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업의 국제 경영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글로벌 기업의 국제 경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1 연구 배경 & 목적----------------------------------------------------------------------------------------------------------------- 01
1.2 SPA 브랜드 ------------------------------------------------------------------------------------------------------------------------------ 01

Ⅱ. 유니클로
2.1 유니클로 소개 -------------------------------------------------------------------------------------------------------------------------- 0 1
2.2 핵심 역량 --------------------------------------------------------------------------------------------------------------------------------- 02
2.3 해외 시장 진입 -중국 ------------------------------------------------------------------------------------------------------- 02
2.4 생산 전략 ------------------------------------------------------------------------------------------------------------------------------- 03
2.5 글로벌 마케팅 전략 ----------------------------------------------------------------------------------------------------------- 04
2.6 조직 관리 -------------------------------------------------------------------------------------------------------------------------------- 05

Ⅲ. 자라
3.1 자라 소개 ---------------------------------------------------------------------------------------------------------------------------------- 07
3.2 핵심 역량 ------------------------------------------------------------------------------------------------------------------------------- 07
3.3 해외 시장 진입 - 중국 -------------------------------------------------------------------------------------------------- 08
3.4 생산 전략 ------------------------------------------------------------------------------------------------------------------------------- 08
3.5 글로벌 마케팅 전략 ----------------------------------------------------------------------------------------------------------- 09
3.6 조직 관리 ---------------------------------------------------------------- ---------------------------------------------------------------- 11

Ⅳ. 유니클로 & 자라 비교 분석 ------------------------------------------------------------------------------------------------------- 12

Ⅴ. 문제점 도출 ---------------------------------------------------------------------------------------------------------------------------------- 13

Ⅵ. 유니클로와 자라의 개선 방향 ------------------------------------------------------------------------------------------- 14

참고 자료 ------------------------------------------------------------------------------------------------------------------------------------- 17

본문내용

수집
자라 매장의 매니저들은 매장을 찾은 고객들의 취향을 분석해서 그때그때 새로운 아이디어를 스페인 본사로 전송하고, 200명이 넘는 디자이너들이 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옷을 디자인하여 신상품을 만들어 낸다. 그리고 그 디자인은 시장정보시스템에 저장되어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자라의 공장으로 전송된다. 한마디로 전세계 곳곳에 분포한 자라의 공장들이 첨단의 생산기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인데, 이러한 완벽한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매 2주마다 새 제품을 전세계 매장에 공급하는 것은 물론이다. 만약 새롭게 런칭한 아이템이 고객의 관심을 끌지 못하면, 그 아이템은 몇 주 내로 진열대에서 사라진다. 반대로 한 아이템이 성공적으로 소비자에게 어필되었다면 자라의 디자이너들은 그 사실을 즉시 인지하고 비슷한 스타일의 아이템을 무수히 선보이게 된다.
(5) 시장 기반(market oriented) 전략에 근거한 마케팅
자라는 대기업들이 가지고 있는 정형화된 마케팅 부서를 갖고 있지 않은데, 그들의 마케팅 전략은 ‘고객이 먼저이고, 그에 따라 우리가 존재한다’는 논리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자체적으로 갖고 있는 고객 데이터 시스템을 기초로 고객이 무엇을 원하고, 무엇을 필요로 하는가의 원리에 따라 시장세분화와 제품차별화 전략이 진행된다. 이에 따라 전체 회사의 마케팅 전략도 고객들의 요구가 변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하게 된다. 결국 ZARA는 마케팅 기반 전략에서 출발한 것이 아니라 시장 기반 전략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즉 마케팅 부서에서 수립한 마케팅 전략에서 출발해 고객에게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market)에게 먼저 접근한 다음 과연 고객이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들은 후에 이에 순응하며 각종 전략을 수립하고 회사 전체가 그 요구에 응하는 것이다.
(6) 시간 기반 전략(Time oriented : Fast fashion)에 근거한 마케팅
그 동안 의류, 액세서리, 신발 같은 패션 제품들은 내구성 소비재로 인식이 되었지만, 자라는 2주 내지 4주에 신제품을 선보임으로써 이들을 비내구성 소비재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이를 통해 새로운 제품의 디자인에서 판매까지의 간격을 단축시키고자 하는 ‘시간’의 의미가 자라의 마케팅 전략에서 아주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 자라 매장에서의 제품들은 2~4 주 내에 교체되기 때문에 고객은 자라 매장에서 마음에 드는 패션 제품을 재빨리 구입해야 한다. 자라의 제품은 저렴하면서 그리 오래 입지는 못하지만 최신의 트렌드를 반영하기 때문에 트렌드가 식어버리면 ZARA 매장에서 부담 없이 새로운 트렌드의 제품을 구입하면 된다.
3.7 조직관리
<자라의 비즈니스 모델>
자라는 빠른 업무과정으로 로우 코스트(Low Cost)를 실현하고 있다. 속도를 중앙통제하고 있으며, 속도에 걸림돌이 되는 조직 및 업무, 사람까지도 개선시키거나 없애버리며, 강한 개성이나 주장을 억제하며 트렌드 중심의 상품 기획을 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개성 없는 브랜드가 아닌 \'트렌드에 민감한 개성 있는 대중 브랜드\'로 각인되기 시작했다. 매장의 VMD(Visual Merchandising)를 통해 자라의 정체성, 제품소개, 메시지 등을 전달하기 때문에 VMD도 각 매장의 의견을 유연하게 받아들이지만 기본적으로 본사의 통제 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자라의 유일한 매체는 매장이고, 매장 소구력의 핵심은 VMD이기 때문이다. 주 2회 이상 가장 빠른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끊임없이 신상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전 세계에 훌륭한 네트워크가 갖추어져 있다.
결론적으로 자라의 비즈니스 컨셉은 신선함, 속도, 다양성, 합리적 가격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자라 매장에서 보이는 외형이나 결과물이 아닌 그들의 시스템과 네트워크로 이를 분석하고 응용할 필요가 있다.
Ⅳ. 유니클로와 자라 비교 분석
4.1 조달 및 생산 공정방식
자라는 모든 제품의 약 60% 정도를 인하우스(In-House)방식으로 조달함으로써 최신의 트렌드를 15일 이내에 상품화 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일주일에 두 번씩 신상품을 전세계 매장으로 투입할 수 있는 초고속 생산이 가능하다. 그리고 스페인 본사에는 완전 자동화 물류 시스템을 갖춘 물류 센터가 운영되고 있어 전 세계로 다시 분배된다. (유럽 지역은 24시간 안에, 아시아 지역은 48시간 안에) 유니클로는 아웃소싱(Outsoursing)방식으로 제품을 생산 및 조달하며 대부분의 생산기지가 중국에 위치한다. 상품 90%는 중국에 위치한 약 60여개의 공장에서 일괄 생산되며, 70여개의 생산 위탁 공장을 비즈니스 파트너로 삼고 있다.
두 브랜드 간에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취급하는 품목수와 품목당 생산량이다. 자라는 최근 기본형 스타일의 의류를 도입하기도 했지만 원칙적으로 ‘다품종 소량생산’을 지향한다. 최신의 스타일과 트렌드를 수시로 반영한 한정된 수량의 옷을 생산하여 판매하는 것이다. 반응이 좋다고 해서 물량을 엄청나게 늘리지 않으며 일 년에 두 번 있는 시즌 오프 세일 때 대부분의 옷을 소진해 재고량을 줄인다. 그래서 패션성과 희소성, 그리고 빈번한 신제품 출시 등이 강점으로 작용하는 반면, 유니클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고 원가 구조이다.
이에 비해 유니클로는 패션성을 강조하기보다는 상대적으로 한정된 기본형 스타일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소품종 대량생산’방식을 지향한다. 폭넓은 고객층을 대상으로 하는 것과 자체 생산시설이 아닌 파트너 공장을 통해 제품을 조달한다는 점이 유니클로의 원가를 낮출 수 있는 배경이 되고 있다. 즉, 유니클로는 상대적으로 저가격과 매장확대 전략을 주요 성장전략으로 추진하고 있다.
4.2 마케팅전략
자라는 유행에 민감한 젊은 층인 20~30대 고객들을 타켓으로 트렌디한 디자인 위주의 신상품을 신속히 선보인다. 매장을 방문하면 새로운 스타일과 최신 트렌드에 맞는 제품을 접할 수 있는 즐거움을 소비자들을 만끽할 수 있다. 유니클로는 니트, 청바지 등의 기본적인 베이직한 디자인 제품 위주이다. 디자인을 부각시키지 않는 기본스타일이라서 10대~50대 까지 고객층이 두터운 장점을 가진다.
유니클로는 자라나 탑샵, 미국의 포에버 21처럼 유행을

추천자료

  • 가격2,4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5.04.10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38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