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목적
2.실험이론
3.실험기구
4.실험방법
5.실험결과
6.고찰
7.출처
2.실험이론
3.실험기구
4.실험방법
5.실험결과
6.고찰
7.출처
본문내용
알코올이 오르내림에 따라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수은온도계보다 감도는 좋으나 끓는점이 낮으므로 비교적 낮은 온도(-78∼78℃)를 측정하는 데 적합하다.
비커
이화학(理化學) 실험용 기구로 액체를 담는 용기이다. 유리, 자기, 철기,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들며 모양에 따라 톨비커, 삼각비커 등이 있다.
고무마개
배출구를 막아 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는 원형이나 구형의 고무 마개이다.
가열기
가열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
스탠드,클램프
스탠드 : 받침대와 봉으로 이루어진 기구. 뷰렛과 플라스크 등의 다양한 실험 장치를 지지한다.
클램프 : 집게에 의해 세움대의 봉에 부착되는 부분. 실험 장치를 죄어 고정시키는 집게도 가지고 있다.
증류수
물을 가열했을 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냉각시켜 정제된 물을 말한다.
얼음
물의 고체상태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끓임쪽
액체를 끓일 때, 액체가 끓는점 이상으로 가열되어서 갑자기 끓어오르는 것을 막기 위해 넣는 돌이나 유리 조각이다. 아주 작은 구멍이 나 있어 기포를 형성해 구멍 밖으로 나오게 하여 돌비현상없이 끓어 오르게 한다.
4. 실험 방법
① 스탬프, 클램프, 교반기, 비커, 온도계를 준비한다.
② 녹은 얼음이 들어있는 비커에 측정되지 않은 온도계를 넣는다.
③ 온도계의 눈금이 0℃를 나타내는지 확인한다.
(총 2회에 걸쳐 확인한다.)
④ 끓고 있는 비커에 온도계를 넣고, 온도를 측정한다.
(어는점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⑤ 미지 시료의 끓는점을 측정한다.
⑥ 보정식을 사용하여 보정값을 구한다.
5. 실험 결과
-. 온도계를 넣기 전 온도 : 16℃
-. 온도계의 눈금이 일정하게 될 때의 온도() : (1차) 0℃ (2차) 0℃
-. 끓는 점이 일정하게 될 때의 온도 : (1차) 91℃ (2차) 92℃
-. 어는 점이 일정하게 될 때의 온도 : (1차) 0℃ (2차) 0℃
-. 미지시료의 끓는 점이 일정하게 될 때의 온도 : (1차)84 ℃ (2차) 84℃
-. 온도계의 보정식
: 관찰된 물의 어는점
:관찰된 물의 끓는점
:읽은 온도
:보정온도
6. 고 찰
처음에는 수은 온도계도 처음 써봐서 온도계 눈금 읽는 것도 헷갈렸다.
가열하면서 생긴 수증기때문에도 더더욱 눈금이 안보여서 고민했는데 눈금이 안보인건 둘째치고
가열기가 고장나서 아예 80℃위로는 온도가 올라가지 않는것을 가지고 한참 고생했다.
계속해서 온도가 올라가지않아서 결국은 가열기를 교환하고 재실험을 하게
비커
이화학(理化學) 실험용 기구로 액체를 담는 용기이다. 유리, 자기, 철기, 폴리에틸렌 등으로 만들며 모양에 따라 톨비커, 삼각비커 등이 있다.
고무마개
배출구를 막아 물이 흘러나오지 않도록 하는 원형이나 구형의 고무 마개이다.
가열기
가열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
스탠드,클램프
스탠드 : 받침대와 봉으로 이루어진 기구. 뷰렛과 플라스크 등의 다양한 실험 장치를 지지한다.
클램프 : 집게에 의해 세움대의 봉에 부착되는 부분. 실험 장치를 죄어 고정시키는 집게도 가지고 있다.
증류수
물을 가열했을 때 발생하는 수증기를 냉각시켜 정제된 물을 말한다.
얼음
물의 고체상태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끓임쪽
액체를 끓일 때, 액체가 끓는점 이상으로 가열되어서 갑자기 끓어오르는 것을 막기 위해 넣는 돌이나 유리 조각이다. 아주 작은 구멍이 나 있어 기포를 형성해 구멍 밖으로 나오게 하여 돌비현상없이 끓어 오르게 한다.
4. 실험 방법
① 스탬프, 클램프, 교반기, 비커, 온도계를 준비한다.
② 녹은 얼음이 들어있는 비커에 측정되지 않은 온도계를 넣는다.
③ 온도계의 눈금이 0℃를 나타내는지 확인한다.
(총 2회에 걸쳐 확인한다.)
④ 끓고 있는 비커에 온도계를 넣고, 온도를 측정한다.
(어는점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⑤ 미지 시료의 끓는점을 측정한다.
⑥ 보정식을 사용하여 보정값을 구한다.
5. 실험 결과
-. 온도계를 넣기 전 온도 : 16℃
-. 온도계의 눈금이 일정하게 될 때의 온도() : (1차) 0℃ (2차) 0℃
-. 끓는 점이 일정하게 될 때의 온도 : (1차) 91℃ (2차) 92℃
-. 어는 점이 일정하게 될 때의 온도 : (1차) 0℃ (2차) 0℃
-. 미지시료의 끓는 점이 일정하게 될 때의 온도 : (1차)84 ℃ (2차) 84℃
-. 온도계의 보정식
: 관찰된 물의 어는점
:관찰된 물의 끓는점
:읽은 온도
:보정온도
6. 고 찰
처음에는 수은 온도계도 처음 써봐서 온도계 눈금 읽는 것도 헷갈렸다.
가열하면서 생긴 수증기때문에도 더더욱 눈금이 안보여서 고민했는데 눈금이 안보인건 둘째치고
가열기가 고장나서 아예 80℃위로는 온도가 올라가지 않는것을 가지고 한참 고생했다.
계속해서 온도가 올라가지않아서 결국은 가열기를 교환하고 재실험을 하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