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세전젱
1) 30년 전쟁
2)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3) 7년 전쟁
2. 나폴레옹 전쟁
1) 프랑스 혁명(178 9)과 전쟁의 성격 변화
2) 나폴레옹 전쟁
3) 나폴레옹 유산
3. 제1차세계대전
1) 최초의 세계대전
2) 시대적 배경
3) 전쟁원인
4) 전쟁의 경과
5) 전쟁의 교훈
6) 전후 세계질서의 재편
4. 제2차세계대전
1) 연합국 입장에서 2개의 분리된 전쟁
2) 세계 정세
3) 독일 전쟁준비(Seeckt의 비밀 재군비)
4) 유럽 전역 주요 전투
5) 태평양 전쟁
6) 전쟁의 교훈 및 영향
5. 베트남 전쟁
1) 프랑스의 베트남 지배 및 월맹의 저항
2) 프랑스 개입(1945.9 ∼ 1954. 7)
3) 미국 개입(1954.8 ∼ 1973. 1)
4) 전쟁 분석
5) 전쟁 휴유증
6) 한국군 참전
1) 30년 전쟁
2)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3) 7년 전쟁
2. 나폴레옹 전쟁
1) 프랑스 혁명(178 9)과 전쟁의 성격 변화
2) 나폴레옹 전쟁
3) 나폴레옹 유산
3. 제1차세계대전
1) 최초의 세계대전
2) 시대적 배경
3) 전쟁원인
4) 전쟁의 경과
5) 전쟁의 교훈
6) 전후 세계질서의 재편
4. 제2차세계대전
1) 연합국 입장에서 2개의 분리된 전쟁
2) 세계 정세
3) 독일 전쟁준비(Seeckt의 비밀 재군비)
4) 유럽 전역 주요 전투
5) 태평양 전쟁
6) 전쟁의 교훈 및 영향
5. 베트남 전쟁
1) 프랑스의 베트남 지배 및 월맹의 저항
2) 프랑스 개입(1945.9 ∼ 1954. 7)
3) 미국 개입(1954.8 ∼ 1973. 1)
4) 전쟁 분석
5) 전쟁 휴유증
6) 한국군 참전
본문내용
정이 되어 시에예스 무리를 억제한 나폴레옹은 1804년 제정을 통해 스스로 황제로 즉위하여 나폴레옹 전쟁 돌입
마렝고 전역
나폴레옹이 통령으로서 지휘한 최초 독립 전투, 알프스를 횡단하여 오스트리아, 멜라스 섬멸전 성공, 1802년 루네빌 조약체결, 전쟁결과 나폴레옹의 지위 확보 및 황제의 자리 제공
울름 전역
1805년 대불작전 준비 중인 오스트리아, 러시아를 타파하기 위해 나폴레옹의 최대 전역인 올름 전역 전개, 신속한 기동으로 라인강을 도강하여 격파한 전략적 대우회기동의 대표적인 전투
예나 전역
프러시아가 독일, 영국의 지원하에 1806년 개전하였으나 패배, 러시아 및 프러시아와 휴전제의를 체결하면서 나폴레옹의 권위는 절정을 이루었으나,
스페인의 무장시민들과 게릴라전, 1812년의 러시아 원정 시 대 육군이 큰 피해를 보아 회복이 되지 못 하였으며, 1813년에 라이프치히에서 대프랑스 동맹군에게 패배 1814년 황제 폐위되고 엘바 섬으로 유배
동맹국들은 루이 18세를 황제로 봉하였으나 무능하고 반동적인 정책으로 자유와 권리로 계몽된 국민들은 왕조에 불만을 품고 나폴레옹을 숭배
1815년 유배지 엘바 섬 탈출, 루이 왕조는 영국 탈출, 국민의 환영으로 파리 무혈 입성하였으나, 동맹국은 나폴레옹에게 대항.
1815년 영국의 웰링턴 장군과 프러시아의 블뤼헤르 장군이 이끄는 연합군과 워털루 전투에서 패배하여 귀국, 아들 나폴레옹 2세를 황제로 선언하고 은퇴하였으나, 영국에 구속되어 세인트 헬레나 섬 유배 중 1821년 사망
3) 나폴레옹 유산
유럽은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에 걸쳐 많은 국가들이 봉건적 체제를 타파하고 광범위한 지역적 기초에 근대적 국가로 형성되었는데, 선봉이 프랑스 혁명이었으며 이를 확립한 것이 나폴레옹 전쟁
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가이며, 프랑스 황제로, 프랑스 혁명 후, 도덕, 군사 정치적으로 패닉 상태에 빠진 프랑스에 절대 권력을 통해 프랑스 사회의 대변혁 추구
유럽 전체에 헤게모니를 형성했고, 프랑스 대혁명의 이상을 확산하였다. 이전 정권의 양상을 복원하는 제국 군주제를 통합하였고. 교육개혁, 종교의 자유, 문화, 법률 등 오늘날 프랑스의 초석을 남긴 인물로 국가를 움직이는 모든 장치를 재정비하고 위대한 프랑스를 만들기 위해 매진하였다. 지난 세기 프랑스 위인열전에서 항상 1등 자리를 고수한 위대한 인물로 평가
나폴레옹은 대혁명의 원칙과 성문법, 관습법에서 보존해야 할 부분들을 프랑스 민법전(나폴레옹 법전)으로 만들어 오늘날까지도 통용되고 있으며,
봉건귀족의 기득권을 폐지, 모든 시민에게 동등한 기회를 주어 활발한 경제활동의 기반을 마련해주었다. 화폐와 도량형의 통일로 경제적 통일 기반을 구축하고, 은행설립, 교통망 정비, 관세제도 도입 및 보호무역과 군수품 수요 증가로 산업발전 이룩
나폴레옹시대 이후 유럽 질서는 영국, 프랑스, 오스트리아, 러시아 등 강대국이 한 국가의 지배적인 우위를 인정하지 않고 힘의 균형 유지
3. 제1차세계대전
1) 최초의 세계대전
1914. 7 ∼ 1918. 11, 32개국이 참전
급속한 경제성장을 배경으로 세계질서의 재편을 원하는 독일, 오스트리아 등 동맹국과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 협상국(연합국)간 일어난 최초의 세계대전
독가스, 전투기, 전차 등 신무기가 등장한 총력전, 연합국이 승리하였으며, 전후 유럽의 경제 몰락과 세계질서가 바뀌는 결과 초래
2) 시대적 배경
독일의 팽창정책
빌헬름 2세(1888~1918) 즉위 후 애국적 팽창주의는 유럽판도 변화
러시아 3제동맹(독, 오, 러) 재보장 거부
독일과 러시아의 동맹 단절은 프랑스 고립 탈피, 러시아와 비밀 군사조약 제결(1894)
러시아 1917년 3월 혁명으로 로마노프 왕조 몰락, 11월 혁명으로 레닌이 정권 장악
독일의 해군력 확장은 영국과 갈등 초래, 근동정책은 영국과 러시아를 자극,해외 식민지 관심은 영국과 3B정책(베를린-비잔티움-바그다드)과 3C(캘커타-카이로-케이프타운)정책 심각하게 대립
영국 동맹 필요성 인지 프랑스(1904), 러시아(1907) 와 삼국협상, 삼국동맹(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이탈리아)과 대립 불가피
정치적으로 민족주의 문제,
민족주의는 프랑스에서 시작되었으나, 발칸반도 민족국가형성을 위한 노력 중 러시아의 범슬라브주의와 오스트리아의 범게르만주의 대립, 프랑스의 독일에 대한 반감, 알사스 로렌 지역 회복 희망
일본 1902년 영국과, 1907년 프랑스, 러시아와 각각 협상
3) 전쟁원인
사라예보의 촉발 사건으로 전쟁 시작
1914. 6.28 오스트리아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부부가 보스니아 수도 사라예보에서 세르비아인에게 살해,
독일 빌헬름 황제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지원(백지수표-외교의 실책) * 개인적인 윤리의식과 정치적 판단의 혼돈
오스트리아 요제프 황제의 최후통첩 * 전쟁의 패배, 건강문제, 불행한 가족사 등 무기력한 왕으로 평가
* 세르비아 주권을 폐기하는 최후통첩으로 외교단절
7.28일 오스트리아가 세르비아에 선전포고
7.30일 독일의 러시아 개입억제 실패, 러시아 총동원령 선포
독일은 8.1일 러시아, 8.3일 프랑스에 선전포고 및 8.4일 벨기에 침공
영국은 8.4일 반 독일 정책과 러시아 동원령으로 독일에 선전포고
4) 전쟁의 경과
1) 독일의 작전적 승리, 전략적 패배
슐리펜 계획 : 동 서 양면의 효율적 전투 대비
오스트리아의 지원을 받는 최소한의 병력으로 동쪽 러시아 군을 저지하면서 서쪽 프랑스를 먼저 공격, 단기 결전을 위하여 메츠 남방에서는 전략적으로 후퇴하고, 경미한 저항지역인 프랑스 좌익으로 병력을 집중하여 우회 포위하는 작전으로 6주안에 괴멸시킨 후 러시아를 공격한다는 대담한 구상
초기 국경선 전투는 유리하게 전개되었으나, 독일의 실책과 영국, 프랑스의 반격 성공으로, 마른 전투 결과 전선은 스위스에서 북해까지 연장되어 지구전 초래
동부전선에는 힌덴부르크, 루덴도르프장군, 호프만 중령 등 뛰어난 군사전략가들이 탄넨베르크 섬멸전등 탁월한 전투수행, 러시아군 약 200만명 손실 등 성공적인 작전이었으나, 전략적으로 양면전쟁 및 900키로의 광대한 전선유지의 어려움 직면
베르
마렝고 전역
나폴레옹이 통령으로서 지휘한 최초 독립 전투, 알프스를 횡단하여 오스트리아, 멜라스 섬멸전 성공, 1802년 루네빌 조약체결, 전쟁결과 나폴레옹의 지위 확보 및 황제의 자리 제공
울름 전역
1805년 대불작전 준비 중인 오스트리아, 러시아를 타파하기 위해 나폴레옹의 최대 전역인 올름 전역 전개, 신속한 기동으로 라인강을 도강하여 격파한 전략적 대우회기동의 대표적인 전투
예나 전역
프러시아가 독일, 영국의 지원하에 1806년 개전하였으나 패배, 러시아 및 프러시아와 휴전제의를 체결하면서 나폴레옹의 권위는 절정을 이루었으나,
스페인의 무장시민들과 게릴라전, 1812년의 러시아 원정 시 대 육군이 큰 피해를 보아 회복이 되지 못 하였으며, 1813년에 라이프치히에서 대프랑스 동맹군에게 패배 1814년 황제 폐위되고 엘바 섬으로 유배
동맹국들은 루이 18세를 황제로 봉하였으나 무능하고 반동적인 정책으로 자유와 권리로 계몽된 국민들은 왕조에 불만을 품고 나폴레옹을 숭배
1815년 유배지 엘바 섬 탈출, 루이 왕조는 영국 탈출, 국민의 환영으로 파리 무혈 입성하였으나, 동맹국은 나폴레옹에게 대항.
1815년 영국의 웰링턴 장군과 프러시아의 블뤼헤르 장군이 이끄는 연합군과 워털루 전투에서 패배하여 귀국, 아들 나폴레옹 2세를 황제로 선언하고 은퇴하였으나, 영국에 구속되어 세인트 헬레나 섬 유배 중 1821년 사망
3) 나폴레옹 유산
유럽은 18세기 말부터 19세기 초에 걸쳐 많은 국가들이 봉건적 체제를 타파하고 광범위한 지역적 기초에 근대적 국가로 형성되었는데, 선봉이 프랑스 혁명이었으며 이를 확립한 것이 나폴레옹 전쟁
프랑스의 군인이자, 정치가이며, 프랑스 황제로, 프랑스 혁명 후, 도덕, 군사 정치적으로 패닉 상태에 빠진 프랑스에 절대 권력을 통해 프랑스 사회의 대변혁 추구
유럽 전체에 헤게모니를 형성했고, 프랑스 대혁명의 이상을 확산하였다. 이전 정권의 양상을 복원하는 제국 군주제를 통합하였고. 교육개혁, 종교의 자유, 문화, 법률 등 오늘날 프랑스의 초석을 남긴 인물로 국가를 움직이는 모든 장치를 재정비하고 위대한 프랑스를 만들기 위해 매진하였다. 지난 세기 프랑스 위인열전에서 항상 1등 자리를 고수한 위대한 인물로 평가
나폴레옹은 대혁명의 원칙과 성문법, 관습법에서 보존해야 할 부분들을 프랑스 민법전(나폴레옹 법전)으로 만들어 오늘날까지도 통용되고 있으며,
봉건귀족의 기득권을 폐지, 모든 시민에게 동등한 기회를 주어 활발한 경제활동의 기반을 마련해주었다. 화폐와 도량형의 통일로 경제적 통일 기반을 구축하고, 은행설립, 교통망 정비, 관세제도 도입 및 보호무역과 군수품 수요 증가로 산업발전 이룩
나폴레옹시대 이후 유럽 질서는 영국, 프랑스, 오스트리아, 러시아 등 강대국이 한 국가의 지배적인 우위를 인정하지 않고 힘의 균형 유지
3. 제1차세계대전
1) 최초의 세계대전
1914. 7 ∼ 1918. 11, 32개국이 참전
급속한 경제성장을 배경으로 세계질서의 재편을 원하는 독일, 오스트리아 등 동맹국과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 협상국(연합국)간 일어난 최초의 세계대전
독가스, 전투기, 전차 등 신무기가 등장한 총력전, 연합국이 승리하였으며, 전후 유럽의 경제 몰락과 세계질서가 바뀌는 결과 초래
2) 시대적 배경
독일의 팽창정책
빌헬름 2세(1888~1918) 즉위 후 애국적 팽창주의는 유럽판도 변화
러시아 3제동맹(독, 오, 러) 재보장 거부
독일과 러시아의 동맹 단절은 프랑스 고립 탈피, 러시아와 비밀 군사조약 제결(1894)
러시아 1917년 3월 혁명으로 로마노프 왕조 몰락, 11월 혁명으로 레닌이 정권 장악
독일의 해군력 확장은 영국과 갈등 초래, 근동정책은 영국과 러시아를 자극,해외 식민지 관심은 영국과 3B정책(베를린-비잔티움-바그다드)과 3C(캘커타-카이로-케이프타운)정책 심각하게 대립
영국 동맹 필요성 인지 프랑스(1904), 러시아(1907) 와 삼국협상, 삼국동맹(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이탈리아)과 대립 불가피
정치적으로 민족주의 문제,
민족주의는 프랑스에서 시작되었으나, 발칸반도 민족국가형성을 위한 노력 중 러시아의 범슬라브주의와 오스트리아의 범게르만주의 대립, 프랑스의 독일에 대한 반감, 알사스 로렌 지역 회복 희망
일본 1902년 영국과, 1907년 프랑스, 러시아와 각각 협상
3) 전쟁원인
사라예보의 촉발 사건으로 전쟁 시작
1914. 6.28 오스트리아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부부가 보스니아 수도 사라예보에서 세르비아인에게 살해,
독일 빌헬름 황제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지원(백지수표-외교의 실책) * 개인적인 윤리의식과 정치적 판단의 혼돈
오스트리아 요제프 황제의 최후통첩 * 전쟁의 패배, 건강문제, 불행한 가족사 등 무기력한 왕으로 평가
* 세르비아 주권을 폐기하는 최후통첩으로 외교단절
7.28일 오스트리아가 세르비아에 선전포고
7.30일 독일의 러시아 개입억제 실패, 러시아 총동원령 선포
독일은 8.1일 러시아, 8.3일 프랑스에 선전포고 및 8.4일 벨기에 침공
영국은 8.4일 반 독일 정책과 러시아 동원령으로 독일에 선전포고
4) 전쟁의 경과
1) 독일의 작전적 승리, 전략적 패배
슐리펜 계획 : 동 서 양면의 효율적 전투 대비
오스트리아의 지원을 받는 최소한의 병력으로 동쪽 러시아 군을 저지하면서 서쪽 프랑스를 먼저 공격, 단기 결전을 위하여 메츠 남방에서는 전략적으로 후퇴하고, 경미한 저항지역인 프랑스 좌익으로 병력을 집중하여 우회 포위하는 작전으로 6주안에 괴멸시킨 후 러시아를 공격한다는 대담한 구상
초기 국경선 전투는 유리하게 전개되었으나, 독일의 실책과 영국, 프랑스의 반격 성공으로, 마른 전투 결과 전선은 스위스에서 북해까지 연장되어 지구전 초래
동부전선에는 힌덴부르크, 루덴도르프장군, 호프만 중령 등 뛰어난 군사전략가들이 탄넨베르크 섬멸전등 탁월한 전투수행, 러시아군 약 200만명 손실 등 성공적인 작전이었으나, 전략적으로 양면전쟁 및 900키로의 광대한 전선유지의 어려움 직면
베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