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서론 3
제1절 내용구성 및 목적 3
제2절 조사방법 3
제2장 집합주택 계획원론 3
제1절 평면계획(UNIT PLAN) 3
제2절 주거동 계획 6
제3절 배치계획 9
제4절 주차계획 10
제5절 세부계획 14
제3장 아파트 Selling Point 15
제1절 아산 더샵 레이크시티 15
제2절 대전 죽동 푸르지오 16
제3절. 수원 아이파크시티 ‘e편한세상’ 20
제4장 결론 및 아파트 계획요소의 향후방향
제1절 내용구성 및 목적 3
제2절 조사방법 3
제2장 집합주택 계획원론 3
제1절 평면계획(UNIT PLAN) 3
제2절 주거동 계획 6
제3절 배치계획 9
제4절 주차계획 10
제5절 세부계획 14
제3장 아파트 Selling Point 15
제1절 아산 더샵 레이크시티 15
제2절 대전 죽동 푸르지오 16
제3절. 수원 아이파크시티 ‘e편한세상’ 20
제4장 결론 및 아파트 계획요소의 향후방향
본문내용
공동주택은 독립주택과 달리 상, 하, 좌. 우로 주호가 인접해 있는 관계로 각 주호의 연결방식이나 단면 구성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1)주호 진입통로에 의한 분류
①저층진입형 :3층 이하 저층의 공동주택에 해당하는 형식으로 지층에서 각 주호로 직접 진입이 가능하다.
②편복도형 :고층아파트에 흔히 이용되는 형식으로 각 주호는 2면 환기를 할 수 있으며, 균등한 주거조건을 부여받는다. 한편 지나치게 긴 복도가 프라이버시 침해가 문제되며, 획일적 배치를 조장하기도 한다.
③중복도형 :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주호를 집결시킬 수 있는 형식이지만, 환기 및 채광 등이 불리하다. 화재가 일어났을 경우 매연을 처리하기 위하여 많은 시설비가 들기 때문에 우리 나라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는 유형이다. 이 형식은 지가가 높은 고밀도가 요구되는 도심지의 재개발지구 독신자 파트에 유리하다.
④홀형 : 계단실 또는 엘리베이터 홀에서 직접 출입이 가능한 2개 이상의 단위 주호들이 3~4개씩 병렬된 형식이다. 이 형식의 특징은 각 주호의 주거성, 즉 통풍, 채광, 프라이버시 등의 여건이 좋고 동선이 짧아 출입이 용이하며, 중층 아파트에서 계단실형으로 많이 쓰인다. 그러나 엘리베이터로 했을 경우 1대당 이용률아 복도형에 비해 적어 경제적이다.
⑤코어형 : 복고형과 홀형을 절충시킨 유형으로 고층 아파트에서 홀과 짧은 복도를 중심으로 많은 주호를 집결시킬 수 있다. 탑상형에서 주로 이용되는 형식이다.
2)주호 집합형식에 의한 분류
①연립형 : 단위 주호들이 병렬된 것으로 지상층에서 각 주호로 직접 진입이 가능하며, 소규모 연립주택에서 많이 쓰이는 형식이다.
②중정형 : 다양하고 외부 공간을 구성하기에 유리하다.
③클러스트형 : 배치의 획일성을 피하고 입면에서 변화를 줄 수 있으며 건축물의 거대한 스케일이 되는 현상을 줄인다. 그러나 향이나 이웃간의 프라이버시 등이 불리하다.
④테라스형 : 경사지 이용에 적절한 형식으로 각 주호마다 옥상 테라스를 설치하며 전광 및 채광이 양호하다. 최근에는 평지에서도 이 형식을 사용함으로써 수직 개방성을 높이는 동시에 쾌적한 외부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⑤수직형과 타워형 : 수직형은 일반 아파트에 주로 사용되는 형식으로 토지 이용률 및 남향 배치 등에는 유리하다. 그러나 주거환경의 획일화, 입면의 단조로움, 스케일의 거대함 등의 심각한 주거문제를 야기 시킨다.
3)건축물 높이에 의한 분류
공동주택은 건축물의 높이에 따라 저층, 중층, 고층, 초고층으로 분류된다. 집합주택은 주거밀도와 주거환경적인 측면에서 고려할 때 고층이 좋으냐 또는 저층이 좋으냐? 하는 문제는 서로 장단점이 많아서 쉽게 단정하기가 힘들다. 저층에서는 주호마다 개별적인 소규모의 정원을 지닐 수 있는 반면, 밀도를 높였을 때 프라이버시나 일조상의 문제가 뒤따르게 된다.고층에서는 밀도를 높일 수 있고 넓은 공지를 확보 할 수 있다. 반면에 주거 형태가 너무 단조롭고 지상에서 접근성이 나쁘며. 정신적으로 불안감을 일으키기 쉬운 고층병등의 문제점이 뒤따른다. 이러한 장단점을 감안할 때 고층 혹은 저층으로 획일적 배치를 할 것이 아니라 동일한 단지내에서 저층과 고층을 적절히 혼합하는 것이 좋다. 즉, 도심지 주변에서는 밀도를 높이기 위해 고층을 배치하고 지가가 싼 변두리에서는 저층을 위주로 하는 것도 좋은 해결방법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이 고층과 저층을 적절히 혼합하는 것은 시각적인 변화를 주어 단지의 경관을 높이는 데도 효과가 크다. 예를 들면 미국필라델피아에 있는 팬즈 렌딩 스퀘어나 독일의 뮌헨 올림픽 촌은 저, 고층 고밀도 집합주택의 좋은 예이다. 저층으로 밀도를 높일 수만 있다면 가장 이상적인 주거 방향이 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른바 저층 고밀도 집합 주택이 건축가들이나 주택 건설업자들의 가장 큰 관심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저층형 : 2~3층의 연립 주택이 여기에 속하며, 각 주호가 대지에 직접적으로 접해있다. 따라서 자연과 가까이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주거밀도를 높이는 데는 불리하다. 원래 연립주택이라 하면 모든 주호가 지상에 접하면서 개인적인 정원을 갖는 주택을 말한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접지형이 아닌 3층 이하의 공동주택을 통칭하여 연립주택이라 부르고 있다.
②중층형 : 엘리베이터 없이 보행으로 이용할 수 있는 5층 이하의 아파트가 여기에 속한다.
③고층형 :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는 10~15층의 아파트가 주거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지상에 많은 공지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층형과 같은 생리적 장애를 불러일으키기도 하다.
④초고층형 : 15층이 상의 고층 아파트로서 건설비가 많이 요구되는 형식이다.
4)단면 형식에 의한 분류
공동 주택은 하나의 몇 층에 걸쳐서 계획되었는가에 따라 플랫형, 메조넷형, 트리플렉스형으로 구분된다..
① 단층형 또는 플랫형 - 하나의 주호가 같은 층에만 한정되는 형식이다. 대부분의 공동주택이 여기에 속한며,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대명사로 불려진다.
② 복층형 또는 메조넷형 - 하나의 주호가 두 층에 걸쳐 구성된 형식이다. 주호의 규모가 클 경우에 유리하며, 침실을 거실과 상ㆍ하층으로 구분하면 복도가 편복도형이 됨으로 인하여 프라이버시가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중복도를 사용하여 상하로 두 주호를 엇물리게 하는 교합메조넷형도 있다.
③ 3단형 또는 트리플렉스형 - 하나의 주호가 3개층에 걸쳐 구성된 형식이다. 프라이버시의 확보, 통로면적이나 피난 계단, 기타 시설등의 문제점이 많아서 규모가 대단히 크지 않으면 적합하지 않다.
④ 스킵 플로어형 - 통로가 한 층 이상 건너뛰는 형식이다. 통로면적이 적고, 프라이버시는 높아지나 출입에 혼돈을 일으키기 쉬운 단점이 있다. 건축물 내에 각기 다른 주호를 혼합할 수 있기 때문에 주호의 다양성 및 입면상의 변화가 가능.
제3절 배치계획
1)유의사항
-커뮤니티 의식의 형성으로서 특히 매개공간계획에 유의하고 생활영역을 명확하게 하여 개성적인 공간구성에 유의.
-생활의 편의성, 쾌적성의 확보를 위해 거주자, 외래방문객, 기타 서비스차를 위한 주차계획, 일조, 통
1)주호 진입통로에 의한 분류
①저층진입형 :3층 이하 저층의 공동주택에 해당하는 형식으로 지층에서 각 주호로 직접 진입이 가능하다.
②편복도형 :고층아파트에 흔히 이용되는 형식으로 각 주호는 2면 환기를 할 수 있으며, 균등한 주거조건을 부여받는다. 한편 지나치게 긴 복도가 프라이버시 침해가 문제되며, 획일적 배치를 조장하기도 한다.
③중복도형 : 단위면적당 가장 많은 주호를 집결시킬 수 있는 형식이지만, 환기 및 채광 등이 불리하다. 화재가 일어났을 경우 매연을 처리하기 위하여 많은 시설비가 들기 때문에 우리 나라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는 유형이다. 이 형식은 지가가 높은 고밀도가 요구되는 도심지의 재개발지구 독신자 파트에 유리하다.
④홀형 : 계단실 또는 엘리베이터 홀에서 직접 출입이 가능한 2개 이상의 단위 주호들이 3~4개씩 병렬된 형식이다. 이 형식의 특징은 각 주호의 주거성, 즉 통풍, 채광, 프라이버시 등의 여건이 좋고 동선이 짧아 출입이 용이하며, 중층 아파트에서 계단실형으로 많이 쓰인다. 그러나 엘리베이터로 했을 경우 1대당 이용률아 복도형에 비해 적어 경제적이다.
⑤코어형 : 복고형과 홀형을 절충시킨 유형으로 고층 아파트에서 홀과 짧은 복도를 중심으로 많은 주호를 집결시킬 수 있다. 탑상형에서 주로 이용되는 형식이다.
2)주호 집합형식에 의한 분류
①연립형 : 단위 주호들이 병렬된 것으로 지상층에서 각 주호로 직접 진입이 가능하며, 소규모 연립주택에서 많이 쓰이는 형식이다.
②중정형 : 다양하고 외부 공간을 구성하기에 유리하다.
③클러스트형 : 배치의 획일성을 피하고 입면에서 변화를 줄 수 있으며 건축물의 거대한 스케일이 되는 현상을 줄인다. 그러나 향이나 이웃간의 프라이버시 등이 불리하다.
④테라스형 : 경사지 이용에 적절한 형식으로 각 주호마다 옥상 테라스를 설치하며 전광 및 채광이 양호하다. 최근에는 평지에서도 이 형식을 사용함으로써 수직 개방성을 높이는 동시에 쾌적한 외부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⑤수직형과 타워형 : 수직형은 일반 아파트에 주로 사용되는 형식으로 토지 이용률 및 남향 배치 등에는 유리하다. 그러나 주거환경의 획일화, 입면의 단조로움, 스케일의 거대함 등의 심각한 주거문제를 야기 시킨다.
3)건축물 높이에 의한 분류
공동주택은 건축물의 높이에 따라 저층, 중층, 고층, 초고층으로 분류된다. 집합주택은 주거밀도와 주거환경적인 측면에서 고려할 때 고층이 좋으냐 또는 저층이 좋으냐? 하는 문제는 서로 장단점이 많아서 쉽게 단정하기가 힘들다. 저층에서는 주호마다 개별적인 소규모의 정원을 지닐 수 있는 반면, 밀도를 높였을 때 프라이버시나 일조상의 문제가 뒤따르게 된다.고층에서는 밀도를 높일 수 있고 넓은 공지를 확보 할 수 있다. 반면에 주거 형태가 너무 단조롭고 지상에서 접근성이 나쁘며. 정신적으로 불안감을 일으키기 쉬운 고층병등의 문제점이 뒤따른다. 이러한 장단점을 감안할 때 고층 혹은 저층으로 획일적 배치를 할 것이 아니라 동일한 단지내에서 저층과 고층을 적절히 혼합하는 것이 좋다. 즉, 도심지 주변에서는 밀도를 높이기 위해 고층을 배치하고 지가가 싼 변두리에서는 저층을 위주로 하는 것도 좋은 해결방법중의 하나이다. 이와 같이 고층과 저층을 적절히 혼합하는 것은 시각적인 변화를 주어 단지의 경관을 높이는 데도 효과가 크다. 예를 들면 미국필라델피아에 있는 팬즈 렌딩 스퀘어나 독일의 뮌헨 올림픽 촌은 저, 고층 고밀도 집합주택의 좋은 예이다. 저층으로 밀도를 높일 수만 있다면 가장 이상적인 주거 방향이 기 때문에 최근에는 이른바 저층 고밀도 집합 주택이 건축가들이나 주택 건설업자들의 가장 큰 관심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유형들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저층형 : 2~3층의 연립 주택이 여기에 속하며, 각 주호가 대지에 직접적으로 접해있다. 따라서 자연과 가까이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주거밀도를 높이는 데는 불리하다. 원래 연립주택이라 하면 모든 주호가 지상에 접하면서 개인적인 정원을 갖는 주택을 말한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접지형이 아닌 3층 이하의 공동주택을 통칭하여 연립주택이라 부르고 있다.
②중층형 : 엘리베이터 없이 보행으로 이용할 수 있는 5층 이하의 아파트가 여기에 속한다.
③고층형 : 엘리베이터를 사용하는 10~15층의 아파트가 주거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지상에 많은 공지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층형과 같은 생리적 장애를 불러일으키기도 하다.
④초고층형 : 15층이 상의 고층 아파트로서 건설비가 많이 요구되는 형식이다.
4)단면 형식에 의한 분류
공동 주택은 하나의 몇 층에 걸쳐서 계획되었는가에 따라 플랫형, 메조넷형, 트리플렉스형으로 구분된다..
① 단층형 또는 플랫형 - 하나의 주호가 같은 층에만 한정되는 형식이다. 대부분의 공동주택이 여기에 속한며, 일반적으로 아파트의 대명사로 불려진다.
② 복층형 또는 메조넷형 - 하나의 주호가 두 층에 걸쳐 구성된 형식이다. 주호의 규모가 클 경우에 유리하며, 침실을 거실과 상ㆍ하층으로 구분하면 복도가 편복도형이 됨으로 인하여 프라이버시가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중복도를 사용하여 상하로 두 주호를 엇물리게 하는 교합메조넷형도 있다.
③ 3단형 또는 트리플렉스형 - 하나의 주호가 3개층에 걸쳐 구성된 형식이다. 프라이버시의 확보, 통로면적이나 피난 계단, 기타 시설등의 문제점이 많아서 규모가 대단히 크지 않으면 적합하지 않다.
④ 스킵 플로어형 - 통로가 한 층 이상 건너뛰는 형식이다. 통로면적이 적고, 프라이버시는 높아지나 출입에 혼돈을 일으키기 쉬운 단점이 있다. 건축물 내에 각기 다른 주호를 혼합할 수 있기 때문에 주호의 다양성 및 입면상의 변화가 가능.
제3절 배치계획
1)유의사항
-커뮤니티 의식의 형성으로서 특히 매개공간계획에 유의하고 생활영역을 명확하게 하여 개성적인 공간구성에 유의.
-생활의 편의성, 쾌적성의 확보를 위해 거주자, 외래방문객, 기타 서비스차를 위한 주차계획, 일조, 통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