에서 합쳐져 만들어진다.
전근사가 합쳐서 만들어지는 전근은 척수의 전각에 있는 운동신경원의 축삭인 운동 섬유로 구성되고,후근사로 갈려서 척수에 들어가는 후근은 척수 신경절 내의 감각신경원 의 감각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것을 마장디 법칙이라고 한다. 척수신경은 혼합신경이다.
척수신경은 자율신경계의 신경섬유를 포함한다.척수 신경에 포함되어있는 교감신경절전섬유는 제8경수(또는 제1흉수)에서 제2요수까지의 척수측각에 존재하는 중간외측핵의 절전신경원에서 시작하여 전근을 지나서 척수를 나온다.척수신경에 포함되어 있는 부교감신경절전섬유는 제2천수에서 제4천수까지의 중간질 외측부에 존재하는 절전신경원에서 시작하여 전근으로부터 척수를 나온다.
척수 신경은 인접하는 추골사이에 있는 추간공을 지나서 척주관을 떠난다.경추는 7개 있는 것에 반해서 경신경은 8쌍이 있으므로 제1신경은 후두골과 제1경추 사이를 지나서 척추관을 떠나고 제8신경은 제7경추와 제1흉추 사이의 추간공을 지나서 척추관을 떠난다. 제1흉추보다 하방에서는 추골과 같은 명칭의 척수 신경이 추골의 바로 하방의 추간공에서 나온다. 척수신경은 추간공을 나오면 바로2개의 가지, 즉 전지와 후지로 갈린다.
전지는 일반적으로 발달이 좋고 경부와 체간의 전부와 외측부 및 사지의 근육과 피부를 지배한다.후지는 항부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52페이지
  • 등록일2015.04.03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31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