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이론적 배경
3. 참고문헌
2. 이론적 배경
3.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전원전압과 같아진다.
Vi < Vref : 출력전압은 음(-)의 전원전압과 같아진다.
3. 실험결과 예상
(1)입력에 +13V를 입력하였을 때 발광 다이오드의 상태
- 비교기는 기준 신호전압과 입력 신호전압를 비교하여 그 차를 연산증폭으로 출력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경우 +13V만 입력하였기 때문에 출력이 안돼서 발광 다이오드에 불이 안들어올 것으로 예상된다.
(2)입력에 -13V를 입력하였을 때 발광 다이오드의 상태
- 기준전압과 입력전압을 만족하였으므로 출력전압이 나올 것이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에 불이 들어올 것이다.
(3)입력에 +13V, -13V를 가할 때 멀티미터로 출력전압 측정.
- 발광다이오드만 제거하고 멀티미터로 연결하였으므로 출력전압이 나오기 때문에 당연히 멀티미터로 전압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반전 비교기이어서 출력전압은 양(+)의 전원 전압으로 예상하고 그 값은 연산증폭기의 이득에 따라서 값이 다르게 나오므로 전압 차의 10정도의 양의 값으로 예상된다.
(4)반전 입력단자를 접지시키고 비반전 입력단자에 +13V, -13V를 교대로 주었을때 발광 다이오드 상태
- 비반전 입력단자를 연결하는 것은 즉 비반전 비교기가 되는 것이므로 앞의 실험에 반대값 즉 음(-)의 출력전압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13V, -13V를 교대로 주었을 경우 (하나씩 주었을 때) 기준신호전압과 입력 신호전압 두 개의 값이 같이 있지 않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에 불이 안들어올 것으로 예상한다.
3. 참고문헌
- 전기 전자 개론 (광명)
- 일반 전자 공학 (삼원출판)
- 전기 공학 (학문사)
Vi < Vref : 출력전압은 음(-)의 전원전압과 같아진다.
3. 실험결과 예상
(1)입력에 +13V를 입력하였을 때 발광 다이오드의 상태
- 비교기는 기준 신호전압과 입력 신호전압를 비교하여 그 차를 연산증폭으로 출력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경우 +13V만 입력하였기 때문에 출력이 안돼서 발광 다이오드에 불이 안들어올 것으로 예상된다.
(2)입력에 -13V를 입력하였을 때 발광 다이오드의 상태
- 기준전압과 입력전압을 만족하였으므로 출력전압이 나올 것이다. 따라서 발광다이오드에 불이 들어올 것이다.
(3)입력에 +13V, -13V를 가할 때 멀티미터로 출력전압 측정.
- 발광다이오드만 제거하고 멀티미터로 연결하였으므로 출력전압이 나오기 때문에 당연히 멀티미터로 전압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반전 비교기이어서 출력전압은 양(+)의 전원 전압으로 예상하고 그 값은 연산증폭기의 이득에 따라서 값이 다르게 나오므로 전압 차의 10정도의 양의 값으로 예상된다.
(4)반전 입력단자를 접지시키고 비반전 입력단자에 +13V, -13V를 교대로 주었을때 발광 다이오드 상태
- 비반전 입력단자를 연결하는 것은 즉 비반전 비교기가 되는 것이므로 앞의 실험에 반대값 즉 음(-)의 출력전압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13V, -13V를 교대로 주었을 경우 (하나씩 주었을 때) 기준신호전압과 입력 신호전압 두 개의 값이 같이 있지 않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에 불이 안들어올 것으로 예상한다.
3. 참고문헌
- 전기 전자 개론 (광명)
- 일반 전자 공학 (삼원출판)
- 전기 공학 (학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