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목차
1) 현병력
○ 과거력
○ 입원일- 사정 전
○ 사정당시
2) 자료수집
(1) 인적사항
(2) 간호 사정
A. 문진
B. 신체검진
3) 관련 기록자료 사정
(1) 대상자의 약물요법
(2)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5) 기타혈액검사
(6) 기타진단검사
4) 대상자의 질병 Study
B.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우선순위 별)
(2) 간호과정 기록1
(2) 간호과정2
○ 과거력
○ 입원일- 사정 전
○ 사정당시
2) 자료수집
(1) 인적사항
(2) 간호 사정
A. 문진
B. 신체검진
3) 관련 기록자료 사정
(1) 대상자의 약물요법
(2)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
(5) 기타혈액검사
(6) 기타진단검사
4) 대상자의 질병 Study
B.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우선순위 별)
(2) 간호과정 기록1
(2) 간호과정2
본문내용
하는 등 신중히 투여한다.(주로 신장으로 배설되지만, 고령자에는 신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수가 많아 혈중 농도가 유지될 우려가 있다.)
개개의 기관계용 의약품 > 호흡기관용약 > 진해거담제
-진해거담제&기침감기약
로이솔주사액
[ Roisol Injection ]
1회 15 mg 1일 3회 정맥주사
11/11~
용해성 거담제로 bromhexine의 활성형 대사체로서 작용기전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나 기관지 분비물의 양을 증가시키고 점도를 감소시킨다고 여겨진다.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리엘 증후군, 소화기계 : 때때로 소화불량, 구역, 구토, 가슴쓰림, 구강건조, 과민증
앰플주사제는 용기 절단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유리파편 혼입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 사용하되 특히 어린이, 노약자 사용시에는 각별히 주의할 것, 두통, 다리의 통증, 극도의 피로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천천히 주사한다
대사성 의약품 > 혈액 및 체액용약 > 혈액응고저지제
-항응고제
크렉산주40mg
[ Clexane Injection 40mg ]
피하주사
20 mg(0.2 mL), 1일 1회 투여
11/10~
혈액의 응고 작용을 억제하여 혈전 생성을 저하시킴으로써 혈전색전증(뇌졸증, 협심증 등)을 예방한다. enoxaparin sodium은 돼지 장점막으로부터 얻은 헤파린의 알칼린 분해물로서, 분자량3500~5500인 LMW-헤파린이다. AntithrombinⅢ의 작용을 강화하여(Ⅸ, Ⅹ, , , plasmin뿐아니라) thrombin을 불활성화시킨다. 헤파린과 마찬가지로 antithrombinⅢ의 작용을 증강시키나 antifactorⅩa/antifactorⅡa의 비가 높은 특성을 지닌다.
출혈, 혈소판 감소증, 국소반응, 두드러기, 가려움, 홍반, 설사, 구역
복벽의 전측면 또는 후측면의 피하조직에 좌우측을 번갈아가면서 주사한다.
일반외과 수술시에는 수술 약 2시간 전에 초회 주사하여야 한다.
항병원생물성 의약품 > 항생물질제제 >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2세대 세팔로스포린계
야마테탄주1g [Yamatetan Injection 1g]
1일 1~2g을 2회 생리식염주사액에 녹여 천천히 주사
11/10~
Cefotetan, cefmetazole과 함께 cephamycin으로 분류되는 2세대로 cephalosporin계 항생제이다. 1세대보다 확장되어 그람 양성, 음성균에 살균효과가 있으며 특히, Bacteroidse fragilis를 포함한 혐기성 세균에 강력한 살균효과가 있다. 포도상 구균과 연쇄상구균에 대한 효과는 1세대보다 약하다. 여러 가지 penicillin-결합단백에 결합하여 세균 세포벽의 peptidoglycan 합성의 마지막 transpeptidation 단계를 억제함으로써 세균의 세포벽합성을 저해한다. 세포벽 형성이 차단되면 세포벽의 자가분해효소의 활성에 의해 결국에는 세포가 용해된다.
쇽, 가려움, 발진, 홍반, 두드러기, 아나필락시스 반응, BUN상승, 혈중크레아티닌 상승, 핍뇨, 혈뇨, 단백뇨, 용혈성 빈혈, 빈혈, 혈소판 감소, 호산구 증가, 백혈구 감소, 설사, 구역, 구토, 발열, 기침, 호흡곤란
음주에 의해 안면홍조, 심계항진, 두통, 구역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투여기간 중 및 투여 후 적어도 1주일간 음주를 피하도록 교육한다.
비타민 K 결핍에 의한 출혈경향이 나타날 수 있음에 교육한다.
-개개의 기관계용 의약품 > 소화기관용약 > 기타의 소화기관용약
-위장운동 조절 및 진경제
맥페란주사액2mL [Macperan Injection 2ml]
정맥주사
2ml
1일 3회
11/11~
metoclopramide로 CNS의 chemoreceptor trigger zone에서 도파민을 차단하여 구토를 억제하고 위장관 운동을 촉진한다.
쇽, 아나필락시스, 구토, 오심, 설사, 운동마비, 심한 근육강직, 연하곤란, 실어증, 빈맥, 혈압변화, 발한
비록 구토 또는 용량 거부가 있었더라도, 투여간격은 적어도 6시간 이상이 권장된다.
신경계감각기관용 의약품 > 중추신경계용약 > 해열, 진통, 소염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트롤락주 [Trolac Injection]
정맥주사 1일 3회10mg
11/11~
강력한 진통효과를 가진 acetic acid계 nsaids로 말초성 prosraglandin의 합성을 억제한다. ketorolac tromethamine은 cyclo-oxygenase의 활성을 감소시켜 prostaglandin의 합성을 차단함으로써 prostaglandin의 전구체 생성이 감소한다.
구역, 소화불량, 위장관통증, 설사, 때때로 변비, 복부팽만감, 구토, 전신증상, 부종, 아나필락시스, 저혈압, 고협압, 심계항진, 홍조, 발진, 두드러기, 출혈, 혈소판 감소증
투여기간은 2일을 초과하지 않는다. 매일 세잔 이상 정기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이 약이나 다른 해열진통제를 복용 시 위장출혈이 유발될 수 있다.
개개의 기관계용 의약품 > 순환계용약 > 혈압강하제
-칼슘채널길항제
암로디핀정5mg [Amlodipine Tab. 5mg]
1일 1회 5mg을 경구투여
11/10~
칼슘이온이 slow channel에 들어가는 것을 저해하거나 탈분극시에 심근과 혈관평활근에 존재하는 전위민감성부위로 칼슘이온이 들어가는 것을 저해하고 관상혈관 평활근의 이완 및 관상혈관의 확장을 유발한다. 혈관경련성 협심증을 가진 환자에게서 심근으로의 산소운반을 증가시킨다.
홍조, 전신피로, 부종, 심계항진, 현기증, 두통, 졸음, 복통, 오심, 무력감, 권태감
효과발현이 천천히 나타나므로 응급 치료를 요하는 불안정형협심증에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투여 전 대상자의 혈압 상태를 확인하도록 한다. 심부전 환자, 간기능 손상 환자의 경우 주의깊은 관찰이 요구된다.
개개의 기관계용 의약품 > 소화기관용약 > 최료제, 진토제
나제아오디정0.1mg
1일 1회 0.1 mg을 경구투여
11/11~
Romosetron으로 말초(내장 구심섬유)와 뇌(화학수용기 유발대, CTZ)에서 5-HT3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두통, 피로, 졸음, 진정, 변비, 저산소증,
개개의 기관계용 의약품 > 호흡기관용약 > 진해거담제
-진해거담제&기침감기약
로이솔주사액
[ Roisol Injection ]
1회 15 mg 1일 3회 정맥주사
11/11~
용해성 거담제로 bromhexine의 활성형 대사체로서 작용기전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나 기관지 분비물의 양을 증가시키고 점도를 감소시킨다고 여겨진다.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리엘 증후군, 소화기계 : 때때로 소화불량, 구역, 구토, 가슴쓰림, 구강건조, 과민증
앰플주사제는 용기 절단시 유리파편이 혼입되어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유리파편 혼입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신중하게 절단 사용하되 특히 어린이, 노약자 사용시에는 각별히 주의할 것, 두통, 다리의 통증, 극도의 피로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천천히 주사한다
대사성 의약품 > 혈액 및 체액용약 > 혈액응고저지제
-항응고제
크렉산주40mg
[ Clexane Injection 40mg ]
피하주사
20 mg(0.2 mL), 1일 1회 투여
11/10~
혈액의 응고 작용을 억제하여 혈전 생성을 저하시킴으로써 혈전색전증(뇌졸증, 협심증 등)을 예방한다. enoxaparin sodium은 돼지 장점막으로부터 얻은 헤파린의 알칼린 분해물로서, 분자량3500~5500인 LMW-헤파린이다. AntithrombinⅢ의 작용을 강화하여(Ⅸ, Ⅹ, , , plasmin뿐아니라) thrombin을 불활성화시킨다. 헤파린과 마찬가지로 antithrombinⅢ의 작용을 증강시키나 antifactorⅩa/antifactorⅡa의 비가 높은 특성을 지닌다.
출혈, 혈소판 감소증, 국소반응, 두드러기, 가려움, 홍반, 설사, 구역
복벽의 전측면 또는 후측면의 피하조직에 좌우측을 번갈아가면서 주사한다.
일반외과 수술시에는 수술 약 2시간 전에 초회 주사하여야 한다.
항병원생물성 의약품 > 항생물질제제 > 주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하는 것
-2세대 세팔로스포린계
야마테탄주1g [Yamatetan Injection 1g]
1일 1~2g을 2회 생리식염주사액에 녹여 천천히 주사
11/10~
Cefotetan, cefmetazole과 함께 cephamycin으로 분류되는 2세대로 cephalosporin계 항생제이다. 1세대보다 확장되어 그람 양성, 음성균에 살균효과가 있으며 특히, Bacteroidse fragilis를 포함한 혐기성 세균에 강력한 살균효과가 있다. 포도상 구균과 연쇄상구균에 대한 효과는 1세대보다 약하다. 여러 가지 penicillin-결합단백에 결합하여 세균 세포벽의 peptidoglycan 합성의 마지막 transpeptidation 단계를 억제함으로써 세균의 세포벽합성을 저해한다. 세포벽 형성이 차단되면 세포벽의 자가분해효소의 활성에 의해 결국에는 세포가 용해된다.
쇽, 가려움, 발진, 홍반, 두드러기, 아나필락시스 반응, BUN상승, 혈중크레아티닌 상승, 핍뇨, 혈뇨, 단백뇨, 용혈성 빈혈, 빈혈, 혈소판 감소, 호산구 증가, 백혈구 감소, 설사, 구역, 구토, 발열, 기침, 호흡곤란
음주에 의해 안면홍조, 심계항진, 두통, 구역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투여기간 중 및 투여 후 적어도 1주일간 음주를 피하도록 교육한다.
비타민 K 결핍에 의한 출혈경향이 나타날 수 있음에 교육한다.
-개개의 기관계용 의약품 > 소화기관용약 > 기타의 소화기관용약
-위장운동 조절 및 진경제
맥페란주사액2mL [Macperan Injection 2ml]
정맥주사
2ml
1일 3회
11/11~
metoclopramide로 CNS의 chemoreceptor trigger zone에서 도파민을 차단하여 구토를 억제하고 위장관 운동을 촉진한다.
쇽, 아나필락시스, 구토, 오심, 설사, 운동마비, 심한 근육강직, 연하곤란, 실어증, 빈맥, 혈압변화, 발한
비록 구토 또는 용량 거부가 있었더라도, 투여간격은 적어도 6시간 이상이 권장된다.
신경계감각기관용 의약품 > 중추신경계용약 > 해열, 진통, 소염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트롤락주 [Trolac Injection]
정맥주사 1일 3회10mg
11/11~
강력한 진통효과를 가진 acetic acid계 nsaids로 말초성 prosraglandin의 합성을 억제한다. ketorolac tromethamine은 cyclo-oxygenase의 활성을 감소시켜 prostaglandin의 합성을 차단함으로써 prostaglandin의 전구체 생성이 감소한다.
구역, 소화불량, 위장관통증, 설사, 때때로 변비, 복부팽만감, 구토, 전신증상, 부종, 아나필락시스, 저혈압, 고협압, 심계항진, 홍조, 발진, 두드러기, 출혈, 혈소판 감소증
투여기간은 2일을 초과하지 않는다. 매일 세잔 이상 정기적으로 술을 마시는 사람이 이 약이나 다른 해열진통제를 복용 시 위장출혈이 유발될 수 있다.
개개의 기관계용 의약품 > 순환계용약 > 혈압강하제
-칼슘채널길항제
암로디핀정5mg [Amlodipine Tab. 5mg]
1일 1회 5mg을 경구투여
11/10~
칼슘이온이 slow channel에 들어가는 것을 저해하거나 탈분극시에 심근과 혈관평활근에 존재하는 전위민감성부위로 칼슘이온이 들어가는 것을 저해하고 관상혈관 평활근의 이완 및 관상혈관의 확장을 유발한다. 혈관경련성 협심증을 가진 환자에게서 심근으로의 산소운반을 증가시킨다.
홍조, 전신피로, 부종, 심계항진, 현기증, 두통, 졸음, 복통, 오심, 무력감, 권태감
효과발현이 천천히 나타나므로 응급 치료를 요하는 불안정형협심증에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투여 전 대상자의 혈압 상태를 확인하도록 한다. 심부전 환자, 간기능 손상 환자의 경우 주의깊은 관찰이 요구된다.
개개의 기관계용 의약품 > 소화기관용약 > 최료제, 진토제
나제아오디정0.1mg
1일 1회 0.1 mg을 경구투여
11/11~
Romosetron으로 말초(내장 구심섬유)와 뇌(화학수용기 유발대, CTZ)에서 5-HT3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두통, 피로, 졸음, 진정, 변비, 저산소증,
키워드
추천자료
간호학과 pre eclampsia (자간전증) 간호과정 ppt 발표 A+★ 그림자료多
뇌경색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 모두이루어져있습니다. 간호진단은 2개내려...
위암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3개로 구성됩...
[아동간호학] 고위험신생아 case study 간호과정
[지역사회간호학] Chapter2. 지역사회 간호과정 요약 정리
정신간호학 bipolar disorder (양극성장애) 간호과정
[성인간호학 case] 간암 대상자 간호과정 케이스 case study - 간세포성 암종 (Hepatocellula...
A++자료!!성인간호학 폐암(lung ca.) 간호과정!!케이스스터디
모성 전치태반 케이스 및 간호과정, 간호진단 3개 case study
견인 간호(피부견인, 골격견인, 간호과정)
[모성간호학] 자궁근종(myoma uteri) 간호과정 (Case Study)
[성인간호학A+] 대동맥박리 대상자의 간호과정 (ICU) CASE STUDY
모성간호학 실습, 제왕절개 케이스, c/s (제왕절개 간호과정)
모성간호A+ [자궁근종(myoma of uterus)-간호과정(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