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항존주의,본질주의,진보주의,재건주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과정-항존주의,본질주의,진보주의,재건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다음의 주요 교육철학이론의 주요 개념과 강조점들을 설명하시오. 1) 항존주의 2)본질주의 3)진보주의 4)재건주의
각 이론의 개념과 교육이론

본문내용

있는 내용들을 중점적으로 다루어야한다.
②재건주의 교육의 의의
-재건주의 교육이론은 현대사회의 문화적 위기 속에서 교육을 통하여 새롭고 민주적인 세계질서가 수립될수 있다는 낙관적인 주장을 하였다.
-현대 문화의 위기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 대한 개혁적 전망을 하였다.
구분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
재건주의
1.
개념
실용주의 철학과 실험주의 등을 배경으로 한 아동중심,생활중심,사회중심의
교육철학.
지나친 아동중심으로 본질적인 문화유산의 전달을 등한시한 진보주의의 문제점을 보완한 교육철학.
급격한 현대문명의 변화속에서 영원하고 절대적인 것을 추구하면서 이성의 훈련을 중시하는 교육철학.
진보주의,본질주의,항존주의를 비판하면서 현대문명의 위기를 교육을 통한 이상사회의 건설로 극복하고자 한 교육철학.
2.철학적 배경
-루소의 성선설적 아동관
-듀이의 실용주의적 경험론
-관념론
-실제론
-진리의 절대성과 영원성
-네오토미즘
-인문주의에 바탕
-교육을 통한 문화적 위기의 극복
-수단과 목적의 중시
3.이론적
배경
-코메니우스,루소,페스탈로치,프뢰벨
-플라톤,에라스무스
-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토마스아퀴나스
4.발전과정
실험학교-PEA조직-1920~1930년대 전성기
진보주의비판-1930년대
-실용주의전면부정,1930년대 발전하기 시작,고대,중세의 영원한 진리
-진보주의,본질주의,항존주의를 비판하고 절충
5.교육
목적
전인적 인간교육
민주시민 양성
문화의 본질적인 요소전달
유용하고 유능한 인간양성
정신과 이성의 훈련
이성적 인간의 도야
사회적 자아실현
사회의 재건
6.교육
내용
활동과 구안
아동의 필요,흥미,사회문제
기본교육:3R\'s,역사,국어,과학,외국어
이성의 계발을 위해 체계적으로 준비된 교과:위대한 고전등
재건의 도구로 사요할 수 있는 사회과학
7.교육
방법
아동의 흥미중심교육
자발성에 의한 교육
계통학습
지적능력개발
교사중심
정신훈련
참여학습
경험학습
8.공헌점
교육의 민주화
민주적 교육방법
도입
본질적 문화유산의 전달
진보주의 비판:항구성,절대성,학문의 방향제시
급변하는 현대사회에 적응하는 교육
9.비판점
지나친 아동중심교육
보수적,변화에 정적이고 비판력 부족
비민주적
미래사회에 대한 논중의 결여
10.사상가
듀이,킬패트릭,
파커
배글리,혼,
데미아쉬케비치
허친스,아들러,마리땡
브라멜드,카운츠
< 표 -진보주의,본질주의,항존주의,재건주의 비교 >
참고자료: 탁영진 교육학
※ A4용지 편집 사용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4.17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48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