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 유전학의 기본개념>
<2장 - 생식과 염색체 행동>
<3장 - 멘델의 법칙>
<4장 - 유전자 상호작용>
<5장 - 연관과 재조합 및 유전자 지도 작성>
<6장 - 세포질 유전>
<7장 - 염색체 변화와 유전>
<8장 -농업형질의 유전>
<9장 -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의 유전>
<10장 -유전물질의 구조와 성질>
<11장 -유전자의 기능과 발현>
<12장 - 유전자 발현의 조절>
<13장 - 유전자 변화와 유전>
<14장 - 움직이는 유전자:트랜스포존>
<15장 -유전자 테크놀로지>
<16장 - 양적 유전>
<17장 - 집단유전>
<18장 - 유전과 종분화>
<2장 - 생식과 염색체 행동>
<3장 - 멘델의 법칙>
<4장 - 유전자 상호작용>
<5장 - 연관과 재조합 및 유전자 지도 작성>
<6장 - 세포질 유전>
<7장 - 염색체 변화와 유전>
<8장 -농업형질의 유전>
<9장 -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의 유전>
<10장 -유전물질의 구조와 성질>
<11장 -유전자의 기능과 발현>
<12장 - 유전자 발현의 조절>
<13장 - 유전자 변화와 유전>
<14장 - 움직이는 유전자:트랜스포존>
<15장 -유전자 테크놀로지>
<16장 - 양적 유전>
<17장 - 집단유전>
<18장 - 유전과 종분화>
본문내용
약자가 죽거나 번식하지 못하는 현상이다. 다시 말하면 환경에 적응하여 생존에 유리한 유전자형의 개체를 더 많이 보유하도록 하는 메커니즘이 자연선택이다. 자연선택에 의해 특정한 유전자가 감소하는 비율을 선택계수라고 한다. 자연선택은 돌연변이와 함께 집단의 유전적 평형을 무너뜨리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교과서 474, 478쪽)
14. 돌연변이는 자연선택과 함께 집단의 유전적 평형을 무너뜨리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 돌연변이는 자연선택이 작용할 수 있는 새로운 유전변이를 제공하며, 돌연변이에 의해 유해한 유전자가 계속 나타난다. 따라서 돌연변이는 집단의 유전적 평형을 무너뜨리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교과서 478쪽)
15. 집단의 A 대립유전자 빈도가 0.6일 때 a 대립유전자 빈도 : 1-0.6=0.4
▶ A 대립유전자 빈도를 p, a 대립유전자 빈도를 q라 할 때 p+q=1이다. 따라서 A 대립유전자 빈도 p=0.6이므로 a 대립유전자 빈도 q는 0.6+q=1로부터 q=1-0.6=0.4이다.(교과서 495쪽)
<18장 - 유전과 종분화>
1. 생물학적 종의 특징
① 생물학적 종내에서는 개체 간에 자유로운 교배가 이루어진다.
② 생물학적 종이 나타내는 형질은 적응의 결과이다.
③ 생물학적 종은 다른 종과 생식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④ 생물학적 종은 계속 진화한다.
▶ 마이어(1942,1970)는 생물학적 종에 대해 실제로 교배가 행해지고 있거나 또는 잠재적으로 교배 가능한 집단이며, 다른 종과 생식적으로 격리되어 있다.라고 정의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자연집단은 공통의 유전자 풀을 가지고 개체들 간에 무작위교배가 이루어져 멘델의 법칙이 적용되는 멘델 집단이다. 달리 표현하면 생물학적 종은 자유로운 교배가 이루어지는 생식적 공동체이고, 유전자 교환이 일어나는 유전적 단위이며, 같은 환경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반응하는 생태적 단위이다.(교과서 484쪽)
2. 지리적 종분화의 특징은 완만하게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 지리적 종분화는 지역집단 간에 유전자 교류가 없게 되는 것으로, 지리적 또는 생식적 격리를 거치기 때문에 완만하게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교과서 485~486쪽)
3. 분파형 종분화는 돌발적으로 일어난다.
▶ 분파형 종분화는 주로 염색체 배열의 변화와 교잡에 의한 유전자 교환 및 배수성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급격하게 돌발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교과서 486쪽)
4. 동소적 종분화는 주로 생식적 격리에 의해 일어난다.
▶ 동소적 종분화는 같은 지역에 서식하면서 생식적 격리가 발달하여 종이 분화하는 것이다.(교과서 486쪽)
5. 2차적 종분화의 대표적 예 - 보통밀
▶ 빵밀(AABBDD)은 세 가지 종류의 야생밀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것이므로 2차적 종분화에 해당한다.(교과서 486쪽, 방송강의)
6. 식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웅성불임성이나 자가불화합성은 생식적 격리 메커니즘에 해당
▶ 웅성불임성과 자가불화합성은 자손을 생산하지 못하므로 생식적 격리에 속한다.(교과서 485쪽), 주관식 문제 3번 <해답> 참조
생식적 격리는 생식과 관련된 여러 가지 장벽에 의하여 유전적으로 분화한 집단이 자신의 특성을 유지하고 다른 집단과 잡종화하는 것을 방지한다. 수정 전 장벽은 접합자가 만들어지기 전에 확실하게 생식적 격리가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지리적 장벽(원거리), 생태적 장벽(개화시기 차이), 행동적 장벽(성행위 거부), 기계적 장벽(화기구조 차이) 및 배우자 장벽(배우자 불화합성) 등이 있다. 수정 후 장벽은 접합자가 만들어진 후에 작용하여 생식적 격리를 분명하게 만드는 것이며, 잡종형성 실패잡종생존 불능잡종불임 및 잡종쇠약 등에 의해 자손을 만들지 못한다.(교과서 489쪽)
7. 생식적 격리에서 수정 후 장벽 - 잡종쇠약
▶ 잡종형성 실패, 잡종불임 및 잡종쇠약 등은 수정이 이루어진 후 종자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이므로 수정 후 장벽이다.(교과서 489쪽)
8. 식물의 개화시기 차이에 의해서 생식적 격리를 일으키는 것 - 생태적 장벽
▶ 개화시기는 온도나 일장 등 생태적 조건에 의해 달라진다. 따라서 개화시기 차이로 인한 생식적 격리는 생태적 장벽이 된다.(교과서 489쪽)
9. 생식적 격리 중에 배우자 불화합성은 배우자 장벽에 해당한다.
▶ 배우자 불화합성은 암수 배우자의 유전자가 같아서 불임이 되는 것이므로 배우자 장벽에 해당한다.(교과서 489쪽)
10. 생식적 격리에서 잡종생존 불능과 잡종쇠약은 수정 후 장벽에 해당한다.
▶ 잡종생존 불능은 수정된 배가 생존하지 못하는 것이고, 잡종쇠약은 수정된 배가 제대로 자라지 못하여 죽게 되는 것이므로 수정 후 장벽이다.(교과서 489쪽)
11. 자연선택에서 안정화 선택의 결과는 집단의 평균치에 가까운 개체가 생존에 유리하다.
▶ 안정화 선택은 안정된 환경조건이 개체군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며, 이 경우 집단의 평균에 가까운 개체가 생존에 유리하다.(교과서 491쪽)
12. 자연선택 중에 분단성 선택은 중간형이 분리하며 양극단에 있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두 가지 모양의 분포를 형성한다.
▶ 자연선택은 안정화 선택과 방향성 선택 및 분단성 선택의 세 가지 경향으로 나타난다. 안정화 선택은 집단평균에 가까운 수치를 가진 개체를 선호하는 환경에 의해 일어나므로 진화적 변화는 거의 없다. 방향성 선택은 한쪽의 극단값을 나타내는 개체를 선호하는 환경에 의해 일어나며 집단의 평균은 그 극단값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분단성 선택은 양쪽의 극단값을 선호하는 환경에 의해 일어나 둘로 갈라지게 된다.(교과서 491쪽, 그림 18-3)
13. 다음에서 동계교배형 식물의 특징
① 자가화합성이 대부분이다.
② 밀선이 퇴화되거나 결여되었다.
③ 이계교배가 이루어진다.
④ 결실률이 높다.
▶ 주두 선택적이고 자웅이숙이면 자가수분이 안 되므로 이계교배가 이루어진다.(교과서 492~493쪽)
14. 이입잡종이 형성되는 경우 - (A×B)×A
▶ 이입잡종은 종간잡종 F1이 양친의 어느 한쪽 친과 여교배되어 형성된 잡종이다. 여교배를 하면 종간잡종의 임성이 회복되므로 잡종이 생존할 수 있게 된다.(교과서 494쪽)
14. 돌연변이는 자연선택과 함께 집단의 유전적 평형을 무너뜨리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 돌연변이는 자연선택이 작용할 수 있는 새로운 유전변이를 제공하며, 돌연변이에 의해 유해한 유전자가 계속 나타난다. 따라서 돌연변이는 집단의 유전적 평형을 무너뜨리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된다.(교과서 478쪽)
15. 집단의 A 대립유전자 빈도가 0.6일 때 a 대립유전자 빈도 : 1-0.6=0.4
▶ A 대립유전자 빈도를 p, a 대립유전자 빈도를 q라 할 때 p+q=1이다. 따라서 A 대립유전자 빈도 p=0.6이므로 a 대립유전자 빈도 q는 0.6+q=1로부터 q=1-0.6=0.4이다.(교과서 495쪽)
<18장 - 유전과 종분화>
1. 생물학적 종의 특징
① 생물학적 종내에서는 개체 간에 자유로운 교배가 이루어진다.
② 생물학적 종이 나타내는 형질은 적응의 결과이다.
③ 생물학적 종은 다른 종과 생식적으로 격리되어 있다.
④ 생물학적 종은 계속 진화한다.
▶ 마이어(1942,1970)는 생물학적 종에 대해 실제로 교배가 행해지고 있거나 또는 잠재적으로 교배 가능한 집단이며, 다른 종과 생식적으로 격리되어 있다.라고 정의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자연집단은 공통의 유전자 풀을 가지고 개체들 간에 무작위교배가 이루어져 멘델의 법칙이 적용되는 멘델 집단이다. 달리 표현하면 생물학적 종은 자유로운 교배가 이루어지는 생식적 공동체이고, 유전자 교환이 일어나는 유전적 단위이며, 같은 환경에 대해 하나의 단위로 반응하는 생태적 단위이다.(교과서 484쪽)
2. 지리적 종분화의 특징은 완만하게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 지리적 종분화는 지역집단 간에 유전자 교류가 없게 되는 것으로, 지리적 또는 생식적 격리를 거치기 때문에 완만하게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교과서 485~486쪽)
3. 분파형 종분화는 돌발적으로 일어난다.
▶ 분파형 종분화는 주로 염색체 배열의 변화와 교잡에 의한 유전자 교환 및 배수성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급격하게 돌발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다.(교과서 486쪽)
4. 동소적 종분화는 주로 생식적 격리에 의해 일어난다.
▶ 동소적 종분화는 같은 지역에 서식하면서 생식적 격리가 발달하여 종이 분화하는 것이다.(교과서 486쪽)
5. 2차적 종분화의 대표적 예 - 보통밀
▶ 빵밀(AABBDD)은 세 가지 종류의 야생밀이 합쳐져서 만들어진 것이므로 2차적 종분화에 해당한다.(교과서 486쪽, 방송강의)
6. 식물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웅성불임성이나 자가불화합성은 생식적 격리 메커니즘에 해당
▶ 웅성불임성과 자가불화합성은 자손을 생산하지 못하므로 생식적 격리에 속한다.(교과서 485쪽), 주관식 문제 3번 <해답> 참조
생식적 격리는 생식과 관련된 여러 가지 장벽에 의하여 유전적으로 분화한 집단이 자신의 특성을 유지하고 다른 집단과 잡종화하는 것을 방지한다. 수정 전 장벽은 접합자가 만들어지기 전에 확실하게 생식적 격리가 일어나도록 하는 것으로 지리적 장벽(원거리), 생태적 장벽(개화시기 차이), 행동적 장벽(성행위 거부), 기계적 장벽(화기구조 차이) 및 배우자 장벽(배우자 불화합성) 등이 있다. 수정 후 장벽은 접합자가 만들어진 후에 작용하여 생식적 격리를 분명하게 만드는 것이며, 잡종형성 실패잡종생존 불능잡종불임 및 잡종쇠약 등에 의해 자손을 만들지 못한다.(교과서 489쪽)
7. 생식적 격리에서 수정 후 장벽 - 잡종쇠약
▶ 잡종형성 실패, 잡종불임 및 잡종쇠약 등은 수정이 이루어진 후 종자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이므로 수정 후 장벽이다.(교과서 489쪽)
8. 식물의 개화시기 차이에 의해서 생식적 격리를 일으키는 것 - 생태적 장벽
▶ 개화시기는 온도나 일장 등 생태적 조건에 의해 달라진다. 따라서 개화시기 차이로 인한 생식적 격리는 생태적 장벽이 된다.(교과서 489쪽)
9. 생식적 격리 중에 배우자 불화합성은 배우자 장벽에 해당한다.
▶ 배우자 불화합성은 암수 배우자의 유전자가 같아서 불임이 되는 것이므로 배우자 장벽에 해당한다.(교과서 489쪽)
10. 생식적 격리에서 잡종생존 불능과 잡종쇠약은 수정 후 장벽에 해당한다.
▶ 잡종생존 불능은 수정된 배가 생존하지 못하는 것이고, 잡종쇠약은 수정된 배가 제대로 자라지 못하여 죽게 되는 것이므로 수정 후 장벽이다.(교과서 489쪽)
11. 자연선택에서 안정화 선택의 결과는 집단의 평균치에 가까운 개체가 생존에 유리하다.
▶ 안정화 선택은 안정된 환경조건이 개체군을 일정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며, 이 경우 집단의 평균에 가까운 개체가 생존에 유리하다.(교과서 491쪽)
12. 자연선택 중에 분단성 선택은 중간형이 분리하며 양극단에 있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두 가지 모양의 분포를 형성한다.
▶ 자연선택은 안정화 선택과 방향성 선택 및 분단성 선택의 세 가지 경향으로 나타난다. 안정화 선택은 집단평균에 가까운 수치를 가진 개체를 선호하는 환경에 의해 일어나므로 진화적 변화는 거의 없다. 방향성 선택은 한쪽의 극단값을 나타내는 개체를 선호하는 환경에 의해 일어나며 집단의 평균은 그 극단값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분단성 선택은 양쪽의 극단값을 선호하는 환경에 의해 일어나 둘로 갈라지게 된다.(교과서 491쪽, 그림 18-3)
13. 다음에서 동계교배형 식물의 특징
① 자가화합성이 대부분이다.
② 밀선이 퇴화되거나 결여되었다.
③ 이계교배가 이루어진다.
④ 결실률이 높다.
▶ 주두 선택적이고 자웅이숙이면 자가수분이 안 되므로 이계교배가 이루어진다.(교과서 492~493쪽)
14. 이입잡종이 형성되는 경우 - (A×B)×A
▶ 이입잡종은 종간잡종 F1이 양친의 어느 한쪽 친과 여교배되어 형성된 잡종이다. 여교배를 하면 종간잡종의 임성이 회복되므로 잡종이 생존할 수 있게 된다.(교과서 494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