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Chapter 11. 위장관계 간호 파트 정리 {위장관의 건강과 질병, 위장관장, 위장관삽관과 특별영양관리, 위장장애 염증성⋅감염성 질환 소장과 대장장애 직장과 항문장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Chapter 11. 위장관계 간호 파트 정리 {위장관의 건강과 질병, 위장관장, 위장관삽관과 특별영양관리, 위장장애 염증성⋅감염성 질환 소장과 대장장애 직장과 항문장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Chapter 11. 위장관계 간호



Ⅰ 위장관의 건강과 질병
 위장계
 위장관의 구조와 기능
 1. 구강
 2. 식도
 3. 위
 4. 소장
 5. 대장

Ⅱ 위장관장애 대상자를 위한 간호과정
 2. 객관적자료

Ⅲ 위장관삽관과 특별영양관리
 위장관 삽관
 1. 비위관
 2. 비장관
 3. 비위관과 비장관 삽입 대상자 간호
 비위관과 비장관을 통한 영양 공급
 총비경구영양법(TPN)
 구강과 식도장애
 식도장애

Ⅳ위장장애
 여러요인에 의한 장애
 1. 소화성 궤양
 2. 기타 궤양성 장애
 3. 상부 위장관 출혈

Ⅴ염증성⋅감염성 질환
 1. 위염

Ⅵ 소장과 대장장애
 여러 요인에 따른 장애
 1. 탈장
 2. 장 게실증
 3. 자극성 장 증후군
 4. 하부 위장관 출혈
 염증성⦁감염성 장애
 1. 충수염
 3. 복막염
 4. 염증성 장질환
 신생물과 폐색성 장애
 1. 장폐색
 2. 용종
 3. 결장과 직장의 암

Ⅶ 직장과 항문장애
 치질과 치열

본문내용

(복압상승의 결과, 비만)
(5) 절개 또는 복측탈장 : 이전의 수술절개부위, 치유가 부적절, 상처감염, 영양부적절, 비만
(1) 환원성탈장 : 탈장 낭의 내용물이 조작에 의해 복강 내 제자리로 되돌아감
(2) 비환원성 또는 감돈탈장 : 탈장 낭의 내용물이 촉진에 의해 되돌아 갈수 없다. -> 치료 안하면 염전이 생김
- 복벽을 통해 장의 일부가 돌출된 것
2) 원인
- 복벽약화 : 질병이나 노화과정으로 인해
- 복압증가 : 임신, 비만, 기침, 대채기, 무거운것들어울릴때, 변비,배변시 긴장등
3) 임상증상
- 신체검진시 복부가 돌출된것을 관찰, 덩어리 촉진시 유연하고 아픔. 긴장이나 힘주면 탈장이 커지고 압통호소.
4) 합병증
- 감돈, 염전 : 심한 통증, 오심, 구토, 발열을 동반
6) 치료와 간호
(1) 내과적 관리 : 복압 증가시키는 활동 피함. 변완화제와 고섬유식이 섭취, 활동할 때 탈장대 착용. 탈장을 손으로 눌러 복강내로 밀어넣어 일시적으로 환원. 긴장과 신전을 피하도록 함. 체중증가 피함
(2) 외과적 관리 : 탈장봉합술
- 복강경수술. 개복술. 탈장성형술
- 합병증 : 출혈, 감염, 남자(고환이나 정관에 혈액공급 안될수 있음), 배뇨곤란
- 수술후 간호 : 복강경 수술 후 3~5시간내에 퇴원
전신마취 한 경우 폐확장 촉진하기 위해 심호흡과 기침, 체위변경 자주 함
음낭부종과 통증 -> 음낭 지지 얼음주머니 대줌, 음낭을 올려주면 부종조절 예방.
조기이상은 안위를 돕고 수술후 합병증의 위험 감소
수술직후 배뇨곤란 -> I&O check
2주동안 힘주거나 무거운 물건 들어올리는것, 급격히 페달 밟아야 하는 것 피함
고섬유식이 섭취
2. 장 게실증
1) 정의
- 소장이나 대장의 근층을 통해 점막이 탈출하거나 주머니(게실)을 형성한 것
- 게실염 :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게실에 염증이 발생한 것. 소화가 안된 음식물이나 세균이 게실내에 정체되어 발생
2) 원인
- 장내압력증가 -> 노화, 비만, 만성변비, 배변시 긴장등으로 장근육이 위축되거나 약해짐
- S자 결장에서 흔히 발생하는데 직장으로 변을 밀어내기 위해 이곳에 높은 압력이 발생
3) 임상증상
- 증상업음.
- 염증 정도와 부위에 따라 오심, 구토, 좌측하복부 통증, 장 습관의 변화, 심한 위장 내 공기 축적, 복부팽만증, 발열
- 누공 : 장, 방광, 요도, 질, 복벽, 회음부 사이에 형성
4) 진단검사
- 바륨검사로 확인 -> 급성 게실염은 천공될수 있기 때문에 금기
- 직장출혈있는 경우 급성기가 지난다음 종양 유무 확인하기 위해 대장경 검사 실시
5) 치료
(1) 내과적관리
- 90%는 내과적으로 치료.
- 치료의 목적 : 결장을 쉬게 하는것
- 금식(TPN 시행)이나 저잔유식이를 제공, 장폐색있느면 장내의 암력을 감소시키기위해 비위간 삽입
- 광범위항생제 투여,
- 통증에는 경한 진통제 투여. 통증심할 경우 morphine이나 Demerol 투여
(2) 수술요법
- 결장루를 만들거나 결장을 절제
6) 간호
- 합병증 관찰에 초점( 천공, 근육비후와 폐쇄, 출혈, 결장 주위 농양, 방광결장루)
- 변완화제는 장운동 증가, 관장은 장내압 증가시키므로 피함
- 급성기에 복압상승될수있으므로 침상안정, 무거운것 드는것, 힘주는것 기침, 허리 굽히는 등의 활동피함
- 회복후 고섬유소 식이와 고잔유식이 시작. 차전자와 같은 변완하제를 복용
3. 자극성 장 증후군
1) 정의
- 가장 흔한 장 기능질환으로 기질적 원인을 확인할 수 없는 운동성 장애
- 자극성 결장, 기능적 설사, 경련성 결장염, 점액성 결장염등. 여성 20~30대에 흔히 발생
2) 원인
- 유전, 스트레스, 자극적인 음식, 알코올, 흡연, 신경정신자극, 감염, 혈관성, 대사성 장애등이 관련
3) 임상증상
- 복통을 동반할 수있으며 변비와 설사가 나타남
- 복통과 관련된 변비
- 흔히 무통성의 지속성 설사
- 만성적, 스트레스로 유발.
- 설사는 흔히 아침에 나타남, 대변검사에서 혈액, 농, 지방과다, 기생충,충란등은 음성으로 나타남
4) 치료와 간호
- 식이조절 : 지방식, 가스형성식품 히팜. 술담배 금함. 고섬유성 식이
- 투약 : 변완화제, 항경련제, 지사제, 항운동성 제제
- 건강증진 : 적당한 휴식, 스트레스 관리,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
4. 하부 위장관 출혈
1) 정의
- 공장, 회장, 결장, 직장에서의 출혈
2) 원인
- 치질, 치열, 직장누공, 직장항문염, 장암, 용종, 감염성 설사, 염증성 장질환, 허혈성 대장염, 장 게실증, 외상, 결장 혈관성장애, 반사선으로 인한 장 합병증등
3) 임상증상
- 혈변배설 (-> 혈액상실 지속시 철분결핍성 빈혈, 잠혈, 저혈량성 쇼크초래)
- 복부통증, 경련, 복부 팽만, 설사
4) 치료
- 목표 : 치료의 원인 파악, 지혈과 쇼크 예방
- 심한 출혈 멈추기 위해 vasopressin을 주입하거나 색전형성을 시행한후 혈관조영술 적용
- 감압을 위해 비위관삽입 -> 쇼크 징후있을시 찬 생리식염수 세척하지 않음
- 수분과 전해질 균형 주의깊게 관찰
- I&O check 하고 소변검사
염증성감염성 장애
1. 충수염
1) 원인
- 원발성 염증과정에 따른 폐색, 부종, 분석의 형성, 이물질이나 기생충, 감염과정으로 인한 림프조직의 비대
2) 임상증상
- 통증, 발열, 식욕부진, 오심, 구토
- McBurney지점에서 반동성 압통(손을 뗄떼 나타나는 통증)
- Rovsing 징후 : Mcburney지점과 대칭적인 복벽(LLQ)에서 압력을 가하면 RLQ에서 통증느낌
- 얕은 호흡과 판자같이 단단한 복부 hkr인. 직장이나 질검신시에도 통증호소
3) 합병증
- 충수의 파열에 따른 복막염
- 충수와 방광, 소장, S자결장, 맹장사이에서 누공이 발생
- 유착되어 폐색을 일으킴
4) 치료
(1) 내과적관리 :
- 금식, 정맥내로 수액공급
- 관장과 하제 염증부위 자극해 천공유발
- 항생제는 정맥내로 투여
- 진통제는 증상을 은폐시키기 때문에 확진후 사용
(2) 외과적관리
- 충수 절제술 : 복강경이나 복부절개를 통해 충수돌기 제거. 합병증은 천공으로 인한 복막염
4) 간호
┌ 수술전 :
  • 가격4,000
  • 페이지수40페이지
  • 등록일2015.04.21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47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