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 게임절제력 (게임중독탈출법)』 권장희 소장 저 (세바시 강의)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 아이 게임절제력 (게임중독탈출법)』 권장희 소장 저 (세바시 강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들어가며..

Chapter 1.
유년기 게임, 아이의 뇌를 파괴한다.

1. 게임의 역습, 우리 아이 뇌가 위험하다.

-게임 방치하면 마약 중독자의 뇌가 된다?

2. 현금 자동 지급기를 부스는 아이들

3. 미디어 컨트롤에 아이의 미래가 결정된다.

4. 게임에 마음 뺏기면 수업시간 집중을 못한다.
-집중을 원하면 일찍 재워라
5. 더 이상 부모말을 듣지 않는 아이들

-부모 말씀을 듣게 해야
Chapter 2.
아이들은 왜 인터넷 게임에 빠져드는가?

6. 아이템 만능 주의와 득템의 세상

7. 파생파사, 파티에 죽고, 파티에 죽는다.

8. 레벨이 낮으면, 몬스터에게도 무시당한다.

-렙업은 죽음을 이르게 하는 병
9. 가상공간 속에도 인간관계의 법칙이 적용된다.

10. 이벤트는 있어도 공짜는 없다.

11. 폭력과 실상, 전사로 살아가는 아이들
-전두엽 기능 파괴하는 게임

-측두엽, 후두엽 손상 유발


Chapter 3.
진단과 예방 –옆자리에 앉아서 소통하라.

12. 보이지 않는 진짜 위험을 인식하라.
13. 재미의 블랙홀에서 자녀지키기

14. 컴퓨터 위치보다 중요한 것은 부모의 권위이다.
-음란물 노출의 위험성이 얼마나되나?

15. 정체성과 친밀감, 긍정에너지를 먼저 주라.

-자녀의 마음을 채워주라.
16. 영향력은 옆자리에 앉아 소통할 때 생긴다.

17. 소통의 열쇠는 경청에서 시작된다.

Chapter 4.
진단과 예방 –옆자리에 앉아서 소통하라.

18. 절제훈련 목표.임파워먼트(역량강화)
-부모의 힘을 자녀에게 주기

19. 훈련준비, 약속을 분명히 하라.

20. 훈련방법, 벌칙을 활용하라.

21. 훈련동력, 긍정적 가치를 부여하라.

Chapter 5
게임 뇌는 잡고 공부뇌는 키워라.
22. 주도적 역량을 갖춘 아이는 성공한다.

23. 선행학습보다 우리말 다져야 성적 오른다.

- 모국어가 먼저다.

24. 밭을 일군 다음 씨앗을 뿌리는 부모가 되자.

25. 좋은 책을 잘 읽어야 생각의 힘이 자란다.
- 정독습관을 길러다.
26. 정크푸드, 만화 학습서를 치워라

Chapter 6.
부모가 가장 궁금해 하는 질문
27. 게임은 절대 해서는 안되는 것인가?

28. 학습을 목적으로 한 기능성 게임은 해도 될까.

29. 아이가 벌써 중독된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

30. 게임 중독 해결을 위한 제도적인 규제방법은 없나.

31. 인터넷 게임에서 사용하는 용어.


마치며..

본문내용

과 목 :
우리아이 게임 절제력
권장희 소장
소 속 :
교 수 :
학 번 :
제출일 :
이 름 :
들어가며..
우리 아이들이 오염된 바닷물에 죽어가는 철새처럼 얼마나 위험한 곳에 빠져있는지 인식시켜주고, 궁극적으로 그 위험으로부터 벗어나도록 게임 미디어 통제의 주도적 힘을 키워주고자 하는 부모에게 이 책은 유용한 길잡이이다. 자녀들의 행복과 성공을 바란다면, 뇌 신경 세포 시냅스 발달이 활발한 10살, 즉 초등학교 3학년 이전에 아이들에게 게임 미디어 사용 절제력을 확고히 키워주어야 한다. 현명한 부모들은 자녀의 뇌 발달이 굳어지는 10살이전에 게임의 역습을 물리칠 수 있는 만반의 대비를 갖추어야 한다. 이 책이 미디어 역습에 맞서 브레이크를 걸고 자녀를 지키는 힘이 될 것이다.
Chapter 1.
유년기 게임, 아이의 뇌를 파괴한다.
1. 게임의 역습, 우리 아이 뇌가 위험하다.
일본 니혼 대학 뇌신경과학자 모리 아키오 박사는 게임을 할 때 뇌의 구조가 어떻게 부정적으로 변하는 지 연구하여 저서 ‘게임 뇌의 공포’를 통해 일본사회에 경종을 울림으로 세계적으로 명성을 얻었다. 그의 주장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뇌 신경 회로 뉴런을 연결하는 시냅스는 보통 10세 이전 대부분 형성되기에 이 시기에 게임을 접하게 되는 아이의 경우, 시냅스가 영상을 통하여, 게임 뇌의 신경회로 때문에 커서도 게임을 그만두고 싶어도 그렇게 할 수가 없다. 게임을 하는 것이 본능처럼 굳어져서 게임을 할 수 밖에 없도록 오래된 뇌가 작용하는 것이다. 게임을 시작하게 되면, 도파민이 분비되면서 잠깐 동안 쾌감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반복적으로 게임을 하게 되면, 도파민 분비도 원할치 않고 즐겁다는 기분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왜냐하면 시냅스의 반복 자극으로 인해 습관적으로 게임을 할 수 밖에 없도록 뇌신경회로가 굳어져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10세 이전 게임에 깊숙이 빠져든 아이들은 눈 앞에 게임기가 놓여있으면, 시냅스가 이미 습관으로 굳어져있기 때문에 즐거움을 느끼는 단계를 넘어서 관성적으로 게임을 하지 않고는 못 배기는 것이다. 유아기에 게임을 시작해서 게임 중독이 된 사람과 어른이 된 후에 재미삼아 게임을 하는 사람은 뇌 신경회로부터가 다르다. 성인이 된 뒤에 게임을 시작한 사람은 게임을 끊으려고만 하면 노력여하에 따라서 얼마든지 끊을 수 있다. 하지만, 어려서부터 게임을 시작한 사람은 끊고 싶어도 끊을 수가 없다. 이미 중독 증세가 심각하다는 얘기다.
-게임 방치하면 마약 중독자의 뇌가 된다?
뇌의 시냅스가 활발하게 형성되는 영, 유아기, 아동기에 지나치게 게임과 같은 자극적 영상매체에 노출되면 아이의 뇌는 점점 익숙한 자극만 찾게 되어 게임에 집착하게 된다. 게임을 할때에는 즐겁지만, 책을 읽거나 운동을 하거나 일상의 책임 있는 삶에는 흥미가 떨어지게 된다. 이 방향으로는 뇌의 시냅스 형성이 약하기 때문이다. 게임은 단지 오락이 아니라 게임에 깊숙이 빠지게 되면 결국 게임밖에 할 수 없는 뇌를 만들게 되는 일종의 ‘마약’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2. 현금 자동 지급기를 부스는 아이들
하루 종일 아빠 주머니 속에 있는 스마트 폰에 대한 갈망을 가지고 시간을 보내고 있는 일곱 살 짜리가 이대로 5년 후 열 두 살이 되었을 때 어떤 일이 벌어질까? 그의 뇌는 게임에만 반응하는 게임 뇌로 변하게 될 것이고, 모든 관심은 온통 게임에만 집중하게 될 것이다. 그때 가서 뒤 늦게 아이를 교정하려고 해도, 쉬운 일이 아니다. 뇌를 바꿔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3. 미디어 컨트롤에 아이의 미래가 결정된다.
교육 방송의 다큐프라임‘ 아이의 사생활’도덕성이란 프로그램에서 흥미로운 실험을 하였다. 일곱 살 아이들 세 그룹으로 나눈뒤 서로 각각 다른 영상을 보여주었다. 한 가운데 커다란 인형이 놓여있는 동일한 방에 어른 한 사람이 들어간다. 이어 인형을 사랑하고 쓰다듬는 행동의 영상, 두 번째 인형을 때리고 공격하는 행동의 영상, 끝으로 인형에게 무관심한 행동의 영상을 각각 보여주었다. 영상을 보여준 후 아이들이 차례로 영상에서 보았던 것과 동일한 방에 들어가게 하였다. 이 아이들은 영상에서 본 대로 방안의 책이나 다른 물건에 관심을 보였다. 아이들이 방에 들어가 행동을 하기 전에 각각 본 것이 달랐기 때문이다.
아이들이 폭력적인 말을 하거나, 다른 친구들에게 거칠게 대하고, 친구들을 밀거나 때리거나 하는 행동을 할 때, 이제 부모들은 자녀들이 무엇을 보았는지 깊이 생각해야한다. 아이들은 텔레비전이나 컴퓨터앞에 앉아서 부모가 의도하지 않은 비행행동의역할 모델을 보면서, 성장해가고 있다. 영상에 나오는 그것을 학습하는 셈이다.
2007년 서울대 국어교육과에서 ‘청소년들의 욕실태’를 조사했다. 우리나라 중학생의 97%가 일상언어 중에 욕을 섞어 사용하고 있었다. 또 다른 조사에서는 초등학교 5,6학년 중 96.6%가 평소욕을 사용하고 있었다(2009.3.8. 방영 kbs스페셜, 10대 욕에 중독되다). 욕은 남을 격려하거나, 칭찬할 때 나오는 것이 아니다. 말로써, 상대방을 죽이는 것이 욕이다. 96.6%의 초등학생들이 그들의 입을 통해 죽이는 기운을 내뿜고 있는 셈이다.
하루 중 숨을 쉬는 것 다음으로 우리가 많이 하는 것이 바로 말이다. 그래서 필자는 공기는 산소와 질소, 그리고 말로 구성되어있다고 주장한다. 왜 이렇게 청소년들이 말을 할 때 욕을 하게 되었는가? 얼마전 kbs 스페셜에서는 청소년들의 욕 문화를 다르면서 그 원인을 피씨방에서 찾아냈다. 피씨방을 가득 메운 청소년들이 게임을 하면서 총과 칼을 이용해 사람을 죽이면서 쉴새없이 욕을 내
  • 가격3,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5.04.17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43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